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분리된 미기록 진균 18종 보고
A Report of Eighteen Unrecorded Fungal Spec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5 no.4, 2017년, pp.292 - 303  

안금란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최민아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김지은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서은지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김준영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김성환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6년 버섯 재배사 내 실내공기, 식물병반(동백나무의 잎, 줄딸기, 은방울꽃, 생강나무), 버섯 배양배지 재료, 오염된 가구 등에서 진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동정된 진균 중 18종이 국내 미기록임을 확인하였다. 동정된 진균은 버섯 재배사 내 실내공기에서 6종, 식물병반에서 6종, 버섯 배양배지 재료에서 5종, 오염된 가구에서 1종이 각각 분리되었다 이들 동정된 균주에 대한 형태학적 특성과 ITS rDNA, 18S rDNA, 28S rDNA, calmodulin gene,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gene, ${\beta}-tubulin$ gene 등의 염기서열에 기반한 분자계통학적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a survey of culturable fungi in Korea, 18 unrecorded fungal speci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indoor air of mushroom cultivation houses, the materials used for preparation of mushroom cultivation media, wild plants, and funitures. This study reports the descriptions of the 18 un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버섯 재배사 내 실내공기, 버섯 배양배지용 재료, 식물병반(동백나무, 줄딸기, 은방울꽃, 생강나무)과 오염된 가구에서 분리하여 동정된 진균 중 국내 미기록 18종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균은 생물 분류상 어디에 속하는가? 생물분류상 제 5계에 속하는 진균의 생물다양성 조사를 위하여 국내외로 여러 환경 매체(식물, 공기, 토양, 동물 등)에서 진균이 분리 · 동정되었고 미기록 종들이 보고되어 왔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최근 국내에서 진균을 분리 · 동정하여 보고한 미기록 종의 내용을 보면 그 출처는 흙, 식물의 뿌리, 버섯 배양배지의 재료, 버섯 재배사 내 실내공기, 버섯파리, 흙 등 다양하다[1-5].
DK11-6은 무엇을 방출하였는가? 2D). 또한 DK11-6은 중앙의 핑크색의 균사에서 아이보리색으로 생장하며 옅은 핑크색의 pigment를 방출하였다(Fig. 2F).
동백나무 잎의 병반에서 분리한 균주DK11-1의 색은 어떠한가? 2M). 식물병반 시료에서 분리한 진균 중 동백나무 잎의 병반에서 분리한 DK11-1은 올리브색 또는 짙은 녹색이며, 불규칙한 모양을 나타냈고(Fig. 2A), DK11-2는 옅은 회색의 균사로 촘촘하게 생장하며 중앙에는 올리브색 또는 녹회색의 균사로 생장하였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GR, Kim BY, Lee GS, Hyun MW, Lee CJ, Kim SH. A report of five unrecorded fungal species of Korea. Kor J Mycol 2016;44:240-6. 

  2. Park S, Lee SY, Lee JJ, Lee HB, Ten L, Jung HY. First report of Simplicillium cylindrosporum isolated from soil in Korea. Kor J Mycol 2017;45:139-44. 

  3. Adhikari M, Kim HS, Gurung SK, Bazie S, Lee HG, Lee HB, Lee YS. Two new records of ascomycetes from crop field soils in Korea. Kor J Mycol 2017;45:167-74. 

  4. Park H, Eom AH. Two novel specie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roots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in Korea. Kor J Mycol 2017;45:229-33. 

  5. Han SM, Lee SY, Lee HB, Lee JS.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soils of reed fields in Seocheon-gun county,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yeasts. Kor J Mycol 2017;45:234-40. 

  6. Lee GS, Kim JY, Kim BY, Hyun MW, Lee CJ, Kong WS, Kim SH. Detection of fungi in imported supplemental substrates for mushroom cultivation media. J Odor Indoor Environ 2016;15:337-44. 

  7. Ahn GR, Ahn HS, Kwon HW, Ko HG, Kim SH. Unrecorded fungi isolated from indoor air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field test of a newly bred domestic shiitake cultivar. J Mushrooms 2016;14:168-73. 

  8. Lee SG. Understanding tree anthrax. J Tree Prot 2016;20:57-64. 

  9.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Indoor air--Part 18: Detection and enumeration of moulds -- Sampling by impaction. Geneva: ISO; 2011. 

  10. Ahn GR, Kim BY, Kim JE, Son BS, Park MK, Kim SY, Kwon MH, Kim SH. Study on sampling methods for mold from indoor air in domestic environment. J Odor Indoor Environ 2017;16:47-53. 

  11. Ahn GR, Kwon HW, Ko HK, Kim SH. Unrecorded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greenhouses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in Korea. Kor J Mycol 2016;44:8-15. 

  12. Choi MA, Park SJ, Ahn GR, Kim SH.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from Garden Plant Pachysadra terminalis. Kor J Mycol 2014;42:262-8. 

  13. White TJ, Bruns TD, Lee SB, Talyor JW.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Innis MA, Gelfand DH, Sninsky JJ, White TJ, editor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San Diego: Academic Press; 1990. p. 315-22. 

  14. Evidente A, Ricciardiello G, Andolfi A, Sabatini MA, Ganassi S, Altomare C, Favilla M, Melck D. Citrantifidiene and citrantifidiol: bioactive metabolites produced by Trichderma citrinoviride with potential antifeedant activity toward aphids. J Agric Food Chem 2008;56:3569-73. 

  15. Kim SH, Uzunovic A, Breuil C. Rapid detection of Ophiostoma piceace and O. quercus in stained wood by PCR. Appl Environ Microbiol 1999;65:287-90. 

  16. Hong SB, Cho HS, Shin HD, Frisvad JC, Samson RA. Novel Neosartory species isolated from soil in Korea. Int J Syst Evol Microbiol 2006;56:477-86. 

  17.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2013;30:2725-9. 

  18. Saitou N, Nei M.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1987;4:406-25. 

  19. Hubert J, Fourrier C, Laplace D, Ioos R. First report of pineapple black rot caused by Ceratocystis paradoxa on Ananas comosus in French Guiana. Plant Dis 2014;98:1584. 

  20. Basham JT, Good HM, Taylor LD. The ecological status of Coniochaeta velutina in sugar maple wounds. Can J Bot 1969;47:1629-34. 

  21. Asgari B, Zare R, Gams W. Coniochaeta ershadii, a new species from Iran, and a key to well-documented Coniochaeta species. Nova Hedwigia 2007;84:175-87. 

  22. Santana KF, Garcia CB, Matos KS, Hanada RE, Silva GF, Sousa NR. First report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aethianum on Allium fistulosum in Brazil. Plant Dis 2016;100:224. 

  23. Vieira WA, Michereff SJ, Oliveira AC, Santos A, Camara MP. First report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aethianum on Hemerocallis flava in Brazil. Plant Dis 2014;98:9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