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검사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Creative Engineering Problems Solving Propensity for STEAM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9 no.3, 2016년, pp.276 - 291  

강주원 (경남과학고등학교) ,  남윤경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생들의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문헌 분석 및 전문가 협의 과정을 통해 예비 검사 도구 구성 요인을 동기, 환경, 성격, 공학 설계, 공학적 사고 습관, 공학과 공학자, 소통 및 협업 능력 7요인을 추출하였고, 구성 요인과 각 문항들의 조작적 정의 사이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성 요인별 10개 내외의 예비 문항을 제작하였다. 7요인 40문항의 예비 검사 문항에 대해 전체 문항과 요인별로 문항 신뢰도 검사 및 세 차례에 걸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동기 3문항, 공학 설계 6문항, 공학적 사고 습관 9문항, 공학과 공학자 4문항, 소통과 협업능력 6문항으로 구성된 5요인 총 28문항의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각 요인별 신뢰도는 .733에서 .892 사이의 값을 보였고 공학적 사고습관 요인의 신뢰도(${\alpha}=.892$)가 가장 높고, 동기 요인의 신뢰도(${\alpha}=.733$)가 가장 낮았다.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906으로 검사 도구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3차에 걸친 요인 분석 결과 각 문항들의 요인에 대한 범주화가 잘 이루어졌고 내용의 구조적 타당도가 향상되어 신뢰 할 수 있는 검사 도구가 개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해결 성향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검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students' creative engineering problem solving propensity. The creative engineering problem solving is operationally defined in this study as a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 in an engineering context. To develop the instru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 공학적 문제해결 성향을 통합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1학기 간 과제 연구를 통해 융합과학교육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학 영재고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공학 문제 해결 성향을 측정하는 검사지를 개발,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공학적 문제해결 상황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검사 도구에 대한 기존의 검사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 요인 고찰과 구안을 위해 문헌 분석 및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쳤다.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문헌 분석 및 전문가 협의 과정을 통해 예비 검사 도구 구성 요인을 동기, 환경, 성격, 공학 설계, 공학적 사고 습관, 공학과 공학자, 소통 및 협업 능력 7요인을 추출하였고, 구성 요인과 각 문항들의 조작적 정의 사이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성 요인별 10개 내외의 예비 문항을 제작하였다.
  • 이 연구는 창의적 공학문제 해결 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절차 및 연구 방법은 Fig.
  • 그러므로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공학적 문제해결력의 각각의 특징적 요소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의 유사성을 분석하여 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통합된 검사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 공학적 문제해결 성향을 통합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1학기 간 과제 연구를 통해 융합과학교육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학 영재고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공학 문제 해결 성향을 측정하는 검사지를 개발,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AM 교육에서 요구하는 융합 교육의 범위는 무엇인가? STEAM 교육의 핵심 목표는 교과간 통합을 통하여 창의력이 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STEAM 교육에서 요구하는 융합 교육의 범위는 기존의 단순한 학문간 융합에 그치지 않고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계획, 설계, 제작 및 평가하는 공학적인 설계 및 해결 과정을 중시하는 ‘통합적 STEM 교육(Integrated STEM Education)’ 및 ‘과학 공학 융합 교육(Engineering Intergated Science)’이다(문대영, 2009; 성의석과 나승일, 2012; 이선주, 2015; 이효녕 외, 2013; 이효녕 외, 2014; 이춘식, 2012; Nam et al., 2016; NGSS Lead States, 2013).
STEAM 교육의 핵심 목표는 무엇인가? STEAM 교육의 핵심 목표는 교과간 통합을 통하여 창의력이 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STEAM 교육에서 요구하는 융합 교육의 범위는 기존의 단순한 학문간 융합에 그치지 않고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계획, 설계, 제작 및 평가하는 공학적인 설계 및 해결 과정을 중시하는 ‘통합적 STEM 교육(Integrated STEM Education)’ 및 ‘과학 공학 융합 교육(Engineering Intergated Science)’이다(문대영, 2009; 성의석과 나승일, 2012; 이선주, 2015; 이효녕 외, 2013; 이효녕 외, 2014; 이춘식, 2012; Nam et al.
공학 설계 기반의 수업의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는 사례는 무엇인가? 실제로 여러 연구를 통해 공학 설계 기반의 수업이 과학 지식 증가 등 인지적 영역뿐 아니라 과학과 공학에 대한 태도와 인식 등 정의적인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증명되었다. 예를 들어 Olds, et al. (2006)의 연구는 공학 설계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공학적 지식, 간단한 기계에 대한 이해를 증가 한 것을 보여 주었으며, Apedoe, et al. (2008)는 공학 설계를 이용한 화학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원자의 상호작용과 에너지에 대한 이해가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공학 설계 수업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인지적 영역 보다 더 활발히 진행 되었으며(Nam et al., 2016; Samuel, Robert, Ryan & Dina, 2011), 공학 설계 중심의 통합적 STEM 교육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 해결력, 대인 관계를 포함한 소통 및 협업 능력, 진로 개발 능력 등의 핵심 역량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있음을 보여 주었다(성의석과 나승일,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정하, 최인수(2006).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0(3), 679-701. 

  2. 권오남, 김정효(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 교육과정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39(2), 81-99. 

