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과 환자의 섭취량/배설량 측정법 비교 연구
Comparison between Fluid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 Methods of the Patients Hospitalized in Medical Unit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2 no.1, 2016년, pp.20 - 27  

함경희 (세브란스병원) ,  윤혜영 (세브란스병원) ,  박소영 (세브란스병원) ,  김은성 (세브란스병원) ,  박근애 (세브란스병원) ,  조세현 (세브란스병원) ,  김민지 (세브란스병원) ,  추성혜 (세브란스병원) ,  김정연 (세브란스병원) ,  이재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이향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luid intake and output (I&O) measurement methods in order to figure out more effective and easier method for medical patients Methods: 71 hospitalized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liquid only (LO)" method, all amount of water was sum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섭취량/배설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면[5,7,9,15-17,23],섭취량/배설량과 체중과의 상관관계나 섭취량에 따른 관련 변수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보다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수분 섭취량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고, 대상자가 특정 질환자로 국한되어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적이었으며 식기의 무게 및 음식물의 섭취량/배설량을 모두 연구자가 직접 계측하는 등[12,13] 실제 임상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내과계 질환자로 대상자를 확대하였고 동일 대상자에게 섭취량/배설량을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을 비교함으로써, 1회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시행되는 환자/보호자의 자가 기입 방식으로 진행함으로써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섭취량/배설량 측정과 관련한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체중뿐 아니라 체내 수분량과의 상관관계까지 비교하여, 섭취량 측정 방법을 구축하는데 있어 객관적인 근거를 더했다고 할 수 있다.
  • 그러나 본 연구는 내과계 질환자로 대상자를 확대하였고 동일 대상자에게 섭취량/배설량을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을 비교함으로써, 1회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시행되는 환자/보호자의 자가 기입 방식으로 진행함으로써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섭취량/배설량 측정과 관련한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체중뿐 아니라 체내 수분량과의 상관관계까지 비교하여, 섭취량 측정 방법을 구축하는데 있어 객관적인 근거를 더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내과계 질환으로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액체 방법과 고체액체 방법을 사용하여 3일 동안의 평균 섭취량과 배설량의 일치도를 비교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의 차이와 체중 및 수분량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내과적 질환으로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고형식을 제외한 액체형태의 식품 내 수분 함량만을 수분 섭취량으로 측정하는 방법과 고형식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식품내 수분 함량을 수분 섭취량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배설량과 일치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각각의 방법으로 측정된 섭취량/배설량의 차이와 체중 변화 및 체내 수분량 변화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여 보다 간편한 방법인 액체 형태의 식품 섭취량만을 수분 섭취량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타당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적 질환으로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고형식을 제외한 액체형태의 식품내 수분 함량만을 수분 섭취량으로 측정하는 방법(액체 방법)과 고형식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식품 내 수분함량을 수분 섭취량으로 측정하는 방법(고체액체 방법)을 비교하여 배설량과 일치하는 정도, 체중 및 체내 수분량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과 환자로 그 대상자를 확대하여, 간편하면서도 환자 보호자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액체 형태의 음식내 수분량만을 수분 섭취량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적 지표인 체중 및 체성분 분석기(Inbody)로 측정한 체내 수분량과의 상관관계 파악 및 섭취량과 배설량사이의 일치도 확인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질적으로 향상된 간호를 제공하여 간호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액 균형은 어느면에서 중요한가 ? 인체 내 체액 균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수분 균형에 대한 정확한 사정은 매우 중요하다[1]. 특히 수분은 순환기능, 생화학적 반응, 물질대사, 세포질을 통한 기질의 이동, 온도조절 등의 과정에 중간 매체로 작용하며 이러한 수분의 교환이나 균형은 폐, 피부, 신장으로부터의 수분 손실, 음식이나 수분의 섭취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정확한 수분 상태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수분의 역할은 ? 인체 내 체액 균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수분 균형에 대한 정확한 사정은 매우 중요하다[1]. 특히 수분은 순환기능, 생화학적 반응, 물질대사, 세포질을 통한 기질의 이동, 온도조절 등의 과정에 중간 매체로 작용하며 이러한 수분의 교환이나 균형은 폐, 피부, 신장으로부터의 수분 손실, 음식이나 수분의 섭취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정확한 수분 상태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상인의 경우 신체의 항상성 유지기능에 의해 수분 섭취와 배설 사이에 균형을 이루게 되지만,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질병이나 검사 전 금식과 같은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수분 불균형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간호사는 섭취 및 배설량을 정확히 사정하여 신체 수분 결핍 또는 과잉 증상을 확인해야 한다[2].
섭취량/배설량 측정법이 정확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 그러나 현재 병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섭취량/배설량 측정법은 환자의 자가 기입방식에 의존하여 그 타당도와 정확성이 불분명하다[4]. 이는 환자와 보호자의 섭취량/배설량 측정에 관한 인식 및 지식 부족, 잦은 보호자 교체, 소변량 측정 및 기록의 번거로움 등[3,5,6]으로 인해 측정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되며, 간호사 측면에서는 같은 병원에서조차 부서마다 측정 방법의 차이가 있고[7], 교대근무로 인한 중복측정의 위험성이 높아 기록의 오차가 많기 때문이다[1]. 또한 임상에서 이를 수행하는 간호사들도 현재 자신들이 수행하고 있는 측정 방법에 대해서 자신감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8], 환자의 기록을 계량화하는 작업이 간호사의 업무를 가중시킨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ang NY. Nurses' perception and accomplishment of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 department of nursing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4. p. 1-67. 

