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에서 스케이트보드 활동 공간 발달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Transition of a Skateboarding Space in an Urban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6, 2016년, pp.26 - 39  

조한솔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공원에서 스포츠 활동 중 하나인 스케이트보드 활동이 어떻게 공간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도시공원이 동적 활동을 수용하는데 나타나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신문기사에 나타난 스케이트보드 문화 유입에서부터 공간 설치에 관한 내용을 담론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시기별로 어떠한 요인에 의해 공간 생성 혹은 소멸로 이어졌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케이트보드 행태가 공원에서 일부 공간으로 자리 잡은 데는 세 가지 원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도시 공원이 스케이트보드 이용에 적절한 장소로 이용자와 운영자 모두 받아드렸고, 이 이용에 대한 긍정적 시대 담론과 결합해 공원정비가 이루어졌다. 둘째, 시대적으로 다른 신생, 혹은 대중적 스포츠와 흐름을 같이 하면서 복합적인 용도 공간 창출이 가능할 때 스케이트 파크가 집중적으로 발달하였다. 셋째, 신도시간의 문화 비교 양상과 공원 유치를 스포츠 마케팅의 수단이 되어 지역경제를 부흥하려는 양상을 볼 수 있고, 이때 스케이트보드 공원의 보급이 이루어졌다. 반대로 공간 소멸로 이어지는 원인은 첫째, 일부 공간을 점유하는 방식이나 장소의 행태가 부딪치는 공간은 소멸로 이어졌다. 둘째, 이용자 행태를 담지 못한 설비의 부적절함과 일시적이고 이벤트성의 대회, 행태만을 위한 설비가 공간 자체를 오래 이용할 수 없는 설비로 이어졌다. 셋째, 메가 이벤트의 개최와는 상관없이 국내에서는 이런 기물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만큼 문화현상이 지속되지 않았고, 공간용도와 다른 행태를 유도하는 스케이트보드 문화가 이어져 전용 공간에 대한 관심이 멀어지게 되었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한 도시공원과 스포츠 활동의 수용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논할 수 있다. 첫째, 일시적인 이슈와 경향 등 공간의 설정에 대한 담론을 뛰어넘는 스포츠 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계획 설정이 부족하다. 둘째, 공간적의 설정에서부터 생성 이후에 따라오는 공원에서 스포츠 활동 운영에 있어서 공간과 활동의 상호작용이 부족하다. 셋째, 다양하게 나타나는 스포츠 활동과 기존 공간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다양한 시도로 해결하는 움직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원에서 스포츠 활동의 수용과 발달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 도시공원의 체재에서 동적 행태를 수용하는 동안 나타나는 상황들을 파악해 봄으로써 스포츠를 공원에 계획하는 것에 대한 문제를 제고해볼 수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developing skateboarding spaces in urban parks. Skateboardi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sport activities representative of urban parks. This research paper will analyze the process of introducing skateboarding activities into park spaces and their accept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대 스포츠가 시작된 시점은? 근대 스포츠가 시작된 시점은 1850년대로 이 시기에 시민공원도 탄생하게 되었다(Burke, 1995). 초기부터 도시 공원은 스포츠 공간을 염두하고 만들어졌었다.
시민공원에서 스포츠 공간이 가지는 의의는? 도시공원에 하나의 스포츠 공간이 생기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는 특정 스포츠 활동 도시공원의 법적인 테두리를 가지게 되어 공원에서 관리 운영하는 공공의 책임이 된다. 둘째는 도시공원이 특정 스포츠에 대해 공간을 통해 활동 제공에 대한 역할을 가진다. 도시공원에 한번 스포츠 활동이 계획되고 나면 이 활동을 공공이 향유하게 되어 새롭게 활동을 하는 인구와 기존 활동을 지속시키게 된다.
초기에 도시 공원을 만든 이유는? 근대 스포츠가 시작된 시점은 1850년대로 이 시기에 시민공원도 탄생하게 되었다(Burke, 1995). 초기부터 도시 공원은 스포츠 공간을 염두하고 만들어졌었다. 우리나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도 주제 공원 중 하나로 체육공원이 설정되어 있고, 근린공원 또한 정구장, 운동장 등 각종 스포츠 활동을 따로 계획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Yong-Kil., Joo-Youn Kim and Eun-Jung Kim(2013) Changing process of the laws related with the physical education, sports and martial ar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for Physical Education 18(2): 141-155. 

