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에서 체질량지수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and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4 no.2, 2016년, pp.184 - 190  

임은정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강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정상군에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의 차이를 분석하여 낮은 BMI 수치와 인지기능 저하와의 연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전반적 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과 BMI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총 257명의 연구대상자들이 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AD 및 MCI 진단을 위해 병력 청취, 정신상태검사, 신경인지기능검사, 신체 검사가 시행되었다. 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과 신체 질환도 함께 조사하였다.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질병의 심각도 단계 평가는 MMSE-K, GDS, CDR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MMSE-K 점수는 정상군>MCI>AD 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0). CDR과 GDS점수는 정상군이 가장 높았고, AD군이 가장 낮았으며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BMI와 MMSE 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238, p=0.000). BMI와 CDR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r=-0.174, p=0.008), BMI와 GDS 역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33, p=0.000). 결 론 BMI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이 있으므로, 치매나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BMI를 측정하는 것은 임상적 표지자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AD의 진단 및 예방, 그리고 치료적 접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이에 대한 대규모의 장기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body mass index(BMI) in Korea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s(AD),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and healthy controls to verify whether low BMI is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airment. Furthermore, this study also sought to examine any asso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를 포함하여 이제까지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치매나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BMI를 측정하는 것은 임상적 표지자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체질량지수와 관련한 AD의 진단 및 예방, 그리고 치료적 접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로 생각된다. 향후 이에 대한 대규모의 장기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BMI와 인지기능의 연관에 대하여 내과적인 대사 요인들을 포함한 기저의 생물학적 기전을 밝히는 추가적인 연구들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한국인 AD, MCI, 정상군에서 BMI의 차이를 분석하고, 체중과 인지기능장애와의 연관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전반적 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와 BMI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인 AD, MCI, 정상군에서 BMI의 차이를 분석하고, 체중과 인지기능장애와의 연관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전반적 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와 BMI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인과관계 확인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이고 전향적 설계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표본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점이다. 일 대학병원에서 시행하였기에 분석 가능한 연구 대상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특히 전체 연구 대상자 275명 중에 정상군이 39명으로 적었다.
  • 둘째, 인지기능이 저하되면 식이와 관련된 수행 기능이 저하되어 적절한 영양 섭취가 어려워지고, 그 결과 BMI가 감소한다는 것이다. 셋째, AD 환자에서의 생물학적 기전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신경세포 밖에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β-amyloid precursor protein, Aβ)으로 구성된 노인판(Senile plaque, SP)이, 신경세포 안에는 과인산화된 타우단백(Hyperphosphorylated tau protein)으로 이루어진 신경섬유농축제(Neurofibrillary tangle, NFT)가 축적되는데,37,38) 이러한 축적된 물질로 인해, 시냅스 기능이 저하되어 대뇌 내측 측두엽 피질이 위축되며, 이로 인해 식이와 관련된 행동 장애나 기억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여, 에너지 조절 기전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는 치매의 가장 흔한 유형으로 인지기능의 점진적인 변화를 일으키며 전반적인 지적 능력을 감소시키고 행동장애 및 정신과적 증상을 일으킨다. 또한 AD 환자들은 독립적인 생활 능력이 부족하여 주위의 도움과 관리가 필요하므로 가족과 사회의 부담이 증가한다.
치매의 위험인자로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치매의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위험인자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 치매의 위험인자로는 연령, 성별, 베타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β-amyloid precursor protein) 및 Presenilin-1, Presenilin-2와 아포지단백 E(Apolipoprotein E, APOE) 유전자 등이 있는데 대부분 조절하기 어려운 인자들이다. 그런데 최근 저체중이 치매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어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체중과 인지기능장애와의 연관을 확인하고자 시행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첫째, 본 연구는 단면 연구로서, BMI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만 알 수 있었다. 인과관계 확인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이고 전향적 설계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표본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점이다. 일 대학병원에서 시행하였기에 분석 가능한 연구 대상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특히 전체 연구 대상자 275명 중에 정상군이 39명으로 적었다. 또한 표본 크기를 미리 산정하지 않고 병원에 내원한 대상자들로 모집하였기에 표본 크기가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겠다. 셋째, 낮은 BMI수치를 야기할 수 있는 영양 상태나 식이 섭취 및 신체 운동량 등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흡연 및 음주와 같은 건강 관련 행동이나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등의 외부 인자들이 적절히 통제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BMI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었던 내과적 질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부분과도 연계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gi Z. Mechanisms of coronary microvascular adaptation to obesity.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009;297:556-567. 

