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경도인지장애 및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의 신경정신증상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와 알쯔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Alzheimer's type, 이하 AD)의 신경정신증상 빈도와 점수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한 뒤, 인지기능과 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K-NPI)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MCI 또는 AD를 진단받은 163명의 환자들을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K-NPI를 이용하여 MCI 환자 55명, 경도의 AD 환자 56명, 중등도 이상의 AD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신경정신증상을 조사하였고, 세 군간의 K-NPI의 부척도별 빈도와 composite score를 비교하였다. 결 과 : MCI군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우울/불쾌감, 수면/야간행동, 불안, 과민/불안정 순이었다. 경도 AD군에서의 증상은 초조/공격, 우울/불쾌감, 불안, 무감동/무관심, 수면/야간행동 순으로 빈번하게 나타났다. 중등도 이상 AD 군에서는 무감동/무관심, 우울/불쾌감, 초조/공격, 망상 순이었다. 이 중 망상, 환각, 초조/공격, 무감동/무관심, 이상행동증상, 식욕/식습관의 변화의 빈도는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 NPI 점수는 MMSE-KC 점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GDS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 신경정신증상은 MCI, AD에서 흔히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MCI와 경도의 AD에서 이들 증상들이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정신증은 중등도 이상 AD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났고, 이로 인해 더욱 빠른 인지기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MCI와 AD의 각 진행 단계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Abstract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composite score of the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A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K-NPI) and cognitive function. Methods : A total of 163 patients diagnosed with MCI or AD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55 MCI patients, 56 dementia patients with mild stage, and 52 dementia patients with moderate, severe stage). We examined neuro-psychiatric symptoms by K-NPI and compared the prevalence and composite score of each subdomain in K-NPI among three groups. Results : The most common symptoms in the MCI group were depression/dysphoria, sleep/night-time behavior, anxiety, and irritability/lability. In mild AD group, the most frequent disturbance was agitation/aggression, depression/dysphoria, anxiety, apathy/indifference, and sleep/night-time behavior. In moderate to severe AD group, the most frequent disturbance was apathy/indifference, depression/dysphoria, agitation/aggression, and delusion. The frequencies of delusion, hallucination, agitation/aggression, apathy/indifference, aberrant motor behavior, appetite/eating chan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otal NPI scor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MSE-KC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DS. Conclusions : Neuropsychiatric symptoms are common features of MCI and AD. These symptoms observed in MCI are similar to those of mild AD. Psychosis is most common in moderate to severe AD, leading to a faster rate of cognitive decline. Therefore, prope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neuropsychiatric symptoms of MCI and three stages of dementia is needed.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K-NPI(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를9) 사용하여 MCI 환자군, 경도 AD환자군, 그리고 중등도 이상 AD환자군에서의 신경정신증상의 빈도, 양상 및 심각도를 평가하고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AD의 전단계인 MCI와 AD의 이상 행동에 대해 파악하는 것은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증상에 대한 적절한 약물 요법을 시행하는데 도움을 주고, 결과적으로 인지 기능의 호전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치료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K-NPI(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를9) 사용하여 MCI 환자군, 경도 AD환자군, 그리고 중등도 이상 AD환자군에서의 신경정신증상의 빈도, 양상 및 심각도를 평가하고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인지기능의 수준과 신경정신증상 사이의 연관성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아울러 인지기능의 수준과 신경정신증상 사이의 연관성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NPI(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를9) 사용하여 MCI 환자군, 경도 AD환자군, 그리고 중등도 이상 AD환자군에서의 신경정신증상의 빈도, 양상 및 심각도를 평가하고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인지기능의 수준과 신경정신증상 사이의 연관성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향후 MCI, AD의 단계에 따른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도인지장애
본 연구에서 경도인지장애와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신경 정신증상 빈도와 점수를 비교 분석한 뒤 인지기능과 K-NPI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어떠한가?
결 과 : MCI군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우울/불쾌감, 수면/야간행동, 불안, 과민/불안정 순이었다. 경도 AD군에서의 증상은 초조/공격, 우울/불쾌감, 불안, 무감동/무관심, 수면/야간행동 순으로 빈번하게 나타났다. 중등도 이상 AD 군에서는 무감동/무관심, 우울/불쾌감, 초조/공격, 망상 순이었다. 이 중 망상, 환각, 초조/공격, 무감동/무관심, 이상행동증상, 식욕/식습관의 변화의 빈도는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 NPI 점수는 MMSE-KC 점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GDS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K-NPI를 이용하여 MCI 환자 55명, 경도의 AD 환자 56명, 중등도 이상의 AD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신경정신증상을 조사하였고, 세 군간의 K-NPI의 부척도별 빈도와 composite score를 비교하였다. 결 과 : MCI군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우울/불쾌감, 수면/야간행동, 불안, 과민/불안정 순이었다. 경도 AD군에서의 증상은 초조/공격, 우울/불쾌감, 불안, 무감동/무관심, 수면/야간행동 순으로 빈번하게 나타났다. 중등도 이상 AD 군에서는 무감동/무관심, 우울/불쾌감, 초조/공격, 망상 순이었다. 이 중 망상, 환각, 초조/공격, 무감동/무관심, 이상행동증상, 식욕/식습관의 변화의 빈도는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 NPI 점수는 MMSE-KC 점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GDS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 신경정신증상은 MCI, AD에서 흔히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MCI와 경도의 AD에서 이들 증상들이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경도인지장애
경도인지장애란 무엇인가?
알쯔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Alzheimer’s type, 이하 AD)의 전구 단계로, 매년 10~15%의 MCI 환자가 AD로 이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4,5) 한 연구에 따르면 MCI 환자의 35~75%에서도 신경정신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6) MCI 환자는 AD 환자에서 나타나는 증상과 유사하게 우울, 무감동, 불안, 과민/불안정이 가장 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는 알쯔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Alzheimer’s type, 이하 AD)의 전구 단계로, 매년 10~15%의 MCI 환자가 AD로 이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4,5) 한 연구에 따르면 MCI 환자의 35~75%에서도 신경정신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6) MCI 환자는 AD 환자에서 나타나는 증상과 유사하게 우울, 무감동, 불안, 과민/불안정이 가장 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 이와 같이 MCI, AD 환자에서 나타나는 신경정신증상은 신경정신행동검사(Neuropsychiatric Inventory, 이하 NPI)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데, NPI는 치매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이상행동을 12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하고, 그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검사 도구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치매 질환에 적용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다.

치매 환자
치매 환자들은 어떤 증상을 보이는가?
인지기능의 장애와 함께 우울, 망상, 환각, 무감동 등의 신경정신증상들을 보인다

치매 환자들은 인지기능의 장애와 함께 우울, 망상, 환각, 무감동 등의 신경정신증상들을 보인다. 이러한 증상은 인지기능의 저하보다 먼저 나타날 수 있고,1) 환자의 일상생활기능을 손상시키게 되어 환자가 요양 시설로 입소하게 되는 주된 원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