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한 대학생활을 위한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음주행동연구
Drinking behavior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in Jeju for the safe campus life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0 no.2, 2016년, pp.127 - 144  

김효실 (제주한라대학교 보건행정과) ,  이영아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  김수진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채수경 (제주한라대학교 작업치료과) ,  임진형 (제주한라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rink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Jeju for the safe campus lif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549 students in 4 universities in Jeju.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 음주문화에서 자주 발견되는 폭음과 음주 강요는 대학 신입생의 목숨을 앗아가는 불행한 사망사고가 빈번하므로 이제 대학생 음주문제는 사회적 차원에서 다뤄져야 하는 인식의 전환과 정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16]. 따라서 제주도내 대학생들의 음주행동을 살펴보고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대학생 자신들의 음주심각성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음주행동을 인식시키며 안전하고 건강한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추후 음주문제 예방프로그램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음주실태와 음주행동(음주빈도, 음주량, 폭음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음주특성과 음주행동을 파악하여 건전한 음주문화를 형성하고, 대학생들의 음주심각성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며 음주사고예방과 안전하고 건강한 대학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음주문제 예방프로그램을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첫째는 음주행동 혹은 음주행위라는 조작적 정의 속에 음주량, 음주빈도, 음주관련 문제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음주행동이라는 조작적 정의 속에는 음주량과 음주빈도 만이 포함되며 음주 관련 문제가 독립된 종속변수로 존재하는 것이다[18]. 본 연구에 서는 종속변수로 음주량과 음주빈도에 폭음횟수를 포함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음주특성과 음주행동을 파악하여 건전한 음주문화와 음주로 인한 사고 예방으로 안전하고 건강한 대학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음주문제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음주행동과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제주지역 대학생 5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 Ⅴ. 결론 및 제언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음주특성과 음주행동을 파악하여 건전한 음주문화와 음주로 인한 사고 예방으로 안전하고 건강한 대학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음주문제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음주행동과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제주지역 대학생 5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의 긍정적인 측면은 무엇인가? 술은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물질로 우리 사회에 대표적인 기호식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1], 원래 흥이 많은 우리 민족은 술을 즐겼고 술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인식을 갖고 있다. 알코올은 사회적 관계를 촉진시키고 향상시키는 도구적인 역할을 하고, 긴장을 감소시키며, 부정적이고 우울한 기분을 바꾸어주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또한 스트레스 상황이 음주를 일으키고, 술을 마시는 것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한 방법으로 받아들여 지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2].
과도한 음주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과도한 음주는 간질환이나 소화기 질환 및 구강암, 식도암, 간암 등과 같은 암 관련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3]. Shim과 Choi는 암발생 모형화및 추계를 통해 국내에서 흡연에 의한 사망자수보다 음주로 발생한 사망자수가 더 많음을 밝히고 있다[4].
대학생들을 위한 음주문제 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음주는 세계 공통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대학생의 경우 83%가 술을 마시고, 41%는 폭음(binge drinking)을 하며 30∼40%가 대학 캠퍼스 내에서 문제성 음주를 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8,9]. 영국 대학생의 경우도 남학생의 39.6%와 여학생의 35.9%가 폭음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학이라는 사회에서 사람을 만나 사귀는 기회가 많아지면서 사교의 목적으로 음주를 하는 대학생이 많아지면서 폭음이 증가하였다[10,11]. 우리나라 전국 대학생 음주실태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대학생의 연간 음주율은 94.4%로 미국 대학생의 86%, 우리나라 성인의 79.0%보다도 높았으며, 여학생과 남학생의 월간음주율의 차이가 5% 내외로 여학생의 음주율이 남학생 못지않게 높으며, 폭음률에서 남학생 42%, 여학생 42.7%로 여학생들의 폭음률이 높다고 제시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JY, Chun JS. Influential factors on social workers' attitude toward alcoholic clients in community based alcohol treatment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5B):2605-21. 

  2. Seo YS, Kim M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ress perception, coping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students in different major field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6;18(1B):525-35. 