  3.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4. 김보을, 권치순(2014).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수업 만족도 비교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96. 

  5. 김석우(2008).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SPSS win 12.0 활용의 실제. 교육과학사. 

  6. 김영채(1999).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7. 노형진(2003). SPSS/AMOS에 의한 사회조사분석. 서울: 형설출판사. 

  8. 문대영(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프로그램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 

  9. 문대영(2009). 초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태도 및 공학 문제 해결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51-66. 

  10. 성의석, 나승일(2012). 통합적 STEM 교육이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효능감과 공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255-274. 

  11. 성진숙(2003).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분석: 확산적 사고, 과학지식, 내.외적 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 환경. 열린교육연구, 11(1), 2019-237. 

  12. 송해덕(2007).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성요인과 교수설계원리의 탐색. 열린교육연구, 14(3), 55-73. 

  13. 심재호, 이양락, 김현경(2015). STEM, STEAM 교유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 한국과학교육학회, 35(4), 709-723 

  14. 이경화(2006). CPS를 활용한 미래 도시건설 프로젝트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0(2), 487-506. 

  15. 이상균(2015). 스마트 기기 활용 설계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과학 흥미도 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240-250. 

  16. 이선주(2015). 공학적 설계 과정을 강조한 과학 수업이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창훈, 서원석(2012). 오토마타(automata) 만들기를 통한 STEAM 통합 기반의 창의 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67-91. 

  18. 이춘식(2012). 미국 STEM 교육의 최신 동향과 딜레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101-122. 

  19. 이효녕, 박경숙, 권혁수, 서보현 (2013).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과정 기반의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원교육, 29(3), 301-326. 

  20. 이효녕, 권혁수, 박경숙, 오희진(2014). 과학 탐구 기반의 통합적 STEM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4(2), 63-78. 

  21. 임강숙, 김희수(2014). 융합인재교육(STEAM)이 고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180-191. 

  22. 전은선, 이영철(2015). 수업형태와 수업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선호도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46-354. 

  23. 정은영(2008). Squeak Etoys 기반 정보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조석희, 한석실, 안도희(2005). 초등학교 고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에 대한 경로 분석. 교육심리연구, 19(3), 745-760. 

  25.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5). 공학교육인증기준2015 (KEC2015). 

  26. 허준(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모형. 서울: 한나래출판사. 

  27. 홍기칠(2012). AbPS 창의력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8(1), 51-76. 

  28. Apedoe, X., Reynolds, B., Ellefson, M., & Schunn, C. (2008). Bring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The heating/coolinguni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7, 454-465. 

  29. Brophy, S., Klein, S., Portsmore, M. & Rogers, C (2008). Advancing engineering educationin K-12 classroom.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7, 369-387. 

  30. Cho, J., Choi, Y., & Kim, S. (2011). Development of integrative STEM invention education program model of chemical area.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7, 165-188. 

  31. Choi, In-soo (2006). Creativity: A sudden risingstar in korea. In J. C. Kaufman, & R. J. Sternberg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creativity(pp. 395-4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Crocker, L., & Algina, J. (1986).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Fort Worth: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33. Davis, G. A., & Rimm, S. B. (1998).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34. Hjalmarson, M., & Lesh, R. (2008). Engineering and design research: Intersections for education research and design. In A. E. Kelly, R. A. 

  35. Isaksen, S. G., & Trefinger, D. G. (1985). Creative problem solving : The basic course. Buffalo, NY : Bearly. 

  36. Isaksen, S. G., Doval, K. B., & Trenfinger, D. J. (2000). Creative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A framework for change. Dubuque, Iowa: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37. Lee, S., & Rho, T. (2011).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TEM integrated approach in technology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1, 1-20. 

  38. Moore, T. J., Tank, K. M., Glancy, A. W., Kersten, J. A., & Ntow, F. D. (2013). The status of engineering in the current K-12 state science standards (Research to practice). 2013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Annual Conference, Atlanta, GA. 

  39. Moore, T. J., Glancy, A. W., Tank, K. M., Kersten, J. A., Smith, K. A., Stohlmann. M. S. (2014). A Framework for Quality K-12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13 

  40. Moore, T. J., Tank, K. M., Glancy, A. W., & Kersten, J. A. (2015). NGSS and the landscape of engineering in K-12 state science standar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2, 296-318. 

  41. Nam, Y. K., Lee, S. J., Paik, S. H. (2016). The impact of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EIS) Curricula on First-Yea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erception of Engineering.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2, 1881-1907 

  4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009). Engineering in K-12 Education: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4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9). Engineering in K-12education: Under 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44.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Successful K-12 STEM Education: Identifying Effective Approach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6.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9). Engineering in K-12education: Under 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48. Olds, S., Harrell, D.,&Valente, M. (2006). Get a grip! A middle school engineering challenge. Science Scope, 20, 21-25. 

  49. Samuel, M., Robert, T. P., Ryan, J. D., & Dina, C. M. (2011). Racial and Ethnic Minority Students' Success in STEM Education. New Jersey:Jossey-Bass. 

  50. Schunk, D. H., Pintrich, P. R., & Meece, J., L. (2008). Motivation in education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51. Woolfolk, A. E. (1995). Educational Psychology.(6th ed.) London : Allyn and Bac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