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사의 직장생활의 질 측정도구-한국어판: 타당도와 신뢰도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Scale-Korean: Validity and Reliabilit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6, 2016년, pp.646 - 658  

김인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최형심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임영이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원선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김정우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  이상아 (메사추세츠 주립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QNWL-K) scale. The scale measures the reported quality of the nurse' work life among Korean nurses. Methods: The QNWL-K was develop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Brooks [11]의 원 도구와 동일하게 실무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직장생활의 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일반 간호사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종합병원 간호사뿐만 아니라 급여 및 근무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할 수 있는 300병상 미만의 중소 병원에서 일하는 간호사도 연구대상에 포함하여 도구의 대표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외국어로 개발된 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할 경우, 번역에 따라 전혀 다른 도구가 될 수 있고 대상에 따라 요인분석 결과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 실제로 QWNL 도구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국가별로, 또 한 국가에서도 연구대상별로 다양한 요인분석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13,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측정도구(QNWL-K)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통해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측정도구의 확산 근거를 마련하고, 향후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Brooks [11]가 개발한 QNWL 측정도구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추후 우리나라의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을 평가하는 연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Brooks [11]가 개발한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QNWL)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업무 환경이나 조직문화를 통합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을 측정하는데 특화된 도구인 Brooks [11]의 QNWL 도구를 한국 간호사에게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어판 QNWL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크리 검사 뿐 아니라 가장 객관적인 요인 수 추출 방법 중 하나인 parallel analysis 결과도 고려하여 두 가지 방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4개를 요인수로 선정하는 등 복합적인 요인추출 방법을 적용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였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의 개별 문항이 척도를 구성하는데 적합한 조건을 갖추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항분석을 실시하여 상관관계가 너무 낮은 문항은 제거함으로써 도구 개발시 한국적 상황을 반영하고자 하였다[22]. 반면 기존 QNWL-K도구[12,28]에서는 문항-전체 문항 간 상관관계가 보고되지 않았으며, 요인분석 결과 요인적재량이 .
  • 본 연구는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측정도구인 Brooks [11]의 QNWL 도구의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QNWL 도구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한국어로 번역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총 4개 영역, 36개 문항이 최종 도구로 확정되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 또, 상급병원, 종합병원, 병원 등 다양한 규모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규모별 특성에 따른 직장생활의 질의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가장 정확한 방법 중 하나인 확인적 요인분석까지는 수행하지 못했으므로 본 연구대상과 다른 간호사 집단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생활의 질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 중 삶의 질, 특히 직무와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연구들은 개인이 직장생활과 개인생활을 병행함에 있어 직장생활 자체의 질이 중요하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고 이는 경영학, 심리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으며, 직장생활의 질은 직장생활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만족도를 의미하며 개인의 감정과 인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4]. 따라서 직장생활의 질 개선은 직무만족 그 이상을 넘어 조직의 생산성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아실현에도 기여한다[5].
QNWL도구의 하부영역 4가지는 무엇인가? Brooks [11]의 QNWL도구는 직장생활/가정생활(work life/home life), 근무설계(work design), 근무상황(work con-text), 근무세계(work world)의 4가지 하부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하부영역에는 근무시간, 직원배치, 업무량, 안전, 간호사를 위한 시설, 간호사에 대한 인식,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실무의 범위,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전문가로서 존경받음(professional respect)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있다.
직장생활의 질 개선이 개인의 자아실현에도 기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중 삶의 질, 특히 직무와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연구들은 개인이 직장생활과 개인생활을 병행함에 있어 직장생활 자체의 질이 중요하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고 이는 경영학, 심리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으며, 직장생활의 질은 직장생활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만족도를 의미하며 개인의 감정과 인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4]. 따라서 직장생활의 질 개선은 직무만족 그 이상을 넘어 조직의 생산성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아실현에도 기여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oung MS, Kim KJ.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06;11(4):1-18. 

  2. Fujimoto T, Kotani S, Suzuki R. Work-family conflict of nurses in Jap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24):3286-95.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643.x 

  3. Park KO, Kim SY, Kim JK.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and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2):169-80. 

