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고대비물질 개인보호구 선정에 관한 연구(2): 노출위해성 매트릭스에 의한 분석
A Study on Select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Listed Hazardous Chemicals (2): Analysis Using an Exposure Risk Matrix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2 no.6, 2016년, pp.430 - 437  

한돈희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  정상태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  김종일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  조용성 (화학물질안전원 연구개발교육과) ,  이청수 (화학물질안전원 연구개발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new Chemical Control Act from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14-259) simply states only in basic phrases that every worker handling the listed chemicals should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and does not consider the different hazard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c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고시개정에 필요한 기초자료 즉, 유해화학물질의 특성과 작업형태에 맞는 개인보호구를 선정하는 작업이다. 이미 앞서 발표한 1차 선행논문에서는3) 유해화학물질의 증기압과 흡입독성(LC50을 사용하였음)을 근거로 ‘물질 유해성(hazard ranks)’과 작업공정 및 작업형태별 ‘작업위해성(workplace exposure risks)’을 분석하였고 금번 논문에서는 이 ‘물질유해성’과 ‘작업위해성’을 이용하여 노출위해성 매트릭스(exposure risk matrix)로 만들고 이 매트릭스의 각 카테고리(category)에 맞는 개인보호구를 선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3) 물질유해성과 작업위해성을 통합한 노출위해성 매트릭스를 만들고 (4) 개인보호구에 관한 국내외 자료를 분석한 다음 (5) 매트릭스의 각 카테고리에 맞는 개인보호구를 선정하는 것이다. 지난 연구에서는 (1)(2)단계를 보고하였고 이번 연구에서는 (3)(4)(5)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환경부에서 지정한 69종의 유해화학물질인 사고대비물질 취급자를 위한 개인보호구 사용에 관한 고시를 개정하기 앞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앞서 발표한 연구에서 화학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물질유해성’과 작업에 따른 위험성을 평가한‘작업위해성’에 관한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9월 구미에서 발생하였던 불산가스 누출사고에서 피해 상황은 어떠하였는가? 1) 이중에서도 2012년 9월 구미에서 발생하였던 불산가스 누출사고는 공장근로자 5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당하였으며 산업단지 인근지역의 가축이 죽고 농작물이 고사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였다. 대형 화재·폭발사고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인명피해가 컸던 직접적인 이유는 취급 근로자들이 화학물질의 사고에 대비한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노출위해성 매트릭스의 각 카테고리에 미국 OSHA/EPA에서 정한 Level A,B,C,D를 할당한 이유는 현재 한국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노출위해성 매트릭스의 각 카테고리에는 미국 OSHA/EPA에서 정한 Level A,B,C,D를 할당하였다.6-8)호흡보호구는 방독마스크의 경우 흡착제의 여과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호흡보호구의 종류를 결정하였다.
2012년 9월 구미에서 발생하였던 불산가스 누출사고가 비교적 인명피해가 컸던 직접적인 이유는? 1) 이중에서도 2012년 9월 구미에서 발생하였던 불산가스 누출사고는 공장근로자 5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당하였으며 산업단지 인근지역의 가축이 죽고 농작물이 고사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였다. 대형 화재·폭발사고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인명피해가 컸던 직접적인 이유는 취급 근로자들이 화학물질의 사고에 대비한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Chemistry Safety Cleaning-house. Available: http://csc.me.go.kr/statis/occTypeStatisPList.do [accessed 16 August 2016]. 

  2. Ministry of Environment (ME). Regulation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PPE) for workers handling hazardous chemicals, ME Notice 2014-259. 2014. 

  3. Han D-H, Chung S-T, Kim J-I, Cho Y-S, Lee C-S. A Study on Select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the Listed Hazardous Chemicals (1): Analysis of Hazard Ranks and Workplace Exposure Risks. J Environ Health Sci. 2016: 42(6): 419-429. 

  4. Paik SY, Zalk DM, Swuste P. Application of a pilot control banding tool for risk level assessment and control of nanoparticle exposures. Ann Occup Hyg. 2008; 52(6): 419-428. 

  5. Hashimoto H, Goto T, Nakachi N, Suzuki H, Takebayashi T, Kajiki S, Mori K. Evaluation of the control banding method -Comparison with measurement-based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J Occup Health. 2007; 49; 482-492. 

  6.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29 CFR 1910.120 Appendix B-General description and discussion of the levels of protection and protective gear. Available: https://www.osha.gov/pls/oshaweb/owadisp.show_document?p_tableSTANDARDS&p_id9767, [accessed 29 October 2016]. 

  7.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vailable: https://www.epa.gov/emergency-response/personal-protective-equipment,[accessed 29 October 2016]. 

  8.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Guidance on Emergency Responde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for Response to CBRN Terrorism Incidents. Available: https://www.cdc.gov/niosh/docs/2008-132/pdfs/2008-132.pdf, [accessed 29 October 2016]. 

  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Regulation of approval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PPE). MoEL Notice 2014-46.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