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제 안전관리의 지식과 수행에 대한 항암제 안전관리지침 교육의 적용 효과
The Effects of Safe Handling Education of Antineoplastic Drug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217 - 224  

장선주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  이현옥 (청주의료원) ,  권지현 (충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  이승희 (충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fe handling education of antineoplastic drug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wa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study. A total of 49 nurses (25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fo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항암제 안전관리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항암제 안전관리 지식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19] 및 안전관리 수행을 위한 문제점 및 개선안 분석[20]을 위한 조사연구가 있었으며, 항암제 안전관리지침 교육과 관련된 실험연구인 경우에는 단일군 실험설계 연구[21,22]와 약사에 의한 교육 중재의 효과를 살펴본 것으로 나타났다[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이 확보된 OSHA가이드라인, 의료기관 인증 조사기준 등을 기반으로 임상간호실무에 적합하게 개발한 항암제 안전관리지침 교육이 병동 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 지식과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대조군을 설정하였으며 항암제 안전관리지침 교육 시행 8주 후 사후 평가를 하여 교육 효과의 지속성 여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제1가설: 항암제 안전관리지침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항암제 안전관리지침 지식점수가 높을 것이다.
  • 2) 제2가설: 항암제 안전관리지침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항암제 안전관리지침 수행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진의 항암제 노출로 인해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의료진의 항암제 노출과 관련하여 미국의 직업안전위생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stration, OSHA)은 항암제 준비와 투약 및 폐기 처리과정에서 항암제에 직접 노출되거나 항암제를 투약한 환자에서 체액이나 배설물을 통해 간접 노출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7]. 이는 항암제를 취급하는 약사와 간호사의 24시간 소변검사에서 항암제가 검출되거나[8], 항암제를 다루는 의료인의 직업적 노출로 인해 피부 발진, 알레르기형 반응, 탈모, 주요 장기(간, 신장, 골수, 폐, 심장 등)의 손상, 청각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9]. 뿐만 아니라, 항암제를 다루는 의료진은 불임, 생식기능의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데[9], 이와 관련하여 미국에서 위험물질을 다루는 임신 중인 간호사 7,5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항암제 노출이 조기 자연유산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10].
항암제는 어떠한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인가? 암의 다양한 치료법 중 하나인 항암화학요법은 암 치료의 근간으로 여겨지며 최근 몇 년 동안 빠른 속도로 발전을 하고 있고[2,3], 항암화학요법을 위한 약물, 즉 항암제는 암 환자의 70~80% 이상이 치료기간 동안 1회 이상 투여 받게 될 정도로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4]. 그러나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항암제는 암세포 뿐 아니라 세포분열이 빠른 정상세포에도 영향을 미치는 세포독성 약물로 환자 뿐 아니라 이를 직접 취급하는 의료인도 약물의 위험성에 노출될 수 있다[5,6].
항암제를 다루는 의료진는 어떠한 문제를 겪을 수 있는가? 이는 항암제를 취급하는 약사와 간호사의 24시간 소변검사에서 항암제가 검출되거나[8], 항암제를 다루는 의료인의 직업적 노출로 인해 피부 발진, 알레르기형 반응, 탈모, 주요 장기(간, 신장, 골수, 폐, 심장 등)의 손상, 청각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9]. 뿐만 아니라, 항암제를 다루는 의료진은 불임, 생식기능의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데[9], 이와 관련하여 미국에서 위험물질을 다루는 임신 중인 간호사 7,5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항암제 노출이 조기 자연유산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10]. 이러한 위험성으로 인해 항암제는 임상 현장에서 고위험약물로 구분되어 별도의 관리 및 주의가 요구되며, 특히 지속적으로 항암제를 취급하는 간호사의 많은 수가 가임기 여성이기에 취약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tatistics Korea. Deaths and death rates by caus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cited 2015 November 4]. Available from: http://kosis.kr/eng/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ETITLE&parmTabIdM_01_01#SubCont. 

  2. Gilani S, Giridharan S. Is it safe for pregnant health-care professionals to handle cytotoxic drug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Ecancermedicalscience. 2014;8:418. 

  3. Sausville EA, Longo DL. Principles of cancer treatment. In: Kasper D, Fauci A, Hauser S, Longo D, Jameson J, Loscalzo J. editor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e. New York: McGraw-Hill; 2015. p. 103e-1-26. 

