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양돈장의 사육구간별 주요 소화기질병 원인체 유병율 조사
Prevalence of major enteric pathogens in different feeding groups of pig in Korean pig farms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9 no.4, 2016년, pp.211 - 219  

정윤수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박유리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강대영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한도현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윤두학 (경북대학교 축산학과) ,  정병열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균질병과) ,  박최규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determining the prevalence of major enteric pathogens, clinical examination and etiological diagnosis were carried out on 75 Korean pig farms. Enteric disease-suspected signs were observed in 90.7% of the farms and the incidence and severity were higher in younger age groups of the pigs. Fiv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가별로 호주(Driesen 등, 1993), 덴마크(Stege 등, 2000), 독일(Wieler 등, 2001), 일본(Katsuda 등, 2006), 브라질(Viott 등, 2013) 등에서 포유, 이유 또는 육성ㆍ비육구간 등 특정 사육구간에 대하여 주요 설사병 원인체의 감염상황을 조사하여 보고한 바 있으나 양돈장의 설사병 감염상황을 전 사육구간에 걸쳐 종합적으로 파악한 연구는 국내ㆍ외적으로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반 양돈장을 대상으로 포유자돈, 이 유자돈, 육성돈(전기와 후기) 및 비육돈 구간으로 사육단계를 5단계로 구분하여 설사병 발생상황을 조사하고, 해당 구간에서 채취한 분변시료를 대상으로 주요 설사병 원인체 7종 즉,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TGEV), 돼지유행성 설사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돼지 로타바이러스 A형(porcine rotavirus group A; PoRVA), 병원성대장균[pathogenic Escherichia (E.) coli], 살모넬라균(Salmonella spp.), 증식성회장염균[Lawsonia(L.) intracelluraris], 돼지적리균[Brachispira (B.) hyodysenteriae]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여 국내 양돈장의 사육구간별 주요 설사병 원인체의 유병률 및 혼합감염 양상을 조사하였기에 보고한다.
  • 한국의 75개 양돈장을 대상으로 사육단계별 설사병 발생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상관찰과 주요 설사병 원인체 7종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75개 양돈장 중 68개 양돈장(9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사병 이환농장은 어떤 피해를 입게 되는가? 설사병은 양돈장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병 유형 중의 하나이며, 설사병 이환농장은 사육 돼지의 성장 부진과 폐사 및 치료비의 증가 등으로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입게 된다(Thomson과 Friendship, 2012). 돼지 설사병은 사육단계별로 다양한 세균, 바이러스 및 기생충 감염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동일 농장 또는 동일 돈군에서도 2종 이상의 병원체가 혼합감염되는 경우가 많다(Katsuda 등, 2006; Stege 등, 2000; Suh와 Song, 2005).
돼지 설사병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설사병은 양돈장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병 유형 중의 하나이며, 설사병 이환농장은 사육 돼지의 성장 부진과 폐사 및 치료비의 증가 등으로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입게 된다(Thomson과 Friendship, 2012). 돼지 설사병은 사육단계별로 다양한 세균, 바이러스 및 기생충 감염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동일 농장 또는 동일 돈군에서도 2종 이상의 병원체가 혼합감염되는 경우가 많다(Katsuda 등, 2006; Stege 등, 2000; Suh와 Song, 2005). 한국에서도 일선 양돈장의 설사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돼지설사병의 감염상황이나 유병률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Kim 등, 2010; Kwon 등, 1999; Lee 등, 2001; Lim 등, 2012; Suh와 Song, 2005).
돼지설사병의 감염상황이나 유병률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한국에서도 일선 양돈장의 설사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돼지설사병의 감염상황이나 유병률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Kim 등, 2010; Kwon 등, 1999; Lee 등, 2001; Lim 등, 2012; Suh와 Song, 2005). 그러나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특정 돼지 설사병 원인체의 유병률이나 해당 병원체의 특성을 구명하는 내용이며, 농장 단위의 복합적인 설사병 감염상황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왔다. 국가별로 호주(Driesen 등, 1993), 덴마크(Stege 등, 2000), 독일(Wieler 등, 2001), 일본(Katsuda 등, 2006), 브라질(Viott 등, 2013) 등에서 포유, 이유 또는 육성ㆍ비육구간 등 특정 사육구간에 대하여 주요 설사병 원인체의 감염상황을 조사하여 보고한 바 있으나 양돈장의 설사병 감염상황을 전 사육구간에 걸쳐 종합적으로 파악한 연구는 국내ㆍ외적으로 많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rnold T, Scholz HC, Marg H, Rosler U, Hensel A. 2004. Impact of invA-PCR and culture detection methods on occurrence and survival of Salmonella in the flesh, internal organs and lymphoid tissues of experimentally infected pigs. J Vet Med B 51: 459-463. 