  3. Kang GM, Kim KK, Kang CW. A study of cancer-related gene exploration using PCA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3B):1241-8. 

  4. Shim H. Choi YH. Modeling and forecasting of cancer incidence rate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 16(6B):3107-20. 

  5. Yu M, Choi JH.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isk behaviors of adolesc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Focusing on developmental asset, happiness, violenc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2;14(6B):3189-3204. 

  6. Choi YJ. The effect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in college student’s problem drinking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isolation.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2012;13(1):73-84. 

  7. Kang JE, Choi HS, Choi JH, Yeo SH, Jung ST, Kim MH. A Comparative Analysis of Drinking Attitudes and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4;25(1):19-27. 

  8. Buettner CK, Andrews DW, Glassman M. Develoment of a student engagement approach to alcohol prevention. The pragmatics project. J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09;58(1):33-8. http://dx.doi.org/10.3200/JACH.58.1.33-38 

  9. Lee OE. Problem drinking in female colleg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he intention to drink moderate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Seoul, Korea. 

  10. Jamison J, Myers LB. Peer-group and price influence students drinking along with planned behaviour. Alcohol and alcoholism 2008;43(4):492-7. http://dx.doi.org/10.1093/alcalc/agn033 

  11. Seo YS, Do ES. Affecting factors of the drinking behavior of liver cirrhosis patients: The aspects of convergence of drinking behavior and disease-related of factors. J of Digital Convergence 2015; 13(7):249-58. http://dx.doi.org/10.14400/JDS.2015.13.7.249 

  12. Yoon SJ. Impact of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 on Problem Drinking among Older Adults. J of Digital Convergence 2016; 14(4):11-7. http://dx.doi.org/10.14400/JDS.2016.14.4.11 

  13. Lee EK. Factors related to problem drinking of male workers according to occupational classes. J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1): 375-82. http://dx.doi.org/10.14400/JDS.2015.13.1.375 

  14. Tak YJ.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risk behaviors and injuries between elderly and young population in Korea: applic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al concept. J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5):289-96. http://dx.doi.org/10.14400/JDS.2015.13.5.289 

  15. Kim HJ, Shin HG, Hong CH. The relationships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 trait-anger, and drinking problem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8;27(3):729-48. http://dx.doi.org/10.15842/kjcp.2008.27.3.009 

  16. Kim ES. The impact of stress on drinking behavior and drinking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2, Chonbuk, Korea. 

  17. Yoo IS, Choi EM, Kwon HJ, Lee SG. Drinking pattern and nonfatal injuries of adul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4): 1690-8. http://dx.doi.org/10.5762/KAIS.2012.13.4.1690 

  18. Kim YS.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Motives for Drinking and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00;9 (1):5-23. 

  19. National Advisory Council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The Physician's guide to helping patients with alcohol problem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5. 

  20. Lee JH, Lee JH. Convergence study on health risk behavior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Seoul vs. Non-Seoul Area. J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5):345-56. http://dx.doi.org/10.14400/JDS.2015.13.5. 345 

  21. Kim KK, Jang SO, Jekarl J. Effects of environmental correlates on alcohol-related poblems among colleges. Korean J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6;23(3):65-83. 

  22. Chon KK, Kim KH. Development of th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 A control theory approach.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1;10(1):137-58. 

  23. Park G, Choi SH.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reducing alcohol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drinking outcome expectancy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9): 364-73.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9.364 

  24. Park KI. The impact of stress on drink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2, Seoul, Korea. 

  25. Kim YS, Kim BR.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drinking by university students in Chuncheon Area. J. of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43(6):934-942. http://dx.doi.org/10.3746/jkfn.2014.43.6.934 

  26. McDermott D. The relationship of parenteral drug use and parent’s attitude concerning adolescent drug use to adolescent drug use. Adolescence 1984;19:89-97. 

  27. Park JS.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of university students. J of Korean Public Health Res 2000;26(4): 393-413. 

  28. Cha DP. Understanding Binge-Drinking :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05;49(3):346-90. 

  29. Yang SH, Kim JH. Drinking habits of employees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J of Digital Convergence 2012;10(10):36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