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락툴로스 함유 듀올리고 섭취에 의한 피부개선 효과
Skin Health Effect of DuOligo Intake Containing Lactulose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2 no.4, 2016년, pp.367 - 375  

홍양희 (수원여자대학교 미용예술과) ,  정은영 (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  서형주 (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한성희 (고려대학교 생물신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락툴로스(lactulose) 51.67%와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 saccharides) 15.8%로 이루어진 듀올리고(DuOligo)의 섭취를 통하여 피부개선 효능을 조사하였다. 40~60 대의 건강한 여성 37명을 대상으로 대조군(덱스트린)과 실험군(듀올리고군)으로 나누어 각각 8주 동안 섭취 후, 수분보유량, 경표피수 분손실량, 멜라닌지수, 홍반지수와 주름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듀올리고 섭취 8주 후의 수분 보유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수분 보유량이 38.22%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1). 대조군의 경피수분손실량은 8주후 $3.39g/h/m^2$로 감소한데 비하여 듀올리고군의 경피수분손실량은 8주후 $5.32g/h/m^2$ 감소하였다. 대조군의 멜라닌 지수는 시간에 따라 그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듀올리고군의 멜라닌 지수는 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듀올리고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주름의 총 넓이, 총 주름의 길이, 주름의 수 및 주름의 깊이가 확연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듀올리고의 피부개선 기능성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kin-improving effect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oral intake of DuOligo (51.67% lactulose and 15.8% galactooligosaccharides). Thirty seven healthy women (40~60 in ages) were divided into placebo group (dextrin) and treatment group (DuOligo group), and each group was given a sa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험을 통하여 듀올리고 섭취가 피부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식이 소재로의 활용에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 그 기능성을 증명하여 화장품으로의 적용 범위 확대를 도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시험을 통해 락툴로스와 갈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한 듀올리고의 섭취가 피부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듀올리고를 복용한 40 ∼ 60대 여성의 피부에서 수분보유량, 주름의 분포율 등에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런 결과를 토대로 듀올리고가 보습, 미백과 주름완화의 기능성 소재로써 적용하기에 유용한 원료라고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올리고당의 어떤 성분이 정장작용을 도우며 피부건강을 개선시키는가? 올리고당은 대부분 장에서 비피더스균을 선택적으로 증식시켜 많은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효능을 나타내므로 이들의 작용기전이나 영양소와의 상호작용 및 면역활성 등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5-7]. 그중에서도 락툴로스(lactulose)와 같은 경우는 정장적용에 도움을 주며, 이로 인해 인체 내 사이토카인(cytokines)의 변화를 초래함에 따라 피부건강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8].
노화의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노화에 따른 변화는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들의 회복 작용 저하에 의하며, 이들 변화의 원인은 나이에 따른 노화의 과정으로 일어나는 내인성 노화와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에 의하여 야기되는 광노화로 분류된다[1,2]. 내인성 노화의 임상적 특징은 미세한 주름, 진피의 위축, 피하지방층의 감소 등이 관찰되며, 광노화의 임상적인 특징은 굵고 깊은 주름이 발생하며, 멜라닌세포의 활성 증가로 불규칙한 색소침착이 발생하며, 피부가 매우 거칠고, 건조해지며, 탄력성이 감소하여 심한 경우 피부가 처지는 증상을 나타낸다[3].
내인성 노화의 임상적 특징은? 노화에 따른 변화는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들의 회복 작용 저하에 의하며, 이들 변화의 원인은 나이에 따른 노화의 과정으로 일어나는 내인성 노화와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에 의하여 야기되는 광노화로 분류된다[1,2]. 내인성 노화의 임상적 특징은 미세한 주름, 진피의 위축, 피하지방층의 감소 등이 관찰되며, 광노화의 임상적인 특징은 굵고 깊은 주름이 발생하며, 멜라닌세포의 활성 증가로 불규칙한 색소침착이 발생하며, 피부가 매우 거칠고, 건조해지며, 탄력성이 감소하여 심한 경우 피부가 처지는 증상을 나타낸다[3]. 이들 내인성 또는 광노화의 두 가지 요인은 공통적으로 활성산소를 생성하며 적절하게 제거되지 못한 활성산소가 피부의 회복작용을 방해하여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킨다는 것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A. Aachary and S. G. Prapulla, Xylooligosaccharides (XOS) as an emerging prebiotic: microbial synthesis, utilization, structural characterization, bioactiv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Compre. Rev. Food. Sci. FoodSaf., 10(1), 2 (2011). 