  2. Beal, B.(2013) Skateboarding: The Ultimate Guide. ABC-CLIO. 

  3. Bell, A. and P. Garrett.(Eds.).(1998)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Wiley-Blackwell. 앨런 벨, 피터 개럿; 백선기(역), 미디어 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4. Borden, I. M.(2001) Skateboarding, Space and the City: Architecture and the Body. 

  5. Burke, P.(1995) The invention of leisure in early modern Europe. Past and Present. 136-150. 

  6. Caillois, R(1958) Les Jeux et Les Hommes, Paris: Gallimard. 로제 카이와; 이상률(역), 놀이와 인간. 서울: 문예출판사. 1994. 

  7. Carr, E.(1999) Wilderness by Design: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National Park Service. U of Nebraska Press. 

  8. Choi, Mi Young(2000) (A) Study on the Method of Planning a Skate Park.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Korea. 

  9. Chosun Ilbo. 

  10. Daily economy. 

  11. Daly, James W.(2000) Recreation and Sport Planning and Design. 이재우, 박영욱(역) 레크리에이션과 스포츠시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2. Dong-A Ilbo. 

  13. Fairclough, N.(1995) Media Discourse. London: E. Arnold, Norman Fairclough 저; 이원표(역), 대중매체 담화 분석. 서울: 한국문화사, 2004. 

  14. Hankyoreh. 

  15. Han, Seung Back(2013) The social production and extinction of tennis court in urban space: The case of private and apartment complex tennis court in Seoul.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26(1): 125-149. 

  16. Heo, Cheon, Woo-Jin Jeong and Doo-Seoung Yeom(2001) A study on the condi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park athletic facilities - centering around the park athletic facilities of the Youngdong provinc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0(2): 311-323. 

  17. Howell, O.(2008) Skatepark as Neoliberal Playground: Urban Governance, Recreation Space, and the Cultivation of Personal Responsibility. Space and Culture. 

  18. Hwang, Jae Hoon, Gwon Yeong Hwan and Hui Cheol An(2014) Research about public gym facility arrangement standard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33(1): 23-30. 

  19. JungAng Ilbo. 

  20. Jungdo Ilbo. 

  21. Kang, Shin-Il, Chul Won Lee and Min Haeng Cho(2006) The role of recreational park as sustainable sport facilities for the community reside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2): 291-300. 

  22. Kim, Sung-chul(2008) Study for Residents Consciousness in Paju Enabled X-Sports Facilities as Region Development for Tourism.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Korea. 

  23. Kim Yong Gin(2000). Television Criticism. Hanul Academy. 

  24. Kim, Ju Il(2006) Designing for new leports activities in the inner city areas - Focusing on spatial behaviors and features as a spatio-cultural activity in the urban street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7(4): 33-46. 

  25. Kim, Junho, Hwa seop Kim and Jae Jin Kim(2013) Principles of New Sport Market Classification and Practical Usage Plan. KIET.(강준호, 김화섭, 김재진(2013) 스포츠시장의 신분류 작성원리와 활용방안. 산업연구원.) 

  26. Kyunghyang Shinmun. 

  27. Taylor, M. F. and U. Khan(2011) Skate-park builds, teenaphobia and the adolescent need for hang-out spaces: The social utility and functionality of urban pkate parks. Journal of Urban Design 16(4): 489-510. 

  28. Yeonhab news. 

  29. Yu, Jigon, Gyu Lee Han and Bin Im(2001) Leisure sports park facility criteria and model development. Sports Science Research 12(4): 67-84. 

  30. Yun, Gukbyeong(1978)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Ilchokak. 

  31. Korea Skate park blog, 한국의 스케이트파크 블로그(http://blog.daum.net/_blog/ProfileView.do?blogid0IXXO&fvcB08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