  2. Byun JW, Jung BY, Kim HY, Fairbrother JM, Lee MH, Lee WK. 2013. Real-time PCR for differentiation of F18 variants among enterotoxigenic and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from piglets with diarrhoea and oedema disease. Vet J 198: 538-540. 

  3. Carlson SA, Barnhill AE, Griffith RW. 2012 Salmonellosis. pp. 821-833. In: Zimmerman JJ, Karriker LA, Ramirez A, Schwartz KJ, Stevenson GW(ed.). Diseases of swine, 10th ed. Wiley-Blackwell Publishing. West Sussex. UK. 

  4. Chang KO, Saif L, Kim Y. 2012. Reoviruses (Rotaviruses and Reoviruses). pp. 621-634. In: Zimmerman JJ, Karriker LA, Ramirez A, Schwartz KJ, Stevenson GW(ed.). Diseases of swine, 10th ed. Wiley-Blackwell Publishing. West Sussex. UK. 

  5. Driesen SJ, Carland PG, Fahy VA. 1993. Studies on preweaning piglet diarrhoea. Aust Vet J 70: 259-262. 

  6. Estes M, Greenberg HB. 2013. Rotaviruses. pp. 1347-1395. In: Knipe D, Howley P(ed.). Fields Virology, 5th ed.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7. Fairbrother JM and Gyles CL. 2012. Colobacillosis. pp. 723-749. In: Zimmerman JJ, Karriker LA, Ramirez A, Schwartz KJ, Stevenson GW(ed.). Diseases of swine, 10th ed. Wiley-Blackwell Publishing. West Sussex. UK. 

  8. Fellstrom C, Zimmerman U, Aspan A, Gunnarsson A. 2001. The use of culture, pooled samples and PCR for identification of herds infected with Brachyspira hyodysenteriae. Anim Health Res Rev 2: 37-43. 

  9. Ha SK, Choi C, Jung K, Kim J, Han DU, Ha Y, Lee SD, Kim SH and Chae C. 2004. Genotypic prevalence of the adhesin involved in diffuse adherence in Escherichia coli isolates in pre-weaned pigs with diarrhoea in Korea. J Vet Med B 51: 166-168. 

  10. Hampson DJ. 2012. Brachyspiral Colitis, pp. 680-696. In: Zimmerman JJ, Karriker LA, Ramirez A, Schwartz KJ, Stevenson GW(ed.). Diseases of swine, 10th ed. Wiley-Blackwell Publishing. West Sussex. UK. 

  11. Jeong Y, Park S, Hosmillo M, Shin D, Chun Y, Kim H, Kwon H, Kang S, Woo S, Park S, Kim G, Kang M, Cho K. 2009. Detec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orcine group C rotaviruses in South Korea. Vet Microbiol 138: 217-224. 

  12. Johnson MW, Fitzgerald GR, Welter MW, Welter CJ. 1992, The six most common pathogens responsible for diarrhea in newborn pigs. Vet Med 4: 382-386. 

  13. Jung SC, Bark YH, Moon JS. 1994. Characteristics of Serpulina hyodysenteriae isolated from swine farms. Ann Res Rept RDA 36: 103-117. 

  14. Katsuda K, Kohmoto M, Kawashima K, Tsunemitsu H. 2006. Frequency of enteropathogen detection in suckling and weaned pigs with diarrhea in Japan. J Vet Diagn Invest 18: 350-354. 

  15. Kim HJ, Park SI, Ha TPM, Jeong YJ, Kim HH, Kwon HJ, Kang MI, Cho KO, Park SJ. 2010. Detection and genotyping of Korean porcine rotaviruses. Vet Microbiol 144: 274-286. 

  16. Kim O, Kim B, Chae C. 1998. Prevalence of Lawsonia intracellularis in selected pig herds in Korea as determined by PCR. Vet Rec 143: 587-589. 

