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애주기에 따른 이웃관계의 형성요인과 공간적 특성
Caus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Relations by Family Life Cycle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1, 2016년, pp.1 - 11  

정유진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최막중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residents' survey data in Seoul,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answer to four research questions regarding neighborhood relations (NR) which are necessary for community building: How important NR is compared to other social relations, what factors establish NR, how large NR's geograp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점에서 특히 본 연구는 이웃관계가 생애주기(life cycle)에 따라 동태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러한 가능성은 부분적이지만 그동안 국내 연구에서 자녀의 출산, 육아, 교육 등과 관련된 생애주기 단계별로 이웃과의 교류 빈도(Chung & Mun, 1990; Won, 1997; Won & Ok, 2002), 이웃의 공간적 분포(Lee, 2011), 교류공간(Jin, Lee, & Kim, 2001; Shin & Yon, 2006)에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는 점에서 엿볼 수 있다.
  • 이러한 가능성은 부분적이지만 그동안 국내 연구에서 자녀의 출산, 육아, 교육 등과 관련된 생애주기 단계별로 이웃과의 교류 빈도(Chung & Mun, 1990; Won, 1997; Won & Ok, 2002), 이웃의 공간적 분포(Lee, 2011), 교류공간(Jin, Lee, & Kim, 2001; Shin & Yon, 2006)에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는 점에서 엿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애주기 단계에 따라 이웃관계의 중요성과 형성요인, 그리고 공간적 범위와 교류장소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 최근 도시계획 흐름에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지역공동체는 공간적으로 주거지를 공유하고 있는 주민간 이웃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우리나라 도시의 주거지에서 이웃관계가 얼마나 중요하고 어떠한 계기와 요인에 의해 형성되는지, 그리고 이웃관계의 지리적 범위와 교류장소는 어떠한 공간적 특성을 갖는지를 설문자료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양한 통계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되거나 또는 일치되지 않은 결과들이 발견되었지만, 가장 중요하게 확인된 점은 이웃관계가 결코 모든 주민에게 보편적이고 일률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웃관계란 무엇인가?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생존을 위한 욕구 충족과 자신의 존재가치, 즉 자아실현을 위해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하며 사회관계를 맺는다(Kang, 2004: 162-165). 이웃관계는 여러 비혈연 사회관계 중의 하나로서 지연·학연 등에 의해 형성되는 친구관계, 직장이나 자발적 모임 등의 단체활동에 의해 형성되는 동료관계와는 달리, 함께 거주하는 지역이라는 물리적 공간을 매개로 형성되는 사회관계이다. 즉, 이웃관계는 공간적 근접성에 기반한 사회관계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웃관계가 생애주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이러한 점에서 특히 본 연구는 이웃관계가 생애주기(life cycle)에 따라 동태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러한 가능성은 부분적이지만 그동안 국내 연구에서 자녀의 출산, 육아, 교육 등과 관련된 생애주기 단계별로 이웃과의 교류 빈도(Chung & Mun, 1990; Won, 1997; Won & Ok, 2002), 이웃의 공간적 분포(Lee, 2011), 교류공간(Jin, Lee, & Kim, 2001; Shin & Yon, 2006)에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는 점에서 엿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애주기 단계에 따라 이웃관계의 중요성과 형성요인, 그리고 공간적 범위와 교류장소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의 도시계획에서 중시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도시계획에서는 주민참여, 나아가 주민주도의 상향식(bottom-up) 계획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이론적으로 계획의 결과보다 과정의 정당성을 중시하고, 주민들의 자발적 의사결정을 도모하기 위한 의사소통 등 상호 관계의 형성에 초점을 맞춘 협력적 계획 이론(collaborative planning theory)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aplow, T., & Forman, R. (1950). Neighborhood interaction in a homogeneous commun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5(3), 357-366. 

  2. Chatters, L., Taylor, R., & Neighbors, H. (1989). Size of informal helper network mobilized during a serious personal problem among black american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1(3), 667-676. 

  3. Choi, Y., & Yoo, S. H. (2005). The residents' perception about neighborhood boundaries on the town around a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0(7), 185-196. 

  4. Chun, H.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o promote livability of community. Housing Studies Review, 9(1), 143-172. 

