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실태와 신체적 증상, 소진, 우울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Discomfort, Burnout, Depression, Social Supports and Emotional Labor of Clinical Nurses in Korea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222 - 235  

염영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손희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이현숙 (경동대학교 간호학부) ,  김명애 (서울여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status of clinical nurses' emotional labor and the relationship with physical discomfort, burnout,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Methods: A thousand three hundred sixteen clinical nurses from 42 hospitals nationwide participated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감정노동의 전반적인 현황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에 대처하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이 간호조직에 미치는 영향과 간호사 개인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를 제언하는 바 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 현황 및 감정노동과 관련된 신체적 불편감, 소진, 우울 그리고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우울, 소진, 신체적 불편감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감정노동이 우울, 소진, 신체적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변수들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확인하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실태와 현황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셋째, 간호사의 감정노동 유발요인과 결과요인 그리고 완화요인에 대하여 간호사의 업무환경 내에서 면밀히 살펴보는 연구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임상 간호사를 대표하는 표본을 추출하여 임상간호사 감정노동의 실태 및 현황을 조사하고,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요인과 결과요인으로 나타나는 신체적 불편감, 소진, 우울 그리고 조절요인으로 작용하는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노동이 개인에게 끼치는 영향은 어떤 것이 있는가? 감정노동이 조직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에서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간호사의 감정노동 또한 조직과 개인에게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개인적인 측면에서 감정노동은 근육통을 비롯한 여러 가지 신체증상과[7] 우울[8,9], 감정적 소진과[10,17] 직무만족을 낮추는데[17] 영향을 미치고, 조직적 차원에서는 고객 지향성이 낮아지고 서비스 질이 떨어져 업무성과에 부정적 영향을[18] 초래한다. 이러한 부정적 영향들은 간호사로 하여금 조직을 떠나도록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간호사 이직률을 높이고 조직에서 경력간호사의 보유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여[18,19] 환자 간호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기존의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연구들은 어떤 제한점을 가지는가? 그러나 지금까지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연구들은 몇 가지 제한점을 지닌다. 첫째, 감정노동과 관련된 현재까지 연구는 연구대상 선정에서 대상자 편의 추출에 의해 진행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므로, 얼마나 많은 간호사들이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어느 정도의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대표성을 지닌 현황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구체적인 상황을 포함하는 감정노동 수행 그 자체보다는 감정노동의 부정적인 심리적 결과로 인한 심적 스트레스, 정서적 고갈, 직무불만족, 조직몰입저하, 이직의도 등 결과적 영향요인에 많은 중점을 두고 있어, 조직관리 차원에서 구체적인 예방관리방안에 대한 대책마련이 어렵다. 셋째, 간호사의 감정노동 유발요인과 결과요인 그리고 완화요인에 대하여 간호사의 업무환경 내에서 면밀히 살펴보는 연구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임상 간호사를 대표하는 표본을 추출하여 임상간호사 감정노동의 실태 및 현황을 조사하고,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요인과 결과요인으로 나타나는 신체적 불편감, 소진, 우울 그리고 조절요인으로 작용하는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감정노동이란? Hochschild [6]는 감정을 관리하는 노력이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는데 영향을 미침으로써 상품의 가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를 노동의 새로운 형태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감정노동을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외적으로 얼굴 표정이나 몸짓을 조절하려는 개인의 노력이라고 규명하였다. 즉 감정노동은 조직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자신의 감정을 업무의 한 부분으로써 의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한편 Brotheridge와 Grandey [3]는 개인의 감정을 통제하거나,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표현규칙을 준수하는 과정에서 조직원이 표현하는 감정과 자신의 실제 감정이 상이할 경우 감정의 불일치 또는 감정의 부조화를 경험하게 되고 이는 조직원으로 하여금 정신적인 에너지를 소모하게 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om YH, Lee HZ, Son H. Clinical nurses's experience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6;22(3):314-326. https://doi.org/10.22650/JKCNR.2016.22.3.314 

  2. Grandey AA.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00;(1):95-110. 

  3. Brotheridge CM. Grandey AA.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2002;60(1):17-39. 

  4. Yoon SH.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job effectiveness: A survey o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4;17(3):451-466. 

  5. Park BG.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attitude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08;15(1):69-85. 

  6. Hochschild A.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7. Shin MK, Kang HL.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158-167. 

  8. Kim KO, Cho YC.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u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8):3794-3803.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794 

  9. Kim HJ, Kim JH.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clinical nurses in a province,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3):308-318.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3.308 

  10. Byun DS, Yom YH.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444-454. 

  11. Lee B. Development of model for emotional labor worker's health.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7; 16(1):78-88. 

  12. Ashforth BE, Humphrey RH.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3;18(1):88-115. http://dx.doi.org/10.2307/258824 

  13. Grandey AA.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02;5(1):95-110. 

  14. Park SH, Song YJ.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with job performance: Dimension, impacts and implications. The Korean Governance Review. 2013;20(1):1-24. 

  15. Schaufeli WB, Bakker AB.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4;25 (3):293-315. 

  16. Jung HS, Yoon HH. A study on the moderating role of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i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13;19(4):94-108. http://dx.doi.org/10.20878/cshr.2013.19.4.007 

  17. Chung B, Han JY.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in hospice nurses: Focus o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 20(3):322-331. 

  18. Wi SM, Yi YJ.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 18(3):310-319. 

  19. Kim IS.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4):515-526. 

  20. Lee MY, Park MR, Park MM, Lee HJ, Jung EJ, Kim HJ. The arrangement situation of clinical nurse in Korea.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5. 134-167. 

  21. Brotheridge CM, Lee RT. On the dimensionality of emotional lab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r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first Conference on Emotions and Organizational life: San Diego; 1998 

  2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ization of job stress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employees (The 2nd year project). Research report; 2004 .Report No:2004-56-427. 

  23.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New York. NY: Brunner-Mazel; 1995 

  24. Stamm BH.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Pocatello. ID: ProQoL; 2009 

  25. Kim HJ.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burnout in clinical nurses based on CS-CF model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3. p. 1-140. 

  26.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3;32 (3):381-399. 

  27.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28. Yang JH, Jeoung KH. Effects of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12):7170-7178.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2.7170 

  29. Brotheridge CM, Lee R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3;76:365-379. 

  30. Kim SH, Ham Y.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3):263-2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