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2형 당뇨 모델 db/db 마우스에서 4개월의 자화수 섭취 후 혈당, 항산화 상태 및 세포 DNA 손상 개선 효과
Four months of magnetized water supplementation improves glycemic control, antioxidant status, and cellualr DNA damage in db/db mice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6, 2016년, pp.401 - 410  

이혜진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생명나노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강명희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생명나노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화수는 가격이 비싸지 않고 쉽게 만들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음용수임에도 불구하고 자화수 섭취의 건강상의 유익에 관해서는 과학적인 문헌이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유전적 소인에 의해 제2형 당뇨병이 발현되는 모델인 db/db 마우스 6주령 14마리를 당뇨군과 자화수군으로 나누어 각 7마리씩 배치하고, 이형접합체 마우스 10마리를 대조군으로 하여 총 3군으로 나누어 16주 동안 자화수를 투여하였다. 혈당 강하 효과를 보기 위해 공복혈당, 인슐린 농도, 내당능 검사, 당화 헤모글로빈을 측정 하였고, DNA 손상 감소 효과, 항산화 상태를 알아보았다. 당뇨군과 자화수군의 혈당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당뇨군의 혈당은 자화수 섭취 16주까지 높게 지속되었으나 자화수군의 혈당은 섭취 10주 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함량도 마찬가지로 대조군보다 당뇨군에서 증가하였고 자화수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경구 당부하 검사 결과, 혈당 곡선하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은 당뇨군과 자화수 투여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뇨쥐의 DNA 손상 정도는 세 가지 지표 (DNA in tail, tail length, tail moment) 모두 자화수군이 당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혈액과 간에서 모두 나타났다. 적혈구 항산화 효소인 SOD, GSH-Px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도는 대조군, 당뇨군, 자화수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혈장 총항산화능인 TRAP 수준도 자화수 섭취로 인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자화수 투여가 db/db mouse를 사용한 제2형 당뇨의 혈당 강하를 포함한 glycemic control에 유리한 개선효과를 보일 뿐 아니라 혈액과 간의 DNA 손상 감소효과까지 보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그 기전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규명하지 못하였으므로 앞으로 자화 수음용 효과를 뒷받침할 더욱 깊고 다양한 기전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ater is magnetically charged upon contact with a magnet. Although magnetic water products have been promoted since the 1930's, they have not received wide acceptance since their effectiveness is still in question; however, some have reported their therapeutic effects on the body, especi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1형 당뇨쥐에서 자화수의 혈당 강하효과를 본 전보3에 이어 제2형 당뇨쥐에서도 자화수가 혈당 강하 효과 및 DNA 손상 감소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제2형 당뇨 발현 마우스 (CB57BL/KsJ-db/db)에게 자화수를 4달 동안 섭취시킨 후, 혈당,  DNA 손상 및 항산화 영양상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당뇨병에 걸리면 체내 산화 스트레스 증가로 인해 reactive oxygen species 형성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세포 DNA에 손상을 일으켜 거의 모든 조직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시킨다. Streptozotocin으로 유발 시킨 당뇨 쥐의 경우 정상 쥐에 비해 DNA 손상 정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이 확인되었으며,3,4 Mozaffari 등5은 뇨의 8-OHdG로 본 DNA 손상도가 정상쥐에 비해 제2형 당뇨쥐에서 유의적으로 높음을 보고하였다.
항산화 물질들을 투여하는 영양 중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인 이유는? Streptozotocin으로 유발 시킨 당뇨 쥐의 경우 정상 쥐에 비해 DNA 손상 정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이 확인되었으며,3,4 Mozaffari 등5은 뇨의 8-OHdG로 본 DNA 손상도가 정상쥐에 비해 제2형 당뇨쥐에서 유의적으로 높음을 보고하였다. 이처럼 당뇨병은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항산화 방어 체계를 완화 시키게 되면 동맥경화나 심혈관질환 등 합병증으로 진전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당뇨병에 걸린 환자나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항산화 물질들을 투여하는 영양 중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항산화제 투여로 인해 체내 항산화 상태가 호전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당뇨병으로 인한 동맥경화나 심혈관질환 등 합병증으로 진전될 위험을 줄일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 시킨 당뇨 쥐의 경우 정상 쥐에 비해 DNA 손상 정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이 확인되었으며,3,4 Mozaffari 등5은 뇨의 8-OHdG로 본 DNA 손상도가 정상쥐에 비해 제2형 당뇨쥐에서 유의적으로 높음을 보고하였다. 이처럼 당뇨병은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항산화 방어 체계를 완화 시키게 되면 동맥경화나 심혈관질환 등 합병증으로 진전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당뇨병에 걸린 환자나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항산화 물질들을 투여하는 영양 중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항산화제 투여로 인해 체내 항산화 상태가 호전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Korean Diabetes Research Found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6.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6. 

