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귀류법에 대한 교사 지식 분석 -'교과 내용 지식' 및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eacher's Knowledge about Reductio Ad Absurdum -Focused on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5 no.1, 2016년, pp.91 - 106  

황진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  신보미 (전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knowledge about reductio ad absurdum.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conducted didactical analysis about reductio ad absurdum through examining previous researches and developed a questionnaire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현직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귀류법에 대한 교사 지식을 ‘교과 내용 지식’과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귀류법 지도와 관련된 교사 교육과정의 설계와 실행에의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이에 이 연구는 현직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귀류법에 대한 교사 지식을 ‘교과 내용 지식’과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귀류법 지도와 관련된 교사 교육과정의 설계와 실행에의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 이하에서는 귀류법에 대한 교사 지식의 특징을 알아보는 지필 검사 문항의 개발 관점을 추출하고 지필 검사 결과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주요 이슈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귀류법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결과를 기술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귀류법에 의한 증명에서 가정한 ‘\(\sqrt{3}\) 이 유리수이다’는 ‘어떤 수가 \(\sqrt{3}\) 인데 이것이 유리수이다’라는 의미로써 ‘p∧∼q’을 가정한 것이다.
  • 명제 : 자연수 n에 대하여 n2이 짝수이면 n도 짝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귀류법이란 무엇인가? 귀류법에 의한 증명은 ‘p ⇒ q ’을 증명하기 위해 이와 동치명제인 ‘(p∧∼q)⇒ 모순 ’을 증명하는 방법이다(송형수, 2008). 즉, 귀류법은 명제의 결론에 대한 부정을 하나의 새로운 전제로 삼아 주어진 가정에 덧붙임으로써 모순을 이끌어 내어 원래 명제가 참임을 보이는 증명법이다(이병무, 2009; Lin & Lin, 2008). 이상에 따르면 p ⇒ q 을 귀류법으로 증명하는 과정에서 ‘p∧∼q ’을 가정하는 것은 ‘p → q ’와 동치 명제인 ‘∼p∨q ’의 부정을 가정하는 것으로, 명제 p → q 이 참임을 주장하고자 할 때 p → q 이 참임을 부정하여 거짓이라고 하면 모순이 유도되기 때문에 p → q 은 참일 수밖에 없음을 보이는 사고 전략에 따른 것이다.
귀류법 지도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귀류법의 의미 및 논리적 구조에 대한 교사들의 교과 내용 지식에 미흡한 부분이 있으며, 귀류법에 대한 학생의 불충분한 이해를 인식하고 이를 진단하는 교사 지식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이나 준비 기간에 대한 고려 없이, 교육과정 상의 주요 내용 요소로서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다루어진 적이 없는 귀류법을 급작스럽게 도입하였다.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수학 Ⅱ 교과서 7종에서 설명하고 있는 귀류법의 의미는 그 명확성과 관련하여 다소간의 논란의 여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학교 현장에서는 기존의 증명 지도와 관련된 어려움 이상으로 귀류법 지도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증명법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증명법은 크게 직접증명법과 간접증명법으로 나눌 수 있다(송형수, 2008). 직접증명법은 참으로 인정되는 몇개의 명제에서 출발하여 가정 p 로부터 결론 q 을 유도 함으로써 명제 p → q 가 참임을 증명하는 방식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곽주철, 류희주 (2008). 평면도형에 대한 교사의 PCK와 수업 실제의 비교분석, 학교수학 10(3), 423-441.(Kwak, J. C. & Ryu, H. S.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CK of teachers on plane figure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School mathematics 10(3), 423-441.)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서울: 교육과학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Mathematics curriculum. MEST announcement 2011-361 [Seperate Volume 8]. Seoul: MEST) 

  3. 김영옥 (2009). 대학 신입생들의 명제에 대한 이해, 학교수학 11(2), 261-280.(Kim, Y. O. (2009). First-year undergraduat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statements. School mathematics 11(2), 261-280.) 

  4. 김원경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비상교육.(Kim, W. K. et al. (2014). High school mathematics II. Seoul: Visang.) 

  5. 김희정, 박은진 (200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논리. 서울: 아카넷.(Kim, H. J. & Park, E. J. (2004). Logic for critical thinking. Seoul: Acanet.) 

  6. 노영순 (2010). 알기 쉬운 집합론. 서울: 교우사.(Noh, Y. S. (2010). Set theory. Seoul: Kyowoosa.) 

  7. 박경미 (2009).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수학교육 48(1), 93-105.(Park, K. M. (2009). A meta review of the researches on PCK in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8(1), 93-105.) 

  8. 박선화, 박은아, 서민희 (2013). 고등학교 성취평가제 운영의 실제-수학-.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Park, S. H., Park, E. A., & Suh, M. H. (2013). A study on developing operational plans for implementing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in high schools: Mathematics.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9. 박지현 (2008). 학습자의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사례 연구 -중학교 1학년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Park, J. H. (2008). A case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students' misconceptions and errors: Focused on the 7th grade function part. Unpublished a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0. 방정숙, 정유경 (2013). 수학 수업에서 드러나는 교사 지식을 분석하기 위한 틀로서의 '교사 지식의 사중주(Knowledge Quartet)', 수학교육 52(4), 567-586.(Pang, J. S. & Jung, Y. K. (2013). 'The knowledge quartet' as a framework of analyzing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4), 567-586.) 

