$\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도를 고려한 공간강우분포와 1분 강우자료를 이용한 RUSLE의 강우침식인자(R) 산정 및 프로그램 개발
Spatial Rainfall Considering Elevation and Estimation of Rain Erosivity Factor R in Revised USLE Using 1 Minute Rainfall Data and Program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4, 2016년, pp.130 - 145  

정충길 (건국대학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장원진 (건국대학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분 상세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RUSLE)의 강우침식도 R의 추정을 위해 2002년부터 2015년까지 14년간 전국 기상청 관측소의 강우 자료를 수집하여 지점별로 새롭게 계산한 연 강우침식도 및 경험식을 산정하였으며 남한전체($99,720km^2$)를 대상으로 연강우침식인자의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1분 강우자료로 계산된 강우침식도와 연평균 강우량의 상관관계로부터 도출된 경험식과의 결정계수($R^2$, determination coefficient)는 0.70~0.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기존의 국내에서 적용된 경험식과 비교하여 실측값과의 정확성이 높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지리요소가 고려된 공간 강우침식인자(R) 분포도를 산정하기 위해 고도가 고려된 공간보간기법(IDW)을 이용하여 연강우량 분포도를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의 1분 강우자료부터의 R 산정 및 1시간 강우자료와의 회귀산정 과정의 방법 및 절차를 일반 사용자가 간단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Python GU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 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erosion processes are affected by weather factors, such as rainfall, temperature, wind, and humidity. Among these factors, rainfall directly influences soil erosion by breaking away soil particles. The kinetic energy of rainfall and water flow caused by rain entrains and transports soil parti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본 연구결과를 모두 반영한 프로그램으로 1분 강우자료로 부터 지점별 R 추정 경험식과 지점별로 1시간 강우자료로부터 30분 최대강우강도 회귀식을 추가함으로써 1시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R값을 산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결론적으로 1분 강우자료로부터 매년 최신 R값을 산정하며 1분 강우자료 구축이 어려운 경우 1시간 강우자료로부터 간단하게 R값을 산정할 수 있도록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장기 토양침식을 추정할 때 최신의 R값의 이용 할 수 있도록 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도를 고려한 R값의 산정은 기상 및 토양학적 관점에서의 기존 결과로부터 지리정보 학적 관점에서의 물리적인 결과를 추가함으로써 수문분야에서 융합 공간정보자료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1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2002년~2015년 동안에 강우침식인자를 추정하고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적용성을 검증하고 지형요인이 고려된 공간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하기 위해 고도를 고려한 강우분포기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강우침식인자 산정 전체과정을 적용하고 검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ython GUI tool(designer)를 이용해 기상청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별다른 처리 없이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그림 7).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사용되었던 GIS 자료처리, 공간분석에 따른 회귀식 분석, 공간보간 기법 적용 등의 R값 산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ython GUI tool(designer)를 이용해 기상청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별다른 처리 없이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그림 7).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사용되었던 GIS 자료처리, 공간분석에 따른 회귀식 분석, 공간보간 기법 적용 등의 R값 산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기존연구에서는 지점 별로 얻기 쉬운 1시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하는 연구들을 진행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최종목적으로 1시간 강우자료를 취득할 경우 1시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1분 강우자료의 30분 최대강우강도를 가장 근접하게 추정할 수 있는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산정된 경험식은 현재 강우조건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대별로 산정된 기존 경험식과 본 연구에서 2000년대 후반 강우조건으로 산정된 경험식 결과의 차이를 비교 하고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또한, 고도를 고려한 R값의 산정은 기상 및 토양학적 관점에서의 기존 결과로부터 지리정보 학적 관점에서의 물리적인 결과를 추가함으로써 수문분야에서 융합 공간정보자료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추가 연구내용으로 1시간 강우 및 1분 강우 자료에 대한 오차원인 분석과 다양한 강우사상 선정 방법을 적용하여 R 값을 비교 및 평가하여 본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다양하게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거리가중법이 다른 보간 방법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역거리가중법에 의한 공간내삽법은 관측점과의 거리역수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관측점과 인접한 점사이의 값은 유사성이 높은 반면 관측점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유사성이 감소한다는 가정에 기초하며, 다른 보간 방법에 비해 알고리즘이 비교적 간단하다. 역거리가중법의 적용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관측지점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Jung et al.
기존 연구에서 산정된 경험식은 현재 강우조건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하고 연강우량과 비교하여 경험식을 산정하는 연구는 국내에서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총강우량, 강우강도, 지속시간 등의 조건들은 연대별로 조금씩 다르며 200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으로 극한강우사상의 증가와 극한가뭄의 발생으로 인한 강우패턴이 이전과는 큰 차이를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산정된 경험식은 현재 강우조건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강우침식인자란 어떻게 정의되는가? USLE 또는 RUSLE는 강우침식인자(R), 토양(K), 사면길이(L), 경사도(S), 피복 및 관리 (C), 토양보존 인자(P) 총 6개의 인자의 상호간의 곱으로 구성된다. 이 중 유일하게 기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인자인 강우침식인자(Rainfall erosivity factor, R)는 비가 내리는 시점부터 종료될 때까지의 강우에너지의 총합과 해당 기간의 30분 최대 강우강도의 곱으로 정의된다 (Renard et al, 1997; Wischmeier and Smith, 1978). 이때, 강우에너지는 강우 운동에너지와 강우강도, 시간의 곱으로 정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H.L. and J.C. Jeong. 2006. Applica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to rainfall data.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4(1):29-41 (조홍래, 정종철. 2006.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한국공간정보학회지 14(1): 29-41). 

