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동인구를 활용한 대피소 수용 능력 분석
A Spatial Analysis of Shelter Capacity Using Floating Population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4 no.1, 2016년, pp.1 - 10  

김미경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강신혜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김상필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손홍규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은 많은 인구 및 도시 기능이 집중된 거대 도시로, 재난 및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긴급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소는 필수적이다. 현재 서울시 대피소의 숫자는 수용능력 면에서 보면 서울시 인구의 두 배 이상을 상회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의 경우, 거주지의 인구분포와 유동인구를 포함한 낮 시간대의 인구분포는 상이하다. 따라서 대피소의 실질적인 수용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인구 분포의 유동적인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유동인구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대피소의 실질적인 접근성 및 수용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행자 도로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대피소의 접근성을 파악하고 거주인구 및 유동인구에 따른 지역적 수용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지역 내 대피소의 분포에 따라 취약한 지역과 현재의 대피소 위치 선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oul, a mega city, contains many features of the modern city. When the disaster or emergency occurs in Seoul, the place for shelter is required for evacuation urgently. There are currently the numbers of shelters in Seoul City, which can hold the twice more capacity of population of Seoul. Howe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 연구들은 보행거리 산정을 위해 보행자 도로가 아니라 차량이 이동하는 2차선 이상의 간선 도로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강남지역(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을 대상으로 하여 유동인구를 활용한 주간활동인구의 추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보행자도로 기반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피소 서비스 지역 및 공간적 차이 분석을 통해 보다 실질적인 대피 수용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설 설정

  • 1. 모든 종사자는 일반적인 주중(월-금), 낮 시간에 일한다.
  • 2. 상주인구 중 통근·통학을 하지 않는 인구는 해당 지역에 계속 머무른다.
  • 3. 동일 시군구 내 다른 시군구로의 유출 비율은 동일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yun, M. and Seo, U. (2011), How to measure daytime population in urban streets?: Case of Seoul pedestrian flow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Vol. 12, No. 2, pp. 27–50. (in Korean). 

  2. Choi, J. and Joo, S. (2014), GIS spatial analysis base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suitability of emergency evacuation in Cheongju, Regional Policy Research, Vol. 25, No. 1, pp. 109–120. (in Korean). 

  3. Yu, H. (2015), Men in Gangnam for drink, women in Gangbuk for taste, news.chosun.c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2/10/2015021000456.html(last date accessed: 20 September 2015). 

  4. E-Nara index (2015), Occurrences of natural disaster and human disaster, Statistics Korea,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27 (last date accessed: September 2015). 

  5. Eun, K.-S. (2001), Social stratification of the great Seoul area: A comparative study using two types of popula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24, No. 1, pp. 41–65. (in Korean). 

  6. Jung, Y.-J. and Lee, J.-H. (2013), Research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helter spaces in preparation against natural and other disasters - focused on the Seongbuk-gu district, Proc.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3, No. 1, pp. 7–8. (in Korean). 

  7. Kang, S. (2015), A Study on the Selection of Vulnerable Area for Disaster Shelter Using Network Analysi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9p. (in Korean). 

  8. Kim, H.-T. (2009), The impacts of jobs-housing balance on commuting (1990-2005) - focused on the capital region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4, No. 7, pp. 171–184. (in Korean). 

  9. Lee, H. and Sung, M. (2013), GIS based analysis for the capacity of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in Cheonan - focused on class-2 shelters in old downtow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14, No. 9, pp. 4572–4579. (in Korean). 

  10. Lee, S.H., Goo, S.H., Chun, Y.W., and Park, Y.J. (2015), The spatial location analysis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 for considering resistance of road slope and difference of walking speed by age – case study of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3, No. 2, pp. 69–77. (in Korean). 

  11. Ma, S. and Kim, H. (2011), Accessibility 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rough GIS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inland areas in Incheo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Vol. 70, pp. 61–75. (in Korean). 

  12. NDIC (2015), Status of Civil Defense Shelters, National Disaster Information Center, http://www.safekorea.go.kr/dmtd/contents/civil/est/EmgnEqupList.jsp?q_menuidM_NST_SVC_03_04_01 (last date accessed: 20 September 2015). 

  13. NDMI (2014), Technology development of integrated shelter management and evacuee support in shelte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in Korean). 

  14. Park, D.H., Kang, I.J., Kim, S.S., and Han, K.B. (2011), The selection of disaster shelter using network analysis, Proc.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No. 5, pp. 171–172. (in Korean). 

  15. Park, J.K. and Kim, D.M. (2012), Analysis of shelter service areas according to walking speed using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0, No. 4, pp. 37–44. (in Korean). 

  16. SODP (2015), Status of shelters for natural disaster, Seoul Open Data Plaza, Seoul, http://data.seoul.go.kr/openinf/sheetview.jsp?infIdOA-1184&tMenu11 (last date accessed: 20 September 2015). (in Korean). 

  17. Son, S.R. and Yoo, H.H. (2013), Evacuation suitability assessment of shelters in disaster risk districts of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3, pp. 27–35. (in Korean). 

  18. Yoo, H.H. and Son, S.R. (2012). Suitability assessment for flood disaster shelters of Jin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0, No. 3, pp. 91–99. (in Korean). 

  19. Yu, W., Kim, Y.C., and Kim, T.H. (2005), Selection of appropriate location for the disaster relief shelter in the city, Proc.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Korea Planning Association, 4-5 November, Seoul, Korea, pp. 171-18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