  2. E. H. Choi, Molecular mechanisms of skin aging and age-related diseases, ed. T. Quan, 61, CRC Press, New York Washington, D.C. (2016). 

  3. S. Park and J. H. Shim, Anti-aging effect of psoraleae fructus extract in UVA-irradiated HaCaT cells, AJBC., 14(2), 119 (2016). 

  4. M. Egawa, M. Oguri, T. Kuwahara, and M. Takahashi, Effect of exposure of human skin to a dry environment, Skin. Res. Technol., 8(4), 212 (2002). 

  5. E. R. Farnworth, Handbook of nutr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ed. E. C. Wildman, 335, CRC Press, New York Washington, D.C. (2016). 

  6. S. Collins and G. Reid, Distant site sffects of ingested prebiotics, Nutrients, 8(9), 523 (2016). 

  7. M. M. Kober and W. P. Bowe, The effect of probiotics on immune regulation, acne, and photoaging, IJWD, 1(2), 85 (2015). 

  8. F. M. Strickland, Immune regulation by polysaccharides: implications for skin cancer, J. Photochem. Photobiol. B. Biol., 63(1), 132 (2001). 

  9. T. B. Fitzpatrick, The validity and practicality of sun-reactive skin types I through VI, Arch. dermatol., 124(6), 869 (1988). 

  10. M. M. Hristian, Microresurfacing using the variable-pulse erbium: yag laser: a comparison of the 0.5-and 4-ms pulse durations, Dermatol. Surg., 29(6), 605 (2003). 

  11. P. G. Sator, J. B. Schmidt, and H. Honigsmann, Comparison of epidermal hydration and skin surface lipids in healthy individuals and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m. Acad. Dermatol., 48(3), 352 (2003). 

  12. K. Isawa, T. Noma, M. Yamamoto, K. Kimura, H. Ito, and N. Taketomo, Verifying the ability of yogurt prepared with LB81 lactic acid bacteria to improve skin function, J. Intest. Microbiol., 22(1), 1 (2008). 

  13. O. K. Jacobi, About the mechanism of moisture regulation in the horny layer of the skin, Proc. Scient. Sect. Toil. Goods. Assoc., 31, 22 (1959). 

  14. R. Iizuka, K. Kawakami, N. Izawa, and K. Chiba, Phenols produced by gut bacteria affect the skin in hairless mice, Microb. Ecol. Health Dis., 21(1), 50 (2009). 

  15. S. Vertuani, P. Ziosi, N. Solaroli, V. Buzzoni, M. Carli, E. Lucchi,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efficacy of cosmetic formulations by non-invasive measurements, Skin. Res. Technol., 9(3), 245 (2003). 

  16. S. J. Kim, K. H. Son, H. W. Chang, S. S. Kang, and H. P. Kim, Tyrosinase inhibitory prenylated flavonoids from Sophora flavescens, Biol. Pharm. Bull., 26(9), 1348 (2003). 

  17. S. Sonthalia, D. Daulatabad, and R. Sarkar, Glutathione as a skin whitening agent: facts, myths, evidence and controversies, Indian. J. Dermatol, Venereol, Leprol., 82(3), 262 (2016). 

  18. D. E. Gormley, and S. Eremia, Quantitative assessment of augmentation therapy, J. dermatol. Surg. Oncol., 16(12), 1147 (1990). 

  19. K. Kawai, M. Nakagawa, J. Kawai, and K. Kawai, Evaluation of skin irritancy of sodium laury sulphat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replica method and visual evaluation, Contact. Dermatitis., 27(3), 174 (1992). 

  20. K. B. Hong, M. Jeong, K. S. Han, J. H. Kim, Y. Park, and H. J. Suh, Photoprotective effects of galacto-oligosaccharide and/or Bifidobacterium longum supplementation against skin damage induc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in hairless mice, Int. J. Food. Sci. Nutr., 66(8), 92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