  11. 송형수 (2008). 기초 집합론. 서울: 교우사.(Song, H. S. (2008). Basic set theory. Seoul: Kyowoosa.) 

  12. 안선영, 방정숙 (2006).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1), 25-41.(An, S. Y. & Pang, J. S. (2008).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practice: Focusing on the area of plane figur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6(1), 25-41.) 

  13. 우정호 (200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Woo, J. H. (2008). Educational basis of school mathematics. Seoul: SNU press.) 

  14. 이경은(2007). 수업 실제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관한 사례연구-중학교 도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Lee, K. E. (2007).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presented in teaching practice: Focusing on the case of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roperty of figure'. Unpublished 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5. 이병무 (2009). 집합론의 이해. 서울: 경문사.(Lee, B. M. (2009). Set theory. Seoul: Kyungmoonsa.) 

  16. 이준열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천재교육.(Lee, J. Y. et al. (2014). High school mathematics II. Seoul: Chunjae.) 

  17. 조성민(2006).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본 수학교사 지식과 수업의 관련성 연구-고등학교 함수 내용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Cho, S. M. (2006).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knowledge and classroom practice evaluated from curriculum implementation perspective: Focused on knowledge of function in mathematics. Unpublished a doctoral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8. Akkoc H., Yesildere, S., & Ozmantar, F. (2007).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definite integral: the problem of limit process. Proceedings of the British society for research into learning mathematics 27(3), 7-12. Great Britain; British Society for Research into Learning Mathematics. 

  19. Antonini, S. (2006). Indirect proof : An interpreting model. In J. Novotana, H. Moraova, M. Kratka, & N. Stehlikova (Eds.), Proceedings of the 30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p. 190-197). Prague, Czech Republic. 

  20. Antonini, S. & Mariotti, M. A. (2007). Indirect proof: An interpreting model. Proceedings of the 5th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 541-550. 

  21. Ball, D., Hill, H., & Bass, H. (2005). Who knows mathematics well enough to teach third grade and how can we decide? American educator, 29(1), 14-46. 

  22. Ball, D., Thames, M.,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23. Chick, H., Baker, M., Pham, T., & Cheng, H. (2006). Aspect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decimals. In J. Novotana, H. Moraova, M. Kratka, & N. Stehlikova (Eds.), Proceedings of the 30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2, pp. 297-304). Prague, Czech Republic. 

  24. Durand-Guerrier, V. (2003). Which notion of implication is the right one? From logical considerations to a didactic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3, 5-34. 

  25. Fennema, E. & Frnake, L. M. (1992). Teachers' knowledge and its impact. In D. A. Grouws (Eds.),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147-164). NY: Macmillan. 

  26. Freudenthal, H. (1974).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7. Fulks, W. (2014). Advanced calculus: An introduction to analysis. USA: Wiley. 

  28. Greer, B., & Mukhopadhyay, S. (2005). Teaching and learning the mathematization of uncertainty: Historical,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In G. A. Jones (Eds.), Exploring probability in school: Challeng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p. 297-324). USA: Springer. 

  29. Hiebert, J. (2013). The constantly underestimated challenge of improving mathematics instruction. In K. R. Leatham (Eds.) Vital direction for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pp. 45-56). New York: Springer. 

  30. Jacquette, D. (2008). Mathematical proof and discovery reductio ad absurdum. Informal logic 28(3), 242-261. 

  31. Levenson, E. (2012). Teachers' knowledge of the nature of definitions: The case of the zero exponent.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31, 209-219. 

  32. Lin & Lin (2008). 집합론. (이흥천 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99년 출판). 

  33.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34. Misailidou, C. (2008). Assessing and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new approach. In O. Figueras, J. L. Cortina, S. Alatorre, T. Rojano, & A. Sepulveda (Eds.), Proceedings the 32nd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3, pp. 391-398). Morelia, Mexico. 

  35. Petrou, M. & Goulding, M. (2011). Conceptualis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In T. Rowland & K. Ruthven (Eds.),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pp. 9-25). New York: Springer. 

  36. Polya, G. (2005).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서울: 교우사. (원저 1956년 출판). 

  37. Rowland, T. & Ruthven, K. (2011). Introduction: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In T. Rowland & K. Ruthven (Eds.),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pp. 1-8). New York: Springer. 

  38. Rubenstein, R. N., Craine, T. V., & Butts, T. R. (2000). Integrated mathematics 3. Boston: McDougal Littell. 

  39. Rutheven, K. (2011). Conceptualising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In T. Rowland & K. Ruthven (Eds.),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pp. 83-96). New York: Springer. 

  40.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41.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42. Stein, M. K., Pemillard, J., & Smith, M. S. (2007). How curriculum influences student learning. In F. K. Lester (Eds.),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319-369).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43. Steinbring, H. (2011). Changed views on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course of didactical theory development: Independent corpus of scientific knowledge or result of social constructions? In T. Rowland & K. Ruthven (Eds.),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pp. 43-64). New York: Springer. 

  44. Watson, A. & Barton, B. (2011). Teaching mathematics as the contextual application of mathematical modes of enquiry. In T. Rowland & K. Ruthven (Eds.),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pp. 65-82). New York: Springer. 

  45. Wu, Y. J., Lin, F., & Lee, Y. (2003). Students' understanding of proof by contradiction. Proceedings of the 2003 joint meeting of PME and PMENA (Volume 2, pp. 443-449). Honolulu, H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