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과서의 귀류법 도입과 활용에 대한 고찰 및 개선 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of Introductions and Applications of 'Proof by Contradiction' in Textbook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4, 2016년, pp.839 - 856  

이기돈 (경인고등학교) ,  홍갑주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 개정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해 '증명'을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옮기는 한편, 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공식적으로는 도입되지 않았던 '귀류법'을 고등학교 1학년 과목의 '학습내용 성취 기준'에 명시하였다. 귀류법은 어떤 명제가 참임을 보이기 위해 오히려 그 명제를 부정하는 귀류법 가정의 독특함으로 인해 인지적 갈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귀류법에 대한 논리수학적 및 역사적 분석을 바탕으로 새로이 도입된 현 교과서의 귀류법 도입 및 활용에 대해 살펴보고 발견, 설명, 융합 등의 관점에서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발견의 과정을 먼저 서술한 후 귀류법적 사고를 도입하고, 귀류법 가정이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부분을 분리시켜 설명하되 유기적으로 서술하며, 대우를 이용한 증명법과의 관계를 밝혀 상호 보완적으로 다루고, 융합교육적 관점을 도입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09 revision and 2015 revision mathematics national curriculum, 'proof' was moved to high school from middle school in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of students, and 'proof by contradiction' was stated in the "success criteria of learning contents" of the first year high scho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명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증명이 정당화 뿐 아니라 설명, 이해, 의사소통, 발견 등의 역할을 하지만 증명 교육이 정당화 이외의 역할에 대해서는 소홀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나귀수, 2014; 우정호, 2001; Knuth, 2002; Schoenfeld, 1994; Steiner, 1978). 귀류법의 이해와 활용에 있어서 보고되는 어려움들은 논리수학적으로 정당한 귀류법 서술만으로는 심리적으로 적절한 설명이나 이해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귀류법이 비판의 대상이 된 이유는? 특히 Archimedes는 특유의 과감한 추론으로 얻은 포물선 절단부의 넓이, 원의 넓이, 구의 부피와 겉넓이 등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증명하는데 귀류법을 능숙하게 활용하였다(홍갑주, 2008). 귀류법은, 르네상스 시대에는 Aristotle가 과학적 지식의 조건으로서 천명한 원인(cause)을 밝혀주지 못한다는 점에서(Mancosu, 1992), 20세기 이후에는 배중률을 받아들이지 않는 직관주의자들에 의해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지만, 여전히 “수학자의 가장 훌륭한 무기 가운데 하나(Hardy, 2005: 60)”로 평가받으며 그 입지를 지키고 있다.
Aristotle가 공식화한 모순의 원리는 무엇인가? (존재론적 공식화) 같은 특성이 하나의 대상에 속하면서 동시에 그 대상에 속하지 않을 수는 없다. (논리적 공식화) 반대되는 두 명제들은 동시에 참일 수 없다. (심리적 공식화) 반대되는 두 명제들에 대응하는 두 개의 믿는 행위는 같은 의식에 존재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2. 교육부(1992). 제6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3. 교육부(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2014.9.24.자 보도자료. 

  4. 교육부(2015).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5. 김중명(2013). 열세 살 딸에게 가르치는 갈루아 이론. (김슬기, 신기철 역), 서울: 승산. 

  6. 김창동, 장경윤, 김응환, 문광호, 이병헌, 이채형, 차순규, 박윤근, 이소영, 정지현, 이병하, 김성남, 주정오, 권백일, 장인선(2014). 수학II. 교학사. 

  7. 나귀수(2014). 수학교사의 증명과 증명 지도에 대한 인식 -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를 중심으로 -. 수학교육논문집, 28(4), 513-528. 

  8. 문교부(1973). 제3차 중학교 교육과정. 

  9. 문교부(1981). 제4차 중학교 교육과정. 

  10. 박현주, 변수용, 심재호, 백윤수, 정진수(2016).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의 STEAM 교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69-679. 

  11. 신항균, 이광연, 박세원, 신범영, 이계세, 김정화, 박문환, 윤정호, 박상의, 서원호, 전제동, 이동흔(2014). 수학II. (주)지학사. 

  12.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13. 우정호(2001).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부. 

