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트레드밀 걷기활동과 자율적 걷기활동을 통한 에너지소비량 측정 - 간접열량계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
Measurement of Energy Expenditure Through Treadmill-based Walking and Self-selected Hallway Walking of College Students - Using Indirect Calorimeter and Accelerometer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6, 2016년, pp.520 - 532  

김예진 (강릉원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왕취상 (강릉원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경 (강릉원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energy expenditure and metabolic cost (METs) of walking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and to compare treadmill based walking with self-selected hallway walking. Methods: Thirty subjects (mean age $23.4{\pm}1.6years$) completed eight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위의 결과를 토대로 20대 남녀 별도로 적용 할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수행 할 수 있는 적정한 걷기 운동의 강도와 빈도(또는 소요시간)를 제시함으로써 이들을 위한 건강증진 및 운동처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강릉시에 위치한 대학생 총 30명(남학생 15명, 여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에 기초한 5가지 속도의 걷기 활동과 자유롭게 평상시 걷기 속도에 맞춰 걷는 3가지의 복도 걷기 활동(self-selected hallway walking)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고 그 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20대 청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수행 할 수 있는 구체적인 걷기 운동 방법 및 적정 시간 등을 제시해 줌으로써 건강증진 및 운동처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한편 다양한 걷기 활동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는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면[18-20] 휴대용 무선 호흡 가스 분석기 또는 가속도계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사용한 연구에서는[11, 27, 29] 가속도계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휴대용 무선호흡가스분석기로 측정한 에너지 소비량과 가속도계로 측정한 counts 값을 이용하여 추정한 에너지 소비량 간에 걷기 활동에 따라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바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휴대용 무선 호흡가스분석기(Cosmed K4b2, Rome, Italy)와 3차원 중력가속도계(ActiGraph, GT3X+)를 이용하여 트레드밀에 기초한 5가지 속도의 걷기 활동과 자유롭게 평상시 걷기 속도에 맞춰 걷는 3가지의 복도 걷기 활동(self-selected hallway walking)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고 그 강도를 비교 및 분석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걷기 활동의 장점은? 걷기 활동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효율성이 높은 운동으로 알려져 있으며[1] 에너지 소비량 및 지방산화율의 증가, 스트레스 완화, 면역기능 증진, 혈액순환 촉진 및 심혈관 질환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2, 3]. 또한 걷기 활동은 시설, 장비, 비용의 제약이 없을 뿐만 아니라 특별한 훈련 없이도 간단하게 수행 할 수 있으므로[4] 건강한 사람뿐만 아니라 고령자, 재활이 필요한 환자, 체중 조절이 필요한 자 등을 위한 신체 활동으로 널리 활용되어지고 있다[5].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른 성인의 걷기 실천율과 비만유병율은? 그러나 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6] 만 19세 이상 성인의 걷기 실천율(최근 1주일 동안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의 분율)은 2008년에는 46.9%였으나 2014년에는 41.3%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비만유병률은 2008년 31.0%에서 2014년에는 31.5%로 증가하였다. 또한 위의 걷기 기준에 따라 실천하는 성인은 5명 중 2명 정도(41.
트레드밀에서의 걷기 활동의 제한점은? 트레드밀에서의 걷기 활동은 모든 대상자들이 동일한 속도로 수행하기 때문에, 표준화된 속도에 따라 산소섭취량 및 에너지 소비량의 비교 분석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트레드밀 걷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비가 갖추어진 실험실 환경이 필요하므로 대규모 집단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둘째, 트레드밀에 설정한 속도에 맞추어 자신의 걸음걸이, 보폭 및 빈도를 조절해야하기 때문에 본래 자신의 걸음걸이에 맞추어 걸었을 때 보다 산소섭취량이 의도적으로 증가되거나 때로는 감소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ang YH, Kim SH, Kim YS, Jung SH, Park J.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for Korean adults. J Digit Policy Manag 2013; 11(5): 325-334. 

  2. Qiu S, Cai X, Schumann U, Velders M, Sun Z, Steinacker JM. Impact of walking on glycemic control and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PLoS One 2014; 9(10): e109767. 

  3. Lee KY, Shin W, Ji MJ. Health promotion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a walking exercise program. J Basic Sci 2014; 31: 93-106. 

  4. Barnett A, Cerin E, Vandelanotte C, Matsumoto A, Jenkins D. Validity of treadmill- and track-based individual calibration methods for estimating free-living walking speed and $VO_2$ using the Actigraph accelerometer. BMC Sport Sci Med Rehabil 2015; 7(29): 1-11. 

  5. Han SW, Kong SA. The effect of backward walking and foreward walking on physical fitness in treadmill inclination for women. J coach dev 2006; 8(3): 269-276.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Internet].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6 Dec 12].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 

  7. Choi HJ, Song JM, Kim EK. Assessment of daily steps, activity coefficient, body composition,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daily energy expenditur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05; 11(2): 159-169. 

  8. Kim SH. A survey on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 energy expenditure and dietary energy intake by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J Nutr Health 2013; 46(4): 346-356. 

  9. Part YJ, Kim JH.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pattern, activity coefficient, basal metabolic rate and daily energy expenditur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1): 45-54. 