  4. Choi JS, Kim YH, Gong SH, Jun MH, Park JS, Kim MJ. Level of knowledge and compliance on guidelines for safe handling of cytotoxic drugs by career and work unit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4;9(2):6-17. 

  5. Itano JK, Brant JM, Conde FA, Saria MG. Core curriculum for oncology nursing. 5th ed. St. Louis, MO: Elsevier; 2016. p. 237. 

  6. Tomkins J. Ensuring healthcare worker safety when handling hazardous drugs: The joint position statement from the Oncology Nursing Society,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nd the Hematology/Oncology Pharmacy Association. Journal of Oncology Practice. 2015;11(4):278-279. 

  7.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OSHA Technical Manual, TED 1-0.15A, Sec VI: Chapter 2. Controlling occupational exposure to hazardous drugs [Internet].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1999[cited 2015 November 4]. Available from: https://www.osha.gov/dts/osta/otm/otm_vi/otm_vi_2.html. 

  8. Wick C, Slawson MH, Jorgenson JA, Tyler LS. Using a closed-system protective device to reduce personnel exposure to antineoplastic ag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2003;60(22):2314-2320. 

  9.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alert: Preventing occupational exposures to antineoplastic and other hazardous drugs in healthcare settings [Internet]. Atlant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4[cited 2015 November 4]. Available from: http://www.cdc.gov/niosh/docs/2004-165/pdfs/2004-165.pdf. 

  10. Lawson CC, Rocheleau CM, Whelan EA, Lividoti Hibert EN, Grajewski B, Spiegelman D, et al. Occupational exposures among nurses and risk of spontaneous abortion.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2;206(4):327.e1-8. http://dx.doi.org/10.1016/j.ajog.2011.12.030 

  11. Spence Laschinger HK, Leiter MP. The impa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s on patient safety outcomes: The mediating role of burnout/engagemen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36(5):259-267. 

  12. Teng CI, Chang SS, Hsu KH. Emotional stability of nurses: Impact on patient safet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 65(10):2088-209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072.x 

  13.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Guidelin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Ver 2.0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cited 2015 November 4]. Available from: http://www.koiha.kr/member/kr/board/establish/establish_BoardList.do. 

  14. Korean Oncology Nursing Society. Guidelines for practice in oncology nurs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08;8(2):178-90. 

  15.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Health management guidelines for chemical exposure of medical workers [Internet]. Incheo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3[cited 2015 November 4]. Available from: http://www.kosha.or.kr/www/boardView.do?contentId352585&menuId4828&boardTypeA4. 

  16. Moon AR. Nurses knowledge and compliance on guideline for safe handling of cytotoxic drugs and its associated factor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0. p. 1-44. 

  17. Kim BK, Lee SL, Youn JH, Kim SM, Kim MH. Nurses' knowledge, compliance and exposure experiences with cytotoxic drugs in a university hospital. Global Health & Nursing. 2016; 6(1):11-19. 

  18. Kim SJ. A study on nurse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guidelines for safe handling of antineoplastic drugs and on connections between physical symptoms and anxiety due to occupational exposure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5. p. 1-69. 

  19. Park JS. Clinical nurses' level of compliance and related factors with work practice guidelines for personal dealing with cytotoxic drugs [master's thesis]. Daejeon: Deajeon University; 2003. p. 1-54. 

  20. Kim MR. A study for activities to improve ability to perform intravenous injection chemotheraphy medication safety management of nurses-Using 6 sigma techniqu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2;10(11):467-475. 

  21. Hong SY, Cho EJ, Yoo YS. Effects of education for safe handling of cytotoxic drugs on knowledge and practice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2006;6(1):47-53. 

  22. Mohsen MM, Fareed ME. Chemotherapy safety protocol for oncology nurses: It's effect on their protective measures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Health, Biomedical, Bioengineering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2013;7(9):29-537. 

  23. Keat CH, Sooaid NS, Yun CY, Sriraman M. Improving safety-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nurses handling cytotoxic anticancer drug: Pharmacists' experience in a general hospital, Malaysia.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13;14(1):69-73. http://dx.doi.org/10.7314/APJCP.2013.14.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