  2. Timby BK. Fundamental nursing skills and concepts. 9th ed. Kim KS, Park YL, Yu SJ, Jang OJ, Choi JA, Choi HJ, et al. translator.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Wilkins; 2008. 

  3. Alexander L, Allen D. Establishing an evidence-based inpatient medical oncology fluid balance measurement policy.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1;15(1):23-25. http://dx.doi.org/10.1188/11.cjon.23-25 

  4. Wise LC, Mersch J, Racioppi J, Crosier J, Thompson C. Evaluating the reliability and utility of cumulative intake and output.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0;14(3):37-42. http://dx.doi.org/10.1097/00001786-200004000-00005 

  5. Meiner SE. Fluid balance documentation: A case study of daily weight and intake/output omissions. Geriatric Nursing. 2002;23(1):46-47. 

  6. Yang YH, Choi-Kwon S, Kim EK, Sung IS. A study of the fluid balance of the patients on soft die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6;26(3):688-696. 

  7. Lee SJ, Song WS, Yoon SO. Correlation between the method of measurement of intake, output and the weight change-Lung resection patients. Paper presented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Nursing Conference; 2004 September 23;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8. Choi-Kwon S, Yang YH, Jung Y. A study on fluid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5;25(1):88-98. 

  9. Eastwood GM, Nsg GD.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recorded fluid balance to approximate body weight change in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Heart & Lung. 2006;35(1):27-33. http://dx.doi.org/10.1016/j.hrtlng.2005.06.001 

  10. Tang VC, Lee EW. Fluid balance chart: do we understand it?. Clinical Risk. 2010;16(1):10-13. http://dx.doi.org/10.1258/cr.2009.090005 

  11. Lee KY, Kim DW, Kim SH, Lee SH, Lee SA, Jung MS, et al. Human physiology. Seoul: Hyunmunsa; 2009. p. 1-485. 

  12. Lee CK, Kim YK, Seo MH, Lee KM, Lee JE. A study on fluid intake measurem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5):567-573. http://dx.doi.org/10.7475/kjan.2013.25.5.567 

  13. Lee JH, Park HJ, Kim JH, Suh EY. Measuring fluid balance in patients with cancers: Comparison between cumulative intake and output records and body weight change.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11;11(3):247-253. http://dx.doi.org/10.5388/jkon.2011.11.3.247 

  14. Potter PA, Perry AG. Fundamentral of nursing. 7th ed. Byun YS, Kang JH, Kwon YS, Kang JH, Park HS, Kim SH, et al. translator. St. Louis: Mosby; 2008. 

  15. Kim H, Lee YW, Lee JS, Lee JY, Choo SS, Lee BG. Relationship between intake and output balance and body weight change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2):168-176. 

  16. Mank A, Semin-Goossens A, Lelie JV, Bakker P, Vos R. Monitoring hyperhydration during high-dose chemotherapy: body weight or fluid balance?. Acta Haemaologica. 2003;109(4):163-168. http://dx.doi.org/10.1159/000070964 

  17. Schneider AG, Baldwin I, Freitaq E, Glassford N, Bellomo R. Estimation of fluid status chang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Fluid balance chart or electronic bed weight?. Journal of Critical Care. 2012;27(6):745. e7-745. e12. http://dx.doi.org/10.1016/j.jcrc.2011.12.017 

  18. Daffurn K, Hillman KM, Bauman A, Lum M, Crispin C, Ince L. Fluid balance charts: do they mearsure up?. British Journal of Nursing. 1994;3(16):816-820. 

  19. Chae BS, Kim ES. Nutrition Dictionary. Seoul: Academy Book; 1998. 

  20. Bonett DG. Sample size requirements for estimating intraclass correlations with desired precision. Statistics in Medicine. 2002;21(9):1331-1335. http://dx.doi.org/10.1002/sim.1108 

  21.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Food Composition Table [Internet]. WanJu;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1. Available from: http://koreanfood.rda.go.kr/kfi/fct/fctFoodSrch/list. 

  22. Perren A, Markmann M, Merlani G, Marone C, Merlani P. Fluid balance in critically ill patients: Should we really rely on it?. Minerva Anestesiologica. 2011;77(8):802-811. 

  23. Schneider AG, Thorpe C, Dellbridge K, Matalanis G, Bellomo R. Electronic bed weighing vs daily fluid balance changes after cardiac surgery. Journal of Critical Care. 2013;28(6):1113. e1-1113. e5. http://dx.doi.org/10.1016/j.jcrc.2013.07.0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