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감성지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K-WLE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4, 2020년, pp.611 - 620  

정하림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  최희정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  박명숙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K-WLEI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60 nursing students using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번안된 K-WLEI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자의 모집단은 전국 간호학과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하였다. 감성지능은 교육을 통해 향상될 수 있는 특성이므로[7], 간호학 교육 내에 감성지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간호학과의 협조를 얻을 수 있었던 충청도, 경상도 및 강원도에 소재한 3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1~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들을 편의표출 하였다.
  • 둘째, 준거도구의 부재로 인하여 준거타당도를 구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를 감안하여 요인 타당도와 수렴타당도, 문항의 수렴 및 판별타당도 등 복수의 타당도를 구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K-WLEI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간호 대학생만 대상으로 하였으나 추후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Wong과 Law [1]의 감성지능 측정도구의 한국어판을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K-WLEIS의 16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성지능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인 자기감성인식, 타인감성인식, 감성활용, 감성조절의 4개 하위요인으로 원도구인 WLEIS와 동일하게 도출되었으며, 설명된 총 분산과 요인적재량을 고려할 때 감성지능의 주요 내용들이 잘 반영된 도구로 보인다.
  • 본 연구는 감성지능 측정도구인 Wong과 Law가 개발한 WLEIS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번안된 K-WLEI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어판 감성지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Wong과 Law [1]가 개발한 WLEIS를 도구 번역의 철저한 과정을 거쳐 번안하여 K-WLEIS를 구성하고, K-WLEI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모든 문항들은 문항이 포함된 각 요인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구의 타당도가 확보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Wong과 Law [1]가 개발한 WLEIS을 한국어로 번안하고, 한국어판 감성지능 측정도구(K-WLEI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먼저 번역과정은 영문 도구인 WLEIS를 한국어가 모국어이며 영어와 한국어에 유창한 간호사와 간호학과 교수 2인과 연구자가 각각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이 때, 개별 단어의 각각의 의미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고, 문장의 본래 개념을 전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번역된 도구라는 느낌이 없으면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흔히 사용하는 언어를 고려하여 번역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서 개발되어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인된, 그리고 국내외 간호학 분야, 특히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Wong과 Law [1]의 WLEIS를 번안하여 한국어판 감성지능 측정도구(Korean version of Wong and Law Emotional Inteligence Scale [K-WLEIS])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ayer와 Salovey는 감성지능의 구성요소를 어떻게 설명하였는가? 감성지능 측정 도구는 감성지능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데, 감성지능의 개념을 처음 제시한 Mayer와 Salovey는 감성지능의 구성요소를 감성의 평가와 표현, 감성 조절, 그리고 감성 활용의 3가지 영역으로 설명하였다[8]. 이러한 명확한 개념의 제시에도 불구하고 감성지능을 능력(ability)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특성(trait)으로 볼 것인지에 따라 다양한 측정도구들이 개발되었다[9].
외국에서 개발된 감성지능 측정도구 경우 번안 과정에서의 타당성 확보뿐만 아니라 표적 집단에서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한편, 감성을 표현하는 언어는 문화 및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문화적 개작이 필요하며[14] 외국에서 개발된 감성지능 측정도구의 경우 번안과정에서의 타당성 확보뿐만 아니라 표적 집단에서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15]. 타당도 검증은 사용하는 도구가 연구 집단과 연구 목적에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고, 특히, 구성 타당도 검증을 통해 도구가 이론적 구성 개념을 실제로 잘 측정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성지능이란?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EI])이란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의 하부개념으로, 자신과 다른 사람의 정서(feeling)와 감정(emotion)을 공감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감성 정보를 활용하여 주어진 상황에 맞게 적절한 행동으로 표현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1]. 간호와 감성지능과의 관련성에 대한 통합적 고찰연구[2]에서, 간호사는 인간관계를 통해 간호를 제공하므로,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다루는 감성지능이 핵심간호기술로 제시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ong CS, Law KS.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2002;13(3):243-27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2. Smith KB, Profetto-McGrath J, Cummings GG.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12):1624-163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9.05.024 

  3. Lee AK, Yeo JY, Jung S, Byun SS.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12):299-308.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9 

  4.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5 Annual repor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6. p. 150-155. https://doi.org/10.4040/jkan.2014.44.6.682 

  5. Lee OS, Gu MO.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6):2749-2759.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749 

  6. Oh EJ, Kong JH.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2017;8(3):245-259. https://doi.org/10.22143/HSS21.8.3.14 

  7. Lee OS, Gu MO. Development an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ixed methods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6):682-696. 

  8. Salovey P, Mayer JD.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1990;9(3):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9. O'Connor PJ, Hill A, Kaya M, Martin B. The measur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Frontiers in Psychology. 2019;10:1116. https://doi.org/10.3389/fpsyg.2019.01116 

  10. Bar-On R. EQ-i BarOn emotional quotient inventory: A measure of emotional intelligence: Technical manual. North Tonawanda (NY): Multi-Health Systems, Inc.; 1997. p. 50-100. 

  11. Kim YJ, Park SH.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 Emotional intelligence quotient : EQ. Asia Marketing Journal. 1998;1(1):1-25. 

  12. Iliceto P, Fino E. The Italian version of the Wong-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LEIS-I): A second-order factor analysi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17;116:274-280. https://doi.org/10.1016/j.paid.2017.05.006 

  13. Song JE, Chae HJ. Differences in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emotional intelligen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4):502-512.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502 

  14.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Y,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4th ed. Paju: Soomoonsa; 2009. p. 267-269. 

  15. Kang HJ, Lim EM. Validation study of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12;13(4):35-57. https://doi.org/10.15753/aje.2012.13.4.002 

  16. Nunnally JC.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NY): McGraw-Hill; 1978. p. 330-430. 

  17. Anderson JC, Gerbing D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988;103(3):411-423. https://doi.org/10.1037/0033-2909.103.3.411 

  18. Kim NH.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6):735-744.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6.068 

  19. Rubin RB. Communication competence. In: Phillips GM, Wood JT, editors. Speech Communication: Essays to Commemorate the 75th Anniversary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Carbondale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90. p. 94-129. 

  20. Hur G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03;47(6):380-408.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Internet]. Geneva: WHO; c2020 [cited 2020 Jun 2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22. Guillemin F, Bombardier C, Beaton D. Cross-cultural adaptat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s: Literature review and proposed guidelin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3;46(12):1417-1432. https://doi.org/10.1016/0895-4356(93)90142-n 

  23. Hair JF Jr,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10. p. 109-136. 

  24.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e Publishing Co.; 2012. p. 160-370. 

  25. Song TM, Kim G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health & welfare research. Seoul: Hannare Publishing Co.; 2012. p. 32-33. 

  26. Bae B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4. Seoul: Cheongram Books; 2017. p. 153-154. 

  27. Cicchetti DV. Guidelines, criteria, and rules of thumb for evaluating normed and standardized assessment instruments in psychology. Psychological Assessment. 1994;6(4):284-290. https://doi.org/10.1037/1040-3590.6.4.2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