  17. Kim YJ, Kim JH, Hur J, and Lee JH. 2010. Isolation of Escherichia coli from piglets in South Korea with diarrhea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rulence genes. Can J Vet Res 74: 59-64. 

  18. Kwon D, Kim O, Chae C. 1999. Prevalence of genotypes for fimbriae and enterotoxins and of O serogroups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diarrheic piglets in Korea. J Vet Diagn Invest 11: 146-151. 

  19. Lee SW, Kim TJ, Park SY, Song CS, Chang HK, Yeh JK, Park HI, Lee JB. 2001. Prevalence of porcine proliferative enteropathy and its control with tylosin in Korea. J Vet Sci 2: 209-212. 

  20. Lim SH, Lee HS, Nam HM, Cho YS, Jung SC, Joo YS. 2012.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rachyspira species in pigs in Korea. Korean J Vet Res 52: 253-257 

  21. Lim SK, Lee HS, Nam HM, Cho YS, Kim JM, Song SW, Park YH, Jung SC. 2007. Antimicroboal resistance observed in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fecal samples of cattle and pigs in Korea during 2003-2004. Inter J Food Microbiol 116: 283-286. 

  22. McOrist S, Gebhart CJ. 2012. Proliferative enteropathy. pp. 811-820. In: Zimmerman JJ, Karriker LA, Ramirez A, Schwartz KJ, Stevenson GW(ed.). Diseases of swine, 10th ed. Wiley-Blackwell Publishing. West Sussex. UK. 

  23. Molinari BLD, Lorenzetti E, Otonel RAA, Alfieri AF, Alfieri AA. 2012. Species H Rotavirus Detected in Piglets with Diarrhea, Brazil. Emerg Infec Dis 20: 1019-1022. 

  24. Park CK, Kim HJ, Kim JH, Cho JK, Kim YH, Jung YS, Bae CW, Park JC, Kim IC, Kim KS. 2013. revalence and Infection Status of Salmonella in 25 Conventional Swine Farms in Korea. J Life Sci 23: 1267-1272. 

  25. Song DS. Kang BK, Oh JS, Ha GW, Yang JS, Moon HJ, Jang YS, Park BK. 2006. Multiplex reverse transcription-PCR for rapid differential detection of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and porcine group A rotavirus. J Vet Diagn Invest 18: 278-281. 

  26. Stege H, Jensen TK, Mller K, Baebo P, Jorsal SE. 2000. Prevalence of Intestinal Pathogens in Danish Finishing pig Herds. Prev Vet Med 46: 279-292. 

  27. Suh DK, Song JC. 2005. Prevalence of Lawsonia intracellularis, Brachyspira hyodysenteriae and Salmonella in swine herds. J Vet Sci 6: 289-293. 

  28. Tamanga MD, Gurunga M, Nam HM, Moon DC, Kim SR, Jang GC, Jung DY, Jung SC, Park YH, Lim SK. 2015.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in pigs from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s and first report of S. serovar 1,4,[5],12:i:- from Korea. Vet Microbiol 178: 119-124. 

  29. Thomson JR, Friendship RM. 2012. Digestive system. pp. 199-226. In: Zimmerman JJ, Karriker LA, Ramirez A, Schwartz KJ, Stevenson GW(ed.). Diseases of swine, 10th ed. Wiley-Blackwell Publishing. West Sussex. UK. 

  30. Viott AM, Lage AP, Cruz Junior ECC, Guedes RNC. 2013. The prevalence of swine enteropathogens in Brazilian grower and finish herds. Brazilian J Microbiol 44: 145-151. 

  31. Wakuda M, Ide T, Sasaki J, Komoto S, Ishii J, Sanekata T, Taniguchi K. 2011. Porcine rotavirus closely related to novel group of human rotaviruses. Emerg Infect Dis 17: 1491-1493. 

  32. Wieler LH, Ilieff A, Herbst W, Bauer C, Vieler E, Bauerfeind R, Failing K, Klos H, Wengert D, Baljer G, Zahner H. 2001. Prevalence of enteropathogens in suckling and weaned piglets with diarrhoea in southern Germany. J Vet Med B Infect Dis Vet Public Health 48: 151-159. 

  33. Zhang W, Zhao M, Ruesch L, Omot A, Francis D. 2007. Prevalence of virulence genes in Escherichia coli strains recently isolated from young pigs with diarrhea in the US. Vet Microbiol 123: 145-1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