  2. Rosengren A, Skoog I, Gustafson D, Wilhelmsen L. Body mass index,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hospitalization for dementia. Arch Intern Med 2005;165:321-326. 

  3.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2000;894:1-253. 

  4. Wang SY, Fukagawa N, Hossain M, Ooi WL. Longitudinal weight changes, length of survival, and energy requirements of long-term care residents with dementia. J Am Geriatr Soc 1997;45:1189-1195. 

  5. White H, Pieper C, Schmader K. The association of weight change in Alzheimer's disease with severity of disease and mortality: A longitudinal analysis. J Am Geriatr Soc 1998;46:1223-1227. 

  6. White H, Pieper C, Schmader K, Fillenbaum G. Weight change in Alzheimer's disease. J Am Geriatr Soc 1996;44:265-272. 

  7. Volicer L, Frijters DH, van der Steen JT. Apathy and weight loss in nursing home residents: longitudinal study. J Am Med Dir Assoc 2013;14:417-420. 

  8. Anstey KJ, Cherbuin N, Budge M, Young J. Body mass index in midlife and late-life as a risk factor for dementia: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Obes Rev 2011;12:426-437. 

  9. Burns JM, Johnson DK, Watts A, Swerdlow RH, Brooks WM. Reduced lean mass in early Alzheimer disease and its association with brain atrophy. Arch Neurol 2010;67:428-433. 

  10. Buchman AS, Wilson RS, Bienias JL, Shah RC, Evans DA, Bennett DA. Change in body mass index and risk of incident Alzheimer disease. Neurology 2005;65:892-897. 

  11. Atti AR, Palmer K, Volpato S, Winblad B, De Ronchi D, Fratiglioni L. Late-life body mass index and dementia incidence: nine-year follow-up data from the Kungsholmen Project. J Am Geriatr Soc 2008;56:111-116. 

  12. Hughes TF, Borenstein AR, Schofield E, Wu Y, Larson EB. Association between late-life body mass index and dementia: The Kame Project. Neurology 2009;72:1741-1746. 

  13. Power BD, Alfonso H, Flicker L, Hankey GJ, Yeap BB, Almeida OP. Changes in body mass in later life and incident dementia. Int Psychogeriatr 2013;25:467-478. 

  14. Tolppanen AM, Ngandu T, Kareholt I, Laatikainen T, Rusanen M, Soininen H, Kivipelto M. Midlife and late-life body mass index and late-life dementia: results from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ohort. J Alzheimers Dis 2014;38:201-209. 

  15. Cronk BB, Johnson DK, Burns JM;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Body mass index and cognitive declin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lzheimer Dis Assoc Disord 2010;24:126-130. 

  16. Besser LM, Gill DP, Monsell SE, Brenowitz W, Meranus DH, Kukull W, Gustafson DR. Body mass index, weight change, and clinical progress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 disease. Alzheimer Dis Assoc Disord 2014;28:36-43. 

  17. Luchsinger JA, Patel B, Tang MX, Schupf N, Mayeux R. Measures of adiposity and dementia risk in elderly persons. Arch Neurol 2007;64:392-398. 

  18. Nourhashemi F, Deschamps V, Larrieu S, Letenneur L, Dartigues JF, Barberger-Gateau P. Body mass index and incidence of dementia: The PAQUID study. Neurology 2003;60:117-119. 

  19. Petersen RC, Smith GE, Waring SC, Ivnik RJ, Tangalos EG, Kokmen E.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rch Neurol 1999;56:303-308. 

  20. Park JH, Kwon YC.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for Use in the Elderly. J Clin Psyhicatry 2012;73;1548-1554. 

