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미기록 진균 5종 보고
A Report of Five Unrecorded Fungal Species of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4 no.4, 2016년, pp.240 - 246  

안금란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김보영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이근식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현민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이찬중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김성환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찐고구마, 저장 마늘,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목재칩, 버섯재배 배지용 농업부산물 등의 식물재료로부터 진균을 조사하던 중 5종의 진균을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동정된 Geomyces pannorum, Neopestalotiopsis javaensis, Ophiognomonia setacea, Penicillium allii, Penicillium chermesinum 등 5종 진균을 국내 미기록 진균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이들 미기록 균류에 대한 배양 배지에서의 집락 형성 특성과 광학현미경 관찰을 의한 미세구조 특성, 그리고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DNA region 또는 calmodulin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반한 분자계통학적 관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a survey of the activities of fungi in steamed sweet potato, stored garlic, agricultural by-products for mushroom cultivation media, and pinewood chips from a pinewood nematode-infected tree, numerous fungal sampl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his study identified five species that have 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소나무에서 다양한 진균이 보고되어 있는 바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7].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들 4가지 식물체 재료로부터 국내 미기록 진균 5종을 분리하여 균 정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eomyces pannorum는 무엇인가? Geomyces pannorum는 토양이나 공기에서 종종 분리되는 주로 사물영양성 분해균이다[19].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람들이 즐겨먹는 식용의 찐고구마에서 분리되어 부생의 오염균으로 생각된다.
마늘 저장중 피해를 많이 주는 병원균 중 자주 발생하는 균은 무엇인가? 특히 마늘 저장중 피해를 많이 주는 병원균으로는 Penicillium hirsutum, Fusarium oxysporum, Stemphyllium botryosum 등이 알려져 있으며 저장방법과 마늘의 상태에 따라 5~50% 정도에 이르는 큰 손실을 주고 있다[5]. 특히 푸른곰팡이가 자주 발생하므로 좀 더 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버섯재배용 배지의 농업부산물로는 면실박, 비트펄프, 밀집, 볏짚, 피트모스 등을 톱밥 등과 함께 섞어서 느타리, 양송이, 표고 등 다양한 버섯 재배에 사용되고 있는 바 농업부산물 출처에 따라 다양한 진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국내에서 보고된 고구마에서 분리한 진균은 무엇이고 증상은 무엇인가?? 2015년 찐 고구마, 저장마늘,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목재칩, 버섯재배용 재료에서 진균을 분리하였으며 시료에 대하여 국내 진균 보고가 존재하는지 문헌검색을 하였다. 국내 고구마에서 분리한 진균의 보고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전북 익산지역의 고구마 재배농가에서 육묘중인 고구마의 지제부가 잘록해지고 줄기가 물러지면서 흰색의 곰팡이가 피어 시들거나 고사하는 증상인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고구마 흰비단병 보고가 있다[4]. 그러나 찐 고구마에서 분리된 진균 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a BS, Ko SC, Jo AR, Kim SR, Kim SW, Ro HS. Microbial diversity inside ancient tombs and burial accessories from Gaya Age. Kor J Mycol 2013;41:67-73. 

  2. Park JE, Jeon YJ, Kim JH, Kim S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lamentous fungi from indoor air of a Sogokju traditional rice wine factory. Kor J Mycol 2008;36:1-8. 

  3. Hong SB, Kim DH, Kim SH, Bang N, Kwon SW. Identification of black Aspergillus strains isolated from Meju. Kor J Mycol 2013;41:132-5. 

  4. Kim JH, Km SC, Cheong SS, Choi KH, Kim DY, Shim HS, Lee WH. Stem rot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Res Plant Dis 2013;19:118-20. 

  5. You OJ, Lee YH, Jin YD, Kim JB, Hwang SG, Han SH, Kim JE. Antifungal activity of pesticides to control dry rot and blue mold during garlic storage. Korean J Pestic Sci 2007;11:331-8. 

  6. Jung J, Han H, Ryu SH, Kim W. Microsatellite variation in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and Buhrer) Nickle in South Korea. Genes Genomics. 2010;32:151-8. 

  7. Hyun MW, Kim JH, Suh DY, Lee SK, Kim SH. Fungi isolated from pine wood nematode, its vector Japanese pine sawyer, and the nematode-infected Japanese black pine wood in Korea. Mycobiology 2007;35:159-61. 

  8. Choi MA, Park SJ, Ahn GR, Kim SH.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from garden plant Pachysandra terminalis. Kor J Mycol 2014;42:262-8. 

  9. Kim SH, Uzunovic A, Breuil C. Rapid detection of Ophiostoma piceae and O. quercus in stained wood by PCR. Appl Environ Microbiol 1999;65:287-90. 

  10. White TJ, Bruns TD, Lee SB, Taylor JW.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Innis MA, Gelfand DH, Sninsky JJ, editor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San Diego: Academic Press; 1990. p. 315-22. 

  11. Hong SB, Cho HS, Shin HD, Frisvad JC, Samson RA. Novel Neosartorya species isolated from soil in Korea. Int J Syst Evol Microbiol 2006;56:477-86. 

  12.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MEGA6: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2013;30:2725-9. 

  13. Saitou N, Nei M.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1987;4:406-25. 

  14. Sigler L, Carmichael JW. Taxonomy of Malbranchea and some other Hyphomycetes with arthroconidia. Mycotaxon 1976;4:349-488. 

  15. Vincent MA, Pitt JI. Penicillium allii, a new species from Egyptian garlic. Mycologia 1989;81:300-3. 

  16. Sogonov MV, Castlebury LA, Rossman AY, Farr DF, White JF. The type species of the genus Gnomonia, G. gnomon, and the closely related G. setacea. Sydowia 2005;57:102-20. 

  17. Maharachchikumbura SS, Hyde KD, Groenewald JZ, Xu J, Crous PW. Pestalotiopsis revisited. Stud Mycol 2014;79:121-86. 

  18. Biourge P. Les moisissures du groupe Penicillium Link: etude monographique. Leuven: L'Universite De Louvain; 1923. 

  19. Gianni C, Caretta G, Romano C. Skin infection due to Geomyces pannorum var. pannorum. Mycoses 2003;46:430-2. 

  20. Valdez JG, Makuch MA, Ordovini AF, Masuelli RW, Overy DP, Piccolo RJ. First report of Penicillium allii as a field pathogen of garlic (Allium sativum). New Dis Rep 2006;13:4. 

  21. Singh PD, Johnson JH, Aklonis CA, Bush K, Fisher SM, O'Sullivan J. Two new inhibitors of phospholipase A2 produced by Penicillium chermesinum. Taxonomy, fermentation, isolation structre determination and biological properties. J Antibiot (Tokyo) 1985;38:706-12. 

  22. Kostrzewa-Suslow E, Dmochowska-Gladysz J, Bialoska A, Ciunik Z. Microbial transformations of flavanone by Aspergillus niger and Penicillium chermesinum cultures. J Mol Catal B Enzym 2008;52-53;3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