  2. Goodale C.L., J.D. Aber, and S.V. Ollinger. 1998. Mapping monthly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for Ireland with polynomial regression and a digital elevation model. Climate Research 10(1):35-49. 

  3. Jung, H., H.J. Shin, J.Y. Park, I.K. Jung, and S.J. Kim. 2011. A study of spatial interpolation impact on large watershed rainfall considering elev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6):23-29 (정혁, 신형진, 박종윤, 정인균, 김성준. 2011. 고도를 고려한 공간보간기법이 대유역 강우량 산정시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농공학회 논문집 53(6):23-29). 

  4. Jung, K.H., Y.K. Sonn, S.Y. Hong, S.O. Hur, and S.K. Ha. 2005. Assessment of national soil loss and potential erosion area using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s. Korean Journal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8(2):59-65 (정강호, 손연규, 홍석영, 허승오, 하상건. 2005. 수치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전국 토양 유실량의 평가 및 침식 위험지역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8(2):59-65). 

  5. Jung, P.K., M.H. Ko, J.N. Im, K.T. Um, and D.U. Choi. 1983. Rainfall Erosion factor for estimationg Soil Loss. Korean Journal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6(2):112-118 (정필균, 고문환, 임정남, 윤기대, 최대웅. 1983. 토양유실량 여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6(2):112-118). 

  6. Kim, J.H., K.T. Kim, and G.B. Yeon. 2003. Analysis of soil erosion hazard zone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6(2):22-32 (김주훈, 김경탁, 연규방. 2003. GIS를 이용한 토양침식 위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2):22-32). 

  7. Kim, S.B., H.J. Shin, J.W. Lee, Y.S. Yu, and S.J. Kim. 2011. Mapping technique for heavy snowfall distribution using Terra MODIS images and ground measured snowfall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33-43 (김샛별, 신형진, 이지완, 유영석, 김성준. 2011. Terra MODIS 영상과 지상 적설심 자료를 이용한 적설분포도 구축기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33-43). 

  8. Landsberg, H. 1958. Physical climatology (2nd edition). Gray Printing Co, Pennsylvania. p.446. 

  9. Lee, G.S., Y.R. Jang, and G.S. Cho. 2003. The analysis of optimum resolution with different scale of soil map for the calculation of soil lo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6(3):1-10 (이근상, 장영률, 조기성. 2003. 토양침식량 산정에서 토양도 축적에 따른 적정 해상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2):1-10). 

  10. Lee, J.H. and I.K. Jeon. 1994. A rainfall forecasting model for the ungaged point of meteorological dat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4(2):307-316 (이재형, 전일권. 1994. 기상 자료 미계측 지점의 강우 예보 모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4(2):307-316). 

  11. Lee, J.H., J.W. Shin, and J.H. Heo. 2011. Evaluation of rainfall erosivity in Korea using different kinetic energy equations. Korean Journal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4(3):337-343 (이준학, 신주영, 허준행. 2011. 강우 운동에너지식에 따른 한국의 강우침식인자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4(3): 337-343). 

  12. Lee, J.S. and J.Y. Won. 2013.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of monthly rainfall erosivity in Korea with derivation of rainfall energy equ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3):177-184 (이종설, 원진영. 2013. 강우에너지식 유도를 통한 전국 월별 강우침식 인자 특성 분석.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3(3):177-184). 

  13. Noe, J.K. and S.K. Kwon. 1984. A study of the estimation of rainfall kinetic energy based on rainfall characteristics. College of Agricultural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9(2):23-31 (노재경, 권숙국. 1984. 강우특성을 이용한 강우에너지 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농학연구지 9(2):23-31). 

  14. Park, C.W., Y.K. Sonn, B.K. Hyun, K.C. Song, H.C. Chun, Y.H. Moon, and S.G. Yun. 2011. The re-determination of USLE rainfall erosion factor for estimation of soil loss at Korea. Korean Journal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4(6):977-982 (박찬원, 손연규, 현병근, 송관철, 전현정, 문용희, 윤순강. 2011. 토양 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침식인자 재산정.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4(6):977-982). 

  15. Park, J.H., H.S. Woo, C.K. Pyun, and K.I. Kim. 2000. A study of distribution of rainfall erosivity in USLE/RUSLE for estimation of soil los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3(5):603-610. (박정환, 우효섭, 편종근, 김광일. 2000. 토양유실공식의 강우침식도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3(5):603-610). 

  16. Renard. K.G., G.R. Foster, G.A. Weesies, D.K. McCool, and D.C. Yoder. 1997. Predicting soil erosion by water: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griculture handbook number 703. pp.24-26. 

  17. Shin, J.S., M.H. Ko, and J.N. Im. 1983. Rainfall erosion factor for analyzing soil loss. Korean Journal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6(2):106-111 (신재성, 고문환, 임정남. 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추정.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6(2):106-111). 

  18. Smith, C.D. 2008. Cold region atmospheric and hydrologic Studies, chapter 10: the relationship between monthly precipitation and elevation in the Alberta foothills during the foothills orographic precipitation experiment. pp.167-185. 

  19. Wischmeier, W.H. 1959. A rainfall erosion index for a universal soil-loss equation. Proceeding of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23(3):246-249. 

  20.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rs: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griculture handbook number 537. pp.40-47. 

  21. Yun, J.I., D.S. Yi, J.Y. Choi, S.I. Cho, E.W. Park, and H. Hwang. 1999. Elevationcorrected spatial interpolation for nearreal time generation of meteorological surfaces from point observations.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Information Science 1(1):28-33 (윤진일, 이동석, 최재연, 조성인, 박은우, 황헌. 1999. 고도보정 공간내삽에 의한 전국의 $1km^{2}$ 단위 기상실황 추정. 농업정보과학 1(1):28-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