  21. Choi SH, Na DL, Lee BH, Hahm DS, Jeong JH, Yoon SJ, Hahn DS, Yoo KH, Ha CK, Han IW. Estima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Expanded Clinical Dementia Rating(CDR) Scale. J Korean Neurol Assoc 2001;19:585-591. 

  22. Reisberg B, Ferris SH, de Leon MJ, Crook T.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 Psychopharmacol Bull 1988;24:661-663. 

  23. Guigoz Y, Lauque S, Vellas BJ. Identifying the elderly at risk for malnutrition.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Clin Geriatr Med 2002;18:737-757. 

  24. Grundman M, Corey-Bloom J, Jernigan T, Archibald S, Thal LJ. Low body weight in Alzheimer's disease is associated with mesial temporal cortex atrophy. Neurology 1996;46:1585-1591. 

  25. Gillette Guyonnet S, Abellan Van Kan G, Alix E, Andrieu S, Belmin J, Berrut G, Bonnefoy M, Brocker P, Constans T, Ferry M, Ghisolfi-Marque A, Girard L, Gonthier R, Guerin O, Hervy MP, Jouanny P, Laurain MC, Lechowski L, Nourhashemi F, Raynaud-Simon A, Ritz P, Roche J, Rolland Y, Salva T, Vellas B; International Academy on Nutrition and Aging Expert Group. IANA(International Academy on Nutrition and Aging) Expert Group: weight loss and Alzheimer's disease. J Nutr Health Aging 2007;11:38-48. 

  26. Barrett-Connor E, Elderstein S, Corey-Bloom J, Wiederholt W. Weight loss precedes dement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 Nutr Health Aging 1998;2:113-114. 

  27. Johnson DK, Wilkins CH, Morris JC. Accelerated weight loss may precede diagnosis in Alzheimer disease. Arch Neurol 2006;63:1312-1317. 

  28. White HK, McConnell ES, Bales CW, Kuchibhatla M. A 6-month observatio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loss and behavioral symptoms in institutionalized Alzheimer's disease subjects. J Am Med Dir Assoc 2004;5:89-97. 

  29. Faxen-Irving G, Fereshtehnejad SM, Falahati F, Cedergren L, Goranzon H, Wallman K, Garcia-Ptacek S, Eriksdotter M, Religa D. Body mass index in different dementia disorders: Results from the Swedish dementia quality registry(SveDem). Dement Geriatr Cogn Disord Extra 2014;4:65-75. 

  30. Peters R, Peters J, Warner J, Beckett N, Bulpitt C. Alcohol, dementia and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ge Ageing 2008;37:505-512. 

  31. Chen D, Luo W, Guo Z, Wu M, Zhou Z. The impact of interac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obesity on incident hypertension. Zhonghua Yu Fang Yi Xue Za Zhi 2015;49:728-732. 

  32. Kivipelto M, Helkala EL, Hanninen T, Laakso MP, Hallikainen M, Alhainen K, Soininen H, Tuomilehto J, Nissinen A. Midlife vascular risk factors and late-life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opulation-based study. Neurology 2001;56:1683-1689. 

  33. Yaffe K, Barrett-Connor E, Lin F, Grady D. Serum lipoprotein levels, statin use,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women. Arch Neurology 2002;59:378-384. 

  34. Fillit H, Nash DT, Rundek T, Zuckerman A.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dementia. Am J Geriatr Pharmacother 2008;6:100-118. 

  35. Gustafson D, Rothenberg E, Blennow K, Steen B, Skoog I. An 18-year follow-up of overweight and risk of Alzheimer disease. Arch Intern Med 2003;163:1524-1528. 

  36. Wang PN, Yang CL, Lin KN, Chen WT, Chwang LC, Liu HC. Weight loss, nutritional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 controlled study. J Neurol 2004;251:314-320. 

  37. Vetrivel KS, Thinakaran G. Amyloidogenic processing of beta-amyloid precursor protein in intracellular compartments. Neurology 2006;66:69-73. 

  38. Lee VM, Trojanowski JQ. Mechanisms of parkinson's disease linked to pathological alpha-synuclein: New targets for drug discovery. Neuron 2006;52:33-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