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환경의 자연성 평가를 위한 식생지표의 개발
Development of Vegetation Indicator for Assessment of Naturalness in Stream Environment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5 no.6, 2016년, pp.384 - 401  

전승훈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  채수권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하천환경평가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서 식생 평가 지표 및 평가 기준의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5개 시험하천을 대상으로 68개의 평가단위에서 총 204개의 식생 표본조사구를 설정하였으며, 표본조사구별 상관-종조성 수준에서 식생군집의 분류 및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현존식생도를 기준으로 식생자료의 분석을 통해 표본조사의 적정 규모, 식생 지수의 점수 기준, 식생 군집분류의 표준화, 그리고 식생평가지표의 등급화를 위한 종합 점수기준을 검토하였다. 하천 식생 평가를 위해 개발된 식생 다양도 지수와 식생 복잡도, 그리고 식생자연도 지수로 이루어진 식생평가지표의 종합점수 산정 및 등급화는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생평가지표의 등급화에 대한 식생지수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식생자연도 지수가 다른 지수에 비해 보다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세부 식생지수 사이의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성립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의 기준의 재검토 및 식생군집 분류의 표준화 작업 등을 통해 개정된 기준을 적용한 결과 식생평가등급 간 변별력이 크게 확보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하천구간의 유형에 따른 식생 지수 및 식생평가지표의 등급화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has been developed recently as a biological part of the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for river environm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iver restoration projects. This study carried out to test the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and to reset its grade criteria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hun et al. (2015)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하천식생평가체계는 상관 및 종조성 수준(physiognomic & floristic composition level)에서 식생군집의 수평적, 수직적 구조 및 이들의 분포양상, 그리고 자연성을 시공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립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선행연구에서 얻어진 시험하천 조사 자료의 표준화 및 재평가, 그리고 추가적인 시험하천의 적용에 따른 조사 자료의 구축을 토대로 검증에 의해 식생평가지표 및 지수의 적합성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이루어진 식생평가체계의 보완 및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지의 확대에 따른 표본조사의 신뢰도 제고와 함께 식생지수 산정기준의 재설정, 식생군집 분류의 표준화, 아울러 식생평가지표의 평가등급화를 위한 종합점수 기준의 재설정 등을 통해 선행 및 제시된 기준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구축과정에서 설정하고 있는 평가분야 가운데 생물분야의 평가항목으로서 하천식생의 평가지표 및 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Chun 2016). Chun et al.
  • 본 연구는 하천환경 평가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서 하천식생의 평가체계를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하천식생의 평가체계는 하천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하천환경의 개선, 하천환경의 보전과 복원, 자연친화적 관리 등 하천환경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유역종합치수계획 및 하천기본계획의 수립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관련 지침이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Chun 2016). 따라서 적용대상 하천의 유형도 유역분류기준으로 대하천 권역이 아닌 중권역과 표준유역의 본류에 해당하는 하천수계로 한정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소하천에 속하는 최상류 하천이나 대하천의 하구와 같은 하류수계는 제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환경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가? 하천수계는 유역경관의 규모에서 분산된 선형의 통로이자 종적 및 횡적인 지형지질과 수리수문학적 연속성을 지닌 고도의 역동적인 체계로서 시공간적으로 생물적 요인과 무생물적 요인에 의해 상호영향을 받는 시스템으로 작동하고 있다. 이들 하천환경은 자연적인 홍수조절, 생산성, 생태학적 피난처 및 생물 종 보존의 핵심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운송, 여가 및 관광 등 문화적 경관의 실체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Chun et al. 2014; Kamp et al.
하천수계는 무엇인가? 하천수계는 유역경관의 규모에서 분산된 선형의 통로이자 종적 및 횡적인 지형지질과 수리수문학적 연속성을 지닌 고도의 역동적인 체계로서 시공간적으로 생물적 요인과 무생물적 요인에 의해 상호영향을 받는 시스템으로 작동하고 있다. 이들 하천환경은 자연적인 홍수조절, 생산성, 생태학적 피난처 및 생물 종 보존의 핵심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운송, 여가 및 관광 등 문화적 경관의 실체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Chun et al.
식생평가지표의 종합점수에 따른 등급평가가 식생다양도 보다는 식생복잡도와 식생자연도의 등급과 더욱 관련성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다만, 3개의 식생평가지수 중 식생다양도 보다는 식생복잡도와 식생자연도의 등급이 더욱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생자연도의 경우 배가된 가중치를 적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으며, 식생복잡도의 경우 교목 및 관목 등 식생의 수직적 다양도가 반영됨으로서 보다 큰 변별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어느 하나의 지수 값이 클지라도 나머지 2개의 지수 값이 작은 경우는 전체적인 등급평가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식생평가지표를 구성하는 3개 지수간의 상호보완성이 확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un SH. 2016.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domestic system for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6: 305-317. [Korean Literature] 

  2. Chun SH, Kim WR, Kim C, Chae SK. 2015. A study on vegetational indicator and criteria for assessment of stream condi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 301-312. [Korean Literature] 

  3. Chun SH, Park SG, Chae SK. 2014. Review of Some Advanced Stream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 355-362. [Korean Literature] 

  4. EC. 2000 Directive 2000/60/EC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community action in the field of water policy.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L327. 1-71. 

  5. Forman RTT. 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New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Kamp U, Binder W, Holzl K. 2007. River habitat monitoring and assessment in Germany. Environ Monit Assess. 127: 209-226. 

  7. Maria RF, Francisca CA, Maria TF. 2010. Assessing Riparian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influence of Land Use Using Landscape Metrics and Geostatistical Tool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9: 166-177. 

  8. Martin K, Paddy C. 1992.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John Wiley&Sons. 

  9. Mitsch WJ, Gosselink JG. 2000. The value of Wetlands: Importance of Scale and Landscape Setting. Ecological Economics. 35: 25-33. 

  10. Verdonschot PFM. 2000. Integrated Ecological Assessment Methods as A basis for Sustainable Catchment Management. Hydrobiologia. 422/423: 389-412. 

  11.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2002 http://wami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