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불량식품관리 특성
Adulterated Food Manage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s among Adolesc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6, 2016년, pp.509 - 519  

김윤화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dulterated food education in adolescence period is very important because dietary management related to food safety is not made in a short perio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dietary lifestyle factors which drive adulterated food management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h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불량식품에 대한 인식과 현재의 불량식품관리 역량, 미래의 불량식품관리를 위한 효능감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이들 요인들의 차이를 규명 해보고자 한다.
  • 불량식품은 유해물질이나 위생적인 문제로 인해 장염이나 식중독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식품첨가물에 의한 부작용 등을 들 수 있는데 청소년들은 저가의 식품을 구매하고 있으며, 즐겨 먹는 과자류와 음료, 분식점 음식 등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불량식품에 노출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불량식품관리 역량이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불량식품에 대한 관리를 불량식품관리에 대한 인식, 역량 및 효능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조사대상 청소년들은 불량식품관리에 대한 필요성과 구매 불안이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어려움은 낮게 인식하고 있어 불량식품관리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1) Mean±SD, Rated with a 5-point Likert scale 1=never, 5=high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특징적인 행동양식을 사회학, 심리학의 관점에서 연구한 라이프스타일은 사람들의 생활하는 방식으로 그들이 가치를 부여하는 것에 시간과 경제적 요소를 투자하는 유형을 말한다[2, 3]. 개인이나 집단의 차별화된 생활양식들은 활동하는 영역과 관심분야, 가치관, 태도 등에 의해 형성되어 구체적으로 나타나는데[4], 라이프스타일을 보다 구체화하여 먹는 것과 정신적인 측면, 식품과 관련지어 내리는 구체적인 행동 양식을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라고 한다[5]. 이는 먹거리를 추구하는 삶의 가치와 어떤 식으로 연결 짓는지를 나타내는 척도가 될 수 있다[2].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어떤 척도가 될 수 있는가? 개인이나 집단의 차별화된 생활양식들은 활동하는 영역과 관심분야, 가치관, 태도 등에 의해 형성되어 구체적으로 나타나는데[4], 라이프스타일을 보다 구체화하여 먹는 것과 정신적인 측면, 식품과 관련지어 내리는 구체적인 행동 양식을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라고 한다[5]. 이는 먹거리를 추구하는 삶의 가치와 어떤 식으로 연결 짓는지를 나타내는 척도가 될 수 있다[2].
불량식품이란 무엇인가? 최근 정부에서는 먹거리와 관련된 위험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불량식품을 4대 사회악으로 규정하고, 불량식품 척결을 위한 교육과 홍보, 감시활동을 하고 있지만[6], 불량식품은 여전히 잔존하면서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7]. 불량식품은 값싼 원재료 또는 독성이 있거나 사용할 수 없는 유해·위해물질을 사용한 식품 등을 말하는데 식품 내용물의 크기·중량·무게 등을 속인다든지 다른 성분 등을 사용하거나 모방한 식품, 허가나 신고를 받아야 하는 경우 이를 받지 않은 식품, 허위 표시 등으로 소비자를 오인·혼동케 하는 식품 등의 부정식품을 포함하여 ‘불량식품’이라고 한다[8]. 불량식품은 인간의 기본적인 안전을 위한 부분이기 때문에 성장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국민 모두의 관심이 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eon SK. Educational meanings and effective practical plans of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J Korean Home Econ Assoc 2010; 22(1): 117-135. 

  2. Um EK. A study on the segmentation of food related lifestyle within Korean family. J Hotel Resort 2015; 14(3): 247-265. 

  3. Engel JF, Blackwell RD. Consumer behavior. 9th ed. NY: The Dryden Press; 2001. 

  4. Hong ST, Park EA. Comparison of femal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by lifestyle types: In the case of cosmetics. Korea Mark Rev 2005; 20(1): 55-89. 