  4. Mosadeghrad AM, Ferlie E, Rosenberg D.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quality of working life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employees. Health Services Management Research. 2011;24(4):170-81. http://dx.doi.org/10.1258/hsmr.2011.011009 

  5. Sirgy MJ, Reilly NP, Wu J, Efraty D. A work-life identity model of well-being: towards a research agenda linking quality-of-work-life (QWL) programs with quality of life (QOL).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2008;3(3):181-202. http://dx.doi.org/10.1007/s11482-008-9054-6 

  6. Brooks BA, Storfjell J, Omoike O, Ohlson S, Stemler I, Shaver J, et al. Assessing the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7;31(2):152-7. http://dx.doi.org/10.1097/01.NAQ.0000264864.94958.8e 

  7. Gurses AP, Carayon P, Wall M. Impact of performance obstacles on intensive care nurses' workload, perceived quality and safety of care, and quality of working life. Health Service Research. 2009;44:422-43. http://dx.doi.org/10.1111/j.1475-6773.2008.00934.x 

  8. Brooks BA, Anderson MA. Defining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Nursing Economics. 2005;23(6):319-26. 

  9. O'Brien-Pallas L, Baumann A.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issues-a unifying framework. Canadia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2;5(2):12-6. 

  10. Mohamad M, Mohamad WN. A model of quality of work life, life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sia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012;2(2):38-51. http://dx.doi.org/10.14707/ajbr.120009 

  11. Brooks BA.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dissertation].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2001. 

  12. Kim MJ, Ryu EJ.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quality of work life in clinical nurses based on the Culture-Work-Health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6):879-89. http://dx.doi.org/10.4040/jkan.2015.45.6.879 

  13. Fu X, Xu J, Song L, Li H, Wang J, Wu X, et al. Validation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scale. PloS One. 2015;10(5):e0121150. e012115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21150 

  14. Lee YW, Dai YT, McCreary LL, Yao G, Brooks BA.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hinese version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scale. Nursing & Health Sciences. 2014;16(3):298-306. http://dx.doi.org/10.1111/nhs.12099 

  15. McCloskey JC, McCain BE. Satisfaction, commitment and professionalism of newly employed nurses.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87;19(1):20-4. 

  16. Tabachnick BG, Fidell L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5th ed. Boston, MA: Pearson/Allyn & Bacon; 2013. p. 644-6. 

  17. Brooks BA, Anderson MA. Nursing work life in acute care.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4;19(3):269-75. http://dx.doi.org/10.1097/00001786-200407000-00014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n.d.).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internet]. Geneva: WHO; 2016 [cited 2015 May 15].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19.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382-5.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20. Lee CY. Advanced nursing statistics. 1st ed. Seoul: Soomoonsa; 2016. p. 189-96. 

  21. Field A.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3rd ed. London: Sage Publications; 2009. p. 167-96. 

  22. Um MY, Cho SW. Scale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Seoul: Hakjisa; 2005. p. 97-108. 

  23. Henson RK, Roberts JK.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ublished research common errors and some comment on improved practic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06;66(3):393-416. http://dx.doi.org/10.1177/0013164405282485 

  24.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I,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Paju: Soomoonsa; 2009. p. 197-205. 

  25. Terwee CB, Mokkink LB, Knol DL, Ostelo RW, Bouter LM, de Vet HC. Rating the methodological quality in systematic reviews of studies on measurement properties: a scoring system for the COSMIN checklist. Quality of Life Research. 2012;21(4):651-7. http://dx.doi.org/10.1007/s11136-011-9960-1 

  26. Sirin M, Sokmen SM.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scale: the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Turkish ver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5;8(3):543-54. 

  27. Lee JM, Bae DH, Woo JM. Revision of the mental fitness scale: validation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13;52(6):431-41. http://dx.doi.org/10.4306/jknpa.2013.52.6.431 

  28. Kim MJ. Structuring equation modeling of quality of work life in clinical nurse based on the culture-work-health model [dissertation]. Seoul: Chung Ang University; 2015. 

  29. Nannally JC.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ow-Hill; 1978. p. 195. 

  30. Alalki MJ, FitzGerald G, Clark M. Quality of work life among primary health care nurses in the Jazan region, Saudi Arabia: a cross-sectional study. Human Resources for Health. 2012;10(1):1-13. http://dx.doi.org/10.1186/1478-4491-10-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