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emotional labor of clinical nurses in medical institutes. Methods: A total of 26 nurses from 11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 focus groups were organized and 4 to 5 nurses took part in each group. The compositional 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정적 사건을 겪은 후 간호사들은 관리자나 동료들 그리고 친구들과 사건에 대하여 이야기하거나, 울거나, 욕을 하는 방법으로 정신적 긴장을 완화시키거나, 과도한 음주나 수면제, 약물 등의 도움으로 과도하게 수면을 취하는 방법을 통하여 나쁜 기억을 잊고자 하였다. 의도적 노력으로도 특정 감정적 사건을 잊기 어려운 경우, 심리상담과 같은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함을 느낀다고 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시행되었다.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표면 행위 형태는 화가 나는 것을 참는 것으로 간호사 자신의 욕구를 억제하는 것과 간호사로서의 모습과 실제 자신의 모습을 분리하고 직업윤리의식으로 자신의 감정적 어려움을 승화시키는 것이었다.
  •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간호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을 이들의 관점으로 기술하고 설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감정노동에 대한 그들의 생각과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들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본질을 파악하고, 감정노동을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감정노동으로 인한 감정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요인과 해소하는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주제를 중심으로 감정노동에 관한 임상간호사들의 입장과 시각을 이해하는 것이다.
  • 따라서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질적 내용분석은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의미와 경험을 기술하고 설명하는데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질적 내용분석을 적용하여 임상 간호사들의 감정노동 경험을 이해하고 이들의 감정노동 경험을 기술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경험은 효과적인 간호 인력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녹취록 작성은 인터뷰 후 즉시 시작하여 다음 인터뷰가 진행되기 전에 신속하게 완료하였고, 인터뷰에서 도출된 내용과 연구 질문이 연구목적에 부합하는가를 검토하면서 후속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중 중요한 발언내용을 현장노트에 기록하여 정리하였으며, 녹취록을 작성하여 참여자의 의견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현장노트 정리와 인터뷰에 대한 기록은 분석을 명확히 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로 인한 자각적 인식이 편견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자료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를 갖도록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노동이란 무엇인가? 감정노동이란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외적으로 얼굴 표정이나 몸짓을 조절하려는 개인의 노력을 의미한다[1]. 감정노동은 판매, 유통, 통신 등의 기존 서비스 분야는 물론 최근 교육, 의료, 양육 등 돌봄 노동이 확장되면서, ‘섬세함’이나 ‘친밀감’, ‘공감’과 같은 감정도 노동행위의 한 형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5].
이용자들의 의료서비스 높은 기대를 만족하기위해 요구되는것은? 최근 소득수준 향상과 소비자 권리주장의 확대 그리고 인터넷 사용의 증대 등으로 의료서비스 이용자들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변화에 맞추어 의료기관들은 의료소비자를 만족시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조직원들에게 고객에 대한 배려와 친절을 더 많이 요구하게 되었다[1,2]. 이에 따라 의료기관들은 조직원들의 감정표현에 관한 규칙을 마련하고 이에 따르기를 요구하고 있다[3].
감정노동은 어떠한 형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는가? 감정노동이란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외적으로 얼굴 표정이나 몸짓을 조절하려는 개인의 노력을 의미한다[1]. 감정노동은 판매, 유통, 통신 등의 기존 서비스 분야는 물론 최근 교육, 의료, 양육 등 돌봄 노동이 확장되면서, ‘섬세함’이나 ‘친밀감’, ‘공감’과 같은 감정도 노동행위의 한 형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5]. 간호사는 업무특성상 일방적 요구가 높은 환자와 대면하여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섬세함이나 친밀감을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억제해야 하는 등 업무과정 중 감정을 조절해야 할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ochschild A.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2. Shin MK, Kang HL.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158-167. 

  3. Grandey AA.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00;5(1):95-110. http://dx.doi.org/10.1037/1076-8998.5.1.95 

  4. Park HJ. Emotional labor, emotional expression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2):225-232. 

  5. Kim W, Rhee KY, Lee GR. Work environment and stress emotional laborers. Journal of Korea Sociology. 2012;46(2):123-149. 

  6. Kim JJ. Regulatory measures and responds on emotional labor in service industry. The Labor Review. 2013;9:42-54. 

  7. Gountas S, Gountas J, Soutar G, Mavondo F. Delivering good service: Personal resources, job satisfaction and nurses', 'customer' (patient) orient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4;70(7):1553-1563. http://dx.doi.org/10.1111/jan.12308. Epub 2013 Nov 17 

  8. Yang FH, Chang CC.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st clinical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8;45(6):879-887.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7.02.001 

  9. AbuAlRub RF. Job stress, job performance, and social suppor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4;36(1):73-78. 

  10. Kim JH, Lee YM, Jang HY, Choo HS, Won SJ, Kwon SY, et al. Effects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2):157-167.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2.157 

  11. Kim HJ, Kim JH.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clinical nurses in a province.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3): 308-318. http://dx.doi.org/10.7782/JKSR.2013.16.1.071 

  12. Chung, BY, Han JY.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in hospice nurses: Focus o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322-33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22. 

  13. Schaufeli WB, Bakker AB.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 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4;25(3):293-315. 

  14. Jung HS, Yoon HH. A study on the moderating role of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i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13;19(4):94-108. 

  15. Kim GB, Shin KL, Kim SS, Yoo EK, Kim NC, Park ES, et 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Hyunmoonsa; 2005. 

  16. Vaismoradi M, Turunen H, Bondas T.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Implications for conducting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13;15(3):398-405. 

  17. Hsieh HF, Shannon SE.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5;15(9):1277-1288. 

  18. Brotheridge CM, Grandey AA.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2002;60:17-39. 

  19.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20. Hwang SJ, Baek Y, Kim B. Relationship between job-related affective states and job attitudes: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8):4930-4941. http://dx.doi.org/10.5762/KAIS.2014.15.8.4930 

  21. Byun DS, Yom YH.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444-454. 

  22. Han JH. A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6):161-170.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22 

  23. Cote SA. Social interaction model of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on work strai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05;30(3):509-530. 

  24. Rafaeli A, Sutton RI. Expression of emotion as part of the work rol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87;12(1):23-37. 

  25. Brotheridge CM, Lee RT. Testing a convers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02;7(1):57-67. http://dx.doi.org/10.1037/1076-8998.7.1.57 

  26. Kruml SM, Geddes D.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Management of Communication Quarterly. 2000;14(1): 8-49. http://dx.doi.org/10.1177/0893318900141002 

  27. Diefendorff JM, Croyle MH, Gosserand RH.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5;66(2):339-357. http://dx.doi.org/10.1016/j/jvb.2004.02.001 

  28. Ashkanasy NM, Hartel CE, Zerbe WJ. Emotions in the workplace: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U.S.A: Quorum Books; 2000. p. 165-1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