  5. Grunert KG, Perrea T, Zhou Y, Huang G, Sorensen BT Krystallis A. Is food-related lifestyle (FRL) able to reveal food consumption patterns in non-Western cultural environments? Its adaptation and application in urban China. Appetite 2011; 56(2): 357-367. 

  6. Chung W.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the Korean police activities for harmful food elimination. J Korean Public Police Secur Stud 2016: 13(1): 233-256. 

  7.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Promotion "Special enforcement junk food in the first half of 2016". 2016 [cited 2016 Oct 8]. Available from: http://www.police.go.kr/portal/bbs/view.do?nttId18376&bbsIdB0000011&menuNo200067&delCode0. 

  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Bad food. 1st ed. Seoul: Humanculturearirang; 2015. p. 1-99. 

  9. Kim JH. Healthy life education for eradicating harmful food. Proceedings of 2013 Winter Conference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3 Nov 5; Gwangju: p. 55-75. 

  10. Kim CK, Yoon BS, Kim HJ.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food risk society: Food security and food safe issues revisited. Econ Soc 2012; 96: 12-42. 

  11. Kim SU, Kim CK, Lee HJ. Socio-economic differentiation of food anxiety and food consumption behaviors. J Rural Soc 2012; 22(1): 215-264. 

  12. Park HS. The structural mechanism of food anxieties/scares and its emotional dynamics. Korean Stud Q 2010; 33(2): 161-193. 

  13. Yoo HJ, Joo SH. Development of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and food safety competency measurement. J Consum Stud 2012; 23(4): 79-104. 

  14. Choe JS, Chun HK, Hwang DY, Nam HJ.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1): 66-74. 

  15. Park NR, Sohn SH. The effects of food safety education on children's food safety knowledge, belief, attitude, and behavior. Consum Policy Educ Rev 2010; 6(1): 47-66. 

  16. Lee HS, Hwang SH. An effect of coffee shop customers' foodrelated lifestyle on coffee cocktail menu selection attributes and preference for menus. Tour Res 2014; 39(3): 141-159. 

  17. Golmakani N, Naghibi F, Moharari F, Esmaily H.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nd its related factors in female adolescents. J Midwifery Reprod Health 2013; 1(1): 42-49. 

  18. Spratt J, Shucksmith J, Philip K, Watson C. Part of who we are as a school should include responsibility for well-being: links between the school environment, mental health and behavior. Pastor Care Educ 2006; 24(3): 14-21. 

  19. Sung CJ. A comparative study of food habits and body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clinical sympt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2): 202-208. 

  20. Lee JS, Yun JW. A study on perception about body imag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32(2): 295-301. 

  21. Woo TJ, Lee HJ, Lee KA, Lee SM, Lee KH.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s' dietary perceptions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2): 165-177. 

  22. Yoo SJ, Jung LH. A study on food involvement and dietar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Naju area. J Home Econ Educ Assoc 2008; 20(1): 63-83. 

  23. Grunert KG, Brunso K, Bisp S. Food-related life style: development of a cross-culturally valid instrument for market surveillance. MAPP working paper 1993; p. 12. 

  24. Yim YM, Yoon HH. A study on the food-related life style to wine selection attribution. Korea Tour Res Assoc 2006; 20(3): 289-300. 

  25. Oh SC, Jang JS. The 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 on carbonated beverage consumption behavior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014; 27(6): 1043-1050. 

  26. Oh SC, Jang JS. The relationship of food-related lifestyle type and fast food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015; 28(1): 119-125. 

  27. Jung YH, Kim HI, In KS. The impact of food consumption lifestyle on the comfort food and customer satisfaction. J Hotel Resort 2014; 13(2): 163-182. 

  28. Choi W, Choi JY, Yon HS. A study on purchasing characteristics on health functional beverage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J Hotel Resort 2013; 12(1); 179-196. 

  29. Kim HC, Kim MR. Intake behavior regarding beverages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5; 25(2): 223-233. 

  30. Kim CK. The modern food system and food sovereignty. ECO 2008; 12(2): 7-3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