  10. You JS, Chin JH, Kim MJ, Chang KJ.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by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in Incheon area. Korean J Nutr 2008; 41(8): 818-831. 

  11. Park JY, Kim NH.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3; 27(1): 153-165. 

  12. Kang DW, Choi JS, Mun KR, Tack GR. Estimation of energy expenditure of walking and running based on triaxial accelerometer and physical information. Korean J Sport Biomech 2008; 18(4): 109-114. 

  13. Lee MY. Criterion and convergent validity evidences of an Accelerometer and a Pedometer. Korean J Meas Eval Phys Educ Sport Sci 2012; 14(2): 1-13. 

  14. Miller NE, Strath SJ, Swartz AM, Cashin SE. Estimating absolute and relative physical activity intensity across age via accelerometry in adults. J Aging Phys Act 2010; 18(2): 158-170. 

  15. Lyden K, Kozey SL, Staudenmeyer JW, Freeson P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commonly used accelerometer energy expenditure and MET prediction equations. Eur J Appl Physiol 2011; 111(2):187-201. 

  16. Peterson NE, Sirard JR, Kulbok PA, Deboer MD, Erickson JM. Validation of accelerometer thresholds and inclinometry for measurement of sedentary behavior in young adult university students. Res Nurs Health 2015; 38(6): 492-499. 

  17. Plotnik M, Azrad T, Bondi M, Bahat Y, Gimmon Y, Zeiling G et al. Self-selected gait speed-over ground versus self-paced treadmill walking, a solution for a paradox. J Neuroeng Rehabil 2015; 12(1): 1-20. 

  18. Hall KS, Howe CA, Rana SR, Martin CL, Morey MC. METs and accelerometry of walking in older adults: standard versus measured energy cost. Med Sci Sport Exerc 2013; 45(3): 574-582. 

  19. Schrack JA, Simonsick EM, Ferrucci L. Comparison of the Cosmed K4b2 portable metabolic system in measuring steadystate walking energy expenditure. PLoS One 2010; 5(2): e9292. 

  20. Vanhelst J, Mikulovic J, Bui-Xuan G, Dieu O, Blondeau T, Fardy P et al. Comparison of two actigraph accelerometer generations in the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in free living conditions. BMC Res Notes 2012; 5(1): 187. 

  21. Actigraph Support Center. What is VM (Vector Magnitude)? [Internet]. Actigraph Support Center; 2016 [cited 2016 Nov 28]. Available from: http://actigraphcorp.com. 

  22. Ainsworth BE, Haskell WL, Whitt MC, Irwin ML, Swartz AM, Strath SJ et al.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 an update of activity codes and MET intensities. Med Sci Sport Exerc 2000; 32(9): S498-S504.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physical activity guide for Korea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24. Kang IW, Cho WJ. The influence on mental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by the regular walking exercise. J Korea Soc Wellness 2016; 11(1): 207-215. 

  25. Choi YY. Choi SB, Kim S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subjective happiness according to walking exercise participation type. Korean J Sports Med 2011; 9(2): 1-12. 

  26. Jeon JS. Walking efficiency by obesity. Proceedings of The 8th Korea Walking Festival Seminar; 2002 Oct 25; 94-107. 

  27. Lee MH, Kim DY, Nam DH. Validation of the GT1M and GT3X Accelerometers for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Korean J Meas Eval Phys Educ Sport Sci 2012; 14(2): 61-71. 

  28. Webb P. Energy expenditure and fat-free mass in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1981; 34(9): 1816-1826. 

  29. An JH. The model for the walking and running program for the health of the aged. J Korean Phys Soc 1996; 35(3): 299-308. 

  30. Hunnicutt JL, Aaron SE, Embry AE, Cence B, Morgan P, Bowden MG et al. The effects of power training in young and older adults after stroke. Stroke Res Treat 2016; doi: 10.1155/2016/7316250. 

  31. Bayle N, Patel AS, Crisan D, Guo LJ, Hutin E, Weisz DJ et al. Contribution of step length to increase walking and turning speed as a marker of Parkinson's disease progression. PLoS One 2016; 11(4): e0152469. 

  32. Seale JL, Rumpler WV. Synchronous direct gradient layer and indirect room calorimetry. J Appl Physiol 1997; 83(5): 1775-1781. 

  33. Jeong SM, Kim TH, Park CH, Kim HG, Jekal YS. Review and introduction of physical activity assesment actigraph. J Exerc Sport Sci 2013; 19: 31-41. 

  34. Freedson PS, Melanson E, Sirard J. Calibration of the computer science and applications, Inc. accelerometer. Med Sci Sports Exerc 1998; 30(5): 777-781. 

  35.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rategy on Die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cited 2016 Dec 12]. Available from: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factsheet_adults/en/. 

  36. Park DH, Kim CS, Kim KJ. Consideration about physical activity guideline and exercise intensity for adult. Exerc Sci 2015; 24(2): 100-107. 

  37. Lee MY, Choi JY. Accuracy of wearable devices to estimate physical activity levels. Korean J Meas Eval Phys Educ Sport Sci 2015; 17(2): 49-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