  2. Dandona P, Thusu K, Cook S, Snyder B, Makowski J, Armstrong D, Nicotera T. Oxidative damage to DNA in diabetes mellitus. Lancet 1996; 347(8999): 444-445. 

  3. Lee HJ, Kang MH. Effect of the magnetized water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lymphocyte DNA damage, antioxidant status, and lipid profiles in STZ-induced rats. Nutr Res Pract 2013; 7(1): 34-42. 

  4. Park JH, Sung KS, Kim SS, Shim GS, Han CK. Effects of puffed and fermented red ginseng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5): 630-637. 

  5. Mozaffari MS, Baban B, Abdelsayed R, Liu JY, Wimborne H, Rodriguez N, Abebe W. Renal and glycemic effects of high-dose chromium picolinate in db/db mice: assessment of DNA damage. J Nutr Biochem 2012; 23(8): 977-985. 

  6. Shirpoor A, Ansari MH, Salami S, Pakdel FG, Rasmi Y. Effect of vitamin E on oxidative stress status in small intestine of diabetic rat. World J Gastroenterol 2007; 13(32): 4340-4344. 

  7. Mitri J, Dawson-Hughes B, Hu FB, Pittas AG. Effects of vitamin D and calcium supplementation on pancreatic ${\beta}$ cell function, insulin sensitivity, and glycemia in adults at high risk of diabetes: the calcium and vitamin D for diabetes mellitus (CaDDM)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Clin Nutr 2011; 94(2): 486-494. 

  8. Roussel AM, Kerkeni A, Zouari N, Mahjoub S, Matheau JM, Anderson RA. Antioxidant effects of zinc supplementation in Tunisian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 Am Coll Nutr 2003; 22(4): 316-321. 

  9. Lee CH, Kim J, Kwon J, Youn Y, Kim YS. Instant gruel from colored barley and oats for improving diabetic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6): 885-891. 

  10. Lee SJ, Shin JH, Ju JC, Kang SK, Sung NJ.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with medicinal herb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4): 587-594. 

  11. Lee BR, Koh KO, Park PS.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green tea extract on alloxan-induced diabetic and OLETF rats.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36(6): 696-702. 

  12. Hininger-Favier I, Benaraba R, Coves S, Anderson RA, Roussel AM. Green tea extract decreases oxidative stress and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in an animal model of insulin resistance, the fructose-fed rat. J Am Coll Nutr 2009; 28(4): 355-361. 

  13. Coey JM, Cass S. Magnetic water treatment. J Magn Magn Mater 2000; 209: 71-74. 

  14. Johnson KE, Sanders JJ, Gellin RG, Palesch YY. The effectiveness of a magnetized water oral irrigator (Hydro Floss) on plaque, calculus and gingival health. J Clin Periodontol 1998; 25(4): 316-321. 

  15. Ma YL, Ren H, Ren S, Zhen EK, Hao G, Zhao YW. A study of the effect of magnetized water on enzyme activities by potentiometric enzyme electrode method. J Tongji Med Univ 1992; 12(4): 193-196. 

  16. Zhang YS, Wu HW. Effect of magnetic water on urinary calculi-- an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y. Z Urol Nephrol 1987; 80(9): 517-523. 

  17. Zhang YS, Wu HW. Effect of magnetized water on urinary calculi: an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y. Acta Acad Med Wuhan 1984; 4(1): 31-37. 

  18. Hafizi L, Gholizadeh M, Karimi M, Hosseini G, Mostafavi- Toroghi H, Haddadi M, Rezaiean A, Ebrahimi M, Emami Meibodi N. Effects of magnetized water on ovary, pre-implantation stage endometrial and fallopian tube epithelial cells in mice. Iran J Reprod Med 2014; 12(4): 243-248. 

  19. Iorio R, Delle Monache S, Bennato F, Di Bartolomeo C, Scrimaglio R, Cinque B, Colonna RC.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activity in mediating ELF-EMF stimulatory effect on human sperm motility. Bioelectromagnetics 2011; 32(1): 15-27. 