  14. 유원기(2001). 아리스토텔레스 영혼에 관하여. 서울: 궁리출판. 

  15. 이강섭, 황석근, 김부윤, 심성아, 왕규채, 송교식, 김진석, 김경돈, 주창수, 양인웅, 차주연, 정재훈, 김원일, 조보관, 김원중(2014). 기하와 벡터. (주)미래엔. 

  16. 이기돈(2014). 수학 내러티브의 교육적 활용.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7. 이기돈(2016). 상상의 수학, 상상하는 수학의 교육. 수학교육학연구, 26(1), 103-119. 

  18. 인천광역시교육청(2013). 인정도서 심사 예비 합격 공고. 인천광역시교육청 공고 제2013-127호. 

  19. 조형미(2009). 증명 평가를 통한 교사의 귀류법 이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홍갑주(2008). 아르키메데스 수학의 교육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황선욱, 강병개, 한길준, 한철형, 권혁천, 김의석, 유기종, 정종식, 김민정(2014). 중학교 수학 (3). 좋은책 신사고. 

  22. 황선욱, 강병개, 김영록, 윤갑진, 김수영, 송미현, 이성원, 도종훈, 이문호, 박효정, 박진호 (2014). 수학II. 좋은책 신사고. 

  23. 황진연, 신보미(2016). 귀류법에 대한 교사 지식 분석 - '교과 내용 지식' 및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 55(1), 91-106. 

  24. Antonini, S., & Mariotti, M. A. (2006). Reasoning in an absurd world: difficulties with proof by contradiction. In Proceedings of the 30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PME (Vol. 2, pp. 65-72). 

  25. Barnard, T., & Tall, D.(1997). Cognitive units, connections and mathematical proof. In PME conference (Vol. 2, pp. 41-48). The program committee of the 18th PME conference. 

  26. Epp, S. S.(2010). Discrete mathematics with applications. Cengage Learning. 

  27. Hammack, R. H. (2013). Book of Proof.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28. Hardy, G. H.(2005). 어느 수학자의 변명. (정회성 역), 서울: 세시. 

  29. Hardy, M., & Woodgold, C.(2009). Prime simplicity. The Mathematical Intelligencer, 31(4), 44-52. 

  30. Heath, T. L.(2002). The works of Archimedes. New York: Dover Publications. 

  31. Jacquette, D.(2008). Mathematical Proof and Discovery Reductio ad Absurdum. Informal Logic, 28(3), 242-261. 

  32. Joshi, M. (2015). Contrapositive and Contradiction. In Proof Patterns (pp. 33-4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33. Jourdan, N., & Yevdokimov, O. (2016). On the analysis of indirect proofs: Contradiction and contraposition. Australian Senior Mathematics Journal, 30(1), 55. 

  34. Knuth, E. J. (2002). Teachers' conceptions of proof in the context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5(1), 61-88. 

  35. Leron, U.(1985). A direct approach to indirect proof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6(3), 321-325. 

  36. Lukasiewicz, J., & Wedin, V.(1971). On the principle of contradiction in Aristotle. The Review of Metaphysics, 24(3), 485-509. 

  37. Mancosu, P. (1992). Aristotelian logic and Euclidean mathematics: Seventeenth-century developments of the Quaestio de certitudine mathematicarum.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Part A, 23(2), 241-265. 

  38. Meyer, B. J. F.(1975). The organization of prose and its effects on memory. New York: Elsevier. 

  39. Reid, D. A., & Dobbin, J.(1998). Why is proof by contradiction difficult?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PME (22nd, July 12-17, 1998.) Volume 4, 41. 

  40. Schoenfeld, A. H.(1992). Learning to think mathematically: Problem solving, metacognition, and sense making in mathematics.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334-370. 

  41. Schoenfeld, A. H. (1994). What do we know about mathematics curricula?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3(1), 55-80. 

  42. Solomon, R. C.(2002). GCSE mathematics Higher 2. John Murrary Publishers. 

  43. Stanic, G., & Kilpatrick, J.(1988). Historical perspectives on problem solving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R. Charles & E. Silver (Eds.), The teaching and assess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p.1-2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4. Steiner, M. (1978). Mathematical explanation. Philosophical Studies, 34(2), 135-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