  5. Chun, H. (2004). A study on the social capital of apartment complex in large citi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8(4), 215-247. 

  6. Chung, C. S., & Mun, Y. G. (1990). A study of neighborliness in metropolitan area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3, 171-189. 

  7. Fellin, P., & Litwak, E. (1963). Neighborhood cohesion under conditions of mobil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8(3), 364-376. 

  8. Gans, H. (1961). Planning and social life: friendship and neighbor relations in suburban commun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27(2), 134-140. 

  9. Gans, H. (1967). The Levittowners: Ways of Life and Politics in a New Suburban Community. New York: Vintage Books. 

  10. Healey, P. (2006). Collaborative Planning: Shaping Places in Fragmented Societies. New York: Palgrave Macmillan. 

  11. Ishii-Kuntz, M., & Seccombe, K. (1989). The impact of children upon social support networks throughout the life cours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3), 777-789. 

  12. Jin, M. Y., Lee, Y. M., & Kim, H. R. (2001). A survey on the sense of neighborhood and social interaction of apartments' resid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9), 75-82. 

  13. Kang, D. K., & Hong, D. S. (1982).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neighborhood formation in a Korean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16, 123-140. 

  14. Kang, D. K. (2004). Understanding and quest for community. Seoul: Acanet. 

  15. Kasarda, J., & Janowitz, M. (1974). Community attachment in mass society.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39(3), 328-339. 

  16. Kim, J., & Kaplan, R. (2004).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sense of community: new urbanist Kentlands and nearby Orchard Village. Environment and Behavior, 36, 313-340. 

  17. Kim, J. E., & Choi, M. J. (2012). Empirical analyses of physical exclusiveness of multi-family housing estates in Seoul and its socioeconomic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3(5), 103-111. 

  18. Kim, J. O. (1999). The study of communal and common ties in urban community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19. Lee, K. H. (2009). Effects of neighborhood's walking environment on resident's sense of community-A case study of 12 areas in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7), 203-210. 

  20. Lee, S. J. (1996). A study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ommon territory in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1(5), 171-185. 

  21. Lee, W. Y. (2011). Current issues and development strategics for community facilities in national rental hou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22. Lund, H. (2002). Pedestrian environments and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21(3), 301-312. 

  23. Mayo, J. (1979). Effects of street forms on suburban neighborhood behavior. Environment and Behavior, 11(3), 375-397. 

  24. Min, B. H., Yeom, S. J., Lee, J. U., & Lee, J. M. (2006). A study on gathering places and community behavior settings in urban neighborhood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1), 39-47. 

  25. Oh, S. (1992). The family's primary social network, the family's participation in social networks, and social networks in job hunting, by social clas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0(3), 177-191. 

  26. Rhee, U., & Yoo, G. (1999). Social networks,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with school children. Yonsei Journal of Human Ecology, 13, 95-107. 

  27. Shin, Y. J., & Kim, Z. I. (1989). Neighboring of housewives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1), 15-20. 

  28. Shin, Y. S., & Yon, T. G. (2006). An analysis of residents' needs for residents'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s across family life cycle stag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6), 57-64. 

  29. Sohn, S. K. (1986). An organizing pattern of social places and design of urban working-class neighborhood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21(3), 151-169. 

  30. Sohn, S. W. (1996). A study on the center and boundary at the multi-dwelling housing estat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9), 163-172. 

  31. Song, M. G. (2009). A study on the use of and demand on communit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apartment complexes: A case study of Young-In Dong-Baek area.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15(2), 167-183. 

  32. Tomeh, A. (1964). Informal group participation and residential pattern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0(1), 28-35. 

  33. Wilson, R. (1971). Anomie in the Ghetto: A study of neighborhood type, race, and anomi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7(1), 66-88. 

  34. Won, H. J. (1997).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 types of housewives in urban nuclear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5. Won, H. J., & Ok, S. W. (2002). A study on the types of social networks of housewives in urban nuclear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4), 149-164. 

  36. Yim, S. H., Lee, C. W., & Jeon, H. S. (2003). Restoration of local community based on apartment residential spa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9(3), 314-328. 

  37. Yoon, B. C., Lee, K. H., & Lee, S. J. (1989). A study on the social behavior of apartment residents in the context of neighborhood activ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4), 47-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