  20. Lee HJ, Jo HR, Jeon EJ, Kang MH. Effect of the Magnetized water supplementation on lymphocyte DNA damage in mice treated with diethylnitrosamine. Korean J Nutr 2010; 43(6): 570-577. 

  21. Singh NP, McCoy MT, Tice RR, Schneider EL. A simple technique for quantitation of low levels of DNA damage in individual cells. Exp Cell Res 1988; 175(1): 184-191. 

  22. Pitozzi V, Giovannelli L, Bardini G, Rotella CM, Dolara P. Oxidative DNA damage in peripheral blood cell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higher vulnerability of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Mutat Res 2003; 529(1-2): 129-133. 

  23. Dincer Y, Akcay T, Alademir Z, Ilkova H. Assessment of DNA base oxidation and glutathione leve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utat Res 2002; 505(1-2): 75-81. 

  24. Xu YB, Sun SY. Effect of stable weak magnetic field on Cr(VI) bio-removal in anaerobic SBR system. Biodegradation 2008; 19(3): 455-462. 

  25. Gonet B. Influence of constant magnetic fields on certai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water. Bioelectromagnetics 1985; 6(2): 169-175. 

  26. Liboff AR, Cherng S, Jenrow KA, Bull A. Calmodulin-dependent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 activity is altered by 20 microT magnetostatic fields. Bioelectromagnetics 2003; 24(1): 32-38. 

  27. Kim MJ, Jung KH, Uhm YK, Leem KH, Kim HK. Preservative effect of electrolyzed reduced water on pancreatic beta-cell mass in diabetic db/db mice. Biol Pharm Bull 2007; 30(2): 234-236. 

  28. Lazalde-Ramos BP, Zamora-Perez AL, Sosa-Macias M, Guerrero- Velazquez C, Zuniga-Gonzalez GM. DNA and oxidative damages decrease after ingestion of folic acid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rch Med Res 2012; 43(6): 476-481. 

  29. Lodovici M, Giovannelli L, Pitozzi V, Bigagli E, Bardini G, Rotella CM. Oxidative DNA damage and plasma antioxidant capacit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good and poor glycaemic control. Mutat Res 2008; 638(1-2): 98-102. 

  30. Agarwal A, Aponte-Mellado A, Premkumar BJ, Shaman A, Gupta S. The effects of oxidative stress on female reproduction: a review. Reprod Biol Endocrinol 2012; 10(1): 49-79. 

  31. Naher ZU, Ali M, Biswas SK, Mollah FH, Fatima P, Hossain MM, Arslan MI. Effect of oxidative stress in male infertility. Mymensingh Med J 2013; 22(1): 136-142. 

  32. Sueda M, Katsuki A, Nonomura M, Kobayashi R, Tanimoto Y. Effects of high magnetic field on water surface phenomena. J Phys Chem C Nanomater Interfaces 2007; 111(39): 14389-14393. 

  33. Cho YI, Lee SH. Reduction in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due to physical water treatment for fouling control in heat exchangers. Int Commun Heat Mass Transf 2005; 32(1-2): 1-9. 

  34. Nakagawa J, Hirota N, Kitazawa K, Shoda M. Magnetic field enhancement of water vaporization. J Appl Phys 1999; 86(5): 2923-2925. 

  35. Wang D, Cheng X, Yan X. Effect of magnetized liquor on free radical metabolism in the heart of mice. Chin J Med Phys 2002; 19(4): 243-244. 

  36. Raymond-Whish S, Mayer LP, O'Neal T, Martinez A, Sellers MA, Christian PJ, Marion SL, Begay C, Propper CR, Hoyer PB, Dyer CA. Drinking water with uranium below the U.S. EPA water standard causes estrogen receptor-dependent responses in female mice. Environ Health Perspect 2007; 115(12): 1711-1716. 

  37. Shah D, Nagarajan N. Luteal insufficiency in first trimester. Indian J Endocrinol Metab 2013; 17(1): 44-49. 

  38. Lu J, Mao Y, Yang Y, Wang Y, Shi Y, Zhou O. Influence of magnetized water on the experimental hyperlipemia and atherosclerosis in rabbits. Shanghai Lab Anim Sci 2000; 20: 45-51. 

  39. Hafizi L, Sazgarnia A, Mousavifar N, Karimi M, Ghorbani S, Kazemi MR, Emami Meibodi N, Hosseini G, Mostafavi Toroghi H. The effect of extremely low frequency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on in vitro fertilization success rate in NMRI mice. Cell J 2014; 15(4): 310-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