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계 간호사의 신경학적 검진 수행정도와 교육요구도에 대한 조사연구
Use of Neurologic Assessment Performance and Education Needs of Neurologic Ward Nurse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2 no.1, 2016년, pp.46 - 55  

김정희 (서울아산병원) ,  최은미 (강남세브란스병원) ,  고영미 (서울아산병원) ,  박희라 (경희의료원) ,  김윤경 (삼성서울병원) ,  구종모 (이대목동병원) ,  박주연 (세브란스병원) ,  성선숙 (서울성모병원) ,  권미희 (중앙대병원) ,  윤연숙 (아주대학교병원) ,  박윤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performance and education needs related to neurologic assessment by neurologic ward nurs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Participants, 297 neurologic ward nurses working in ten major hospitals in Seou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 상급종합병원의 신경외과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신경학적 검진 수행 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실무에서 신경학적 검진이 수행되는 정도는 전체적인 평균 평점이 3.
  • 본 연구는 신경외과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신경학적 검진에 대한 수행 정도와 교육 요구도 및 신경학적 검진 실무 현황을 조사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외과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 실무의 필수 부분인 신경학적 검진에 대한 수행 정도와 교육 요구도 및 신경학적 검진 실무 현황을 파악하여 신경학적 검진의 지식과 사정 기술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종합병원에서의 신경학적 검진의 수행 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 임상에서 표준화된 신경학적 검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 사정이란 무엇인가? 건강 사정은 간호사의 자율적인 업무이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접근방법으로, 간호의 전문화와 과학화를 가져오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유용하며, 전문직 간호 실무 표준의 일환이다[1]. 그리고 건강 사정 및 신체 검진 기술을 수행하면 환자 관리 계획을 세우고 환자 요구에 근거한 간호 실무로 발전하게 되어 간호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신경계의 구조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신경계는 특수하게 분화된 세포 집단들이 인간의 내외적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며 살아가기 위해 자극에 능동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다. 위치에 따라 신경계의 구조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분되고,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말초신경계는 뇌 신경, 척수신경, 자율신경계를 포함하여 구별되어있다. 이러한 신경계에 문제가 있는 환자 간호에서 정확하고 포괄적인 신경학적 사정은 매우 중요하다[3].
신경학적 사정 도구들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Canadian Neurological Scale (CNS)[6], Hunt andHess scale[7],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NIHSS)[8], The Full Outline of Unresponsiveness (FOUR)[9]가 있다. 이 도구들은 평점 척도화 되어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특정 질환의 평가에 사용하거나 뇌 신경 기능의 평가는 제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Hunt and Hess scale은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초기 평가도구며[7], CNS, NIHSS는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평가로 대뇌 피질 기능 평가 위주로 되어 있어 사지의 근력 등급을 평가한다거나 뇌 신경 기능 평가에는 한계가 있다[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Yamauchi T. Correlation between work experience and physical assessment in Japan.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01;3(4):213-224. 

  2. Coombs MA, Moorse SE. Physical assessment skills: a developing dimension of clinical nursing practic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2;Aug;18(4):200-210. http://dx.doi.org/10.1016/S0964339702000447 

  3. Neurosurgery. 3rd edition. Seoul: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05. p. 17-40. 

  4. Sappenfield JW, Martz DG Jr. Patients with disease of brain, cerebral vasculature, and spine. The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2013;97(16):993-1013. http://dx.doi.org/10.1016/j.mcna.2013.05.007 

  5. Teasdale G, Jennett B. Assessment of coma and impaired consciousness. The Lancet. 1974;304(7872):81-84. 

  6. Crosby L, Parsons LC. Clinical neurologic assessment tool: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index neurologic status. Heart & Lung. 1989;Mar;18(2):121-129. 

  7. Hunt WE, Hess RM. Surgical risk as related to time of intervention in the repair of intracranial aneurysms. Journal of Neurosurgery. 1968;28(1):14-20. 

  8. Brott T, Adams HP Jr, Olinger CP, Marler JR, Barsan WG, Biller J, et al. Measurements of acute cerebral infarction: A clinical examination scale. Stoke. 1989;20(7):864-870. 

  9. Akavipat P. Endorsement of the FOUR score for consciousness assessment in neurosurgical patients. Neurologia medico-chirurgica(Tokyo). 2009;49(12):565-571. 

  10. Holdgate A, Ching N, Angonese L. Variability in agreement between physicians and nurses when measuring the Glasgow Coma Scal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limits its clinical usefulness. Emergency Medicine Australasia. 2006;18(4):379-384. http://dx.doi.org/10.1111/j.1742-6723.2006.00867.x 

  11. Lacono LA, Wells C, Mann-Finnerty K. Standardizing neurological assessments. Th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14;46(2):125-132. http://dx.doi.org/10.1097/JNN.0000000000000035 

  12. Kelly CA, Upex A, Bateman DN. Comparison of consciousness level assessment in the poisoned patient using the alert/verbal/painful/unresponsive scale and the Glasgow Coma Scale.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4; 44(2): 108-113. http://dx.doi.org/10.1016/j.annemergmed.2004.03.028 

  13. McNarry AF, Goldhill DR. Simple bedside assessment of level of consciousness: comparison of two simple assessment scales with the Glasgow Coma scale. Anaesthesia. 2004; Jan; 59(1):34-37. 

  14. Lehman CA, Hayes JM, LaCroix M, Owen SV, Nauta HJ.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roblem-focused neurological assessment system. Th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03;35(4):185-192. 

  15. Han JH, Lee GE, An YH, Yoo SH. Effect of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for the applica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NIHSS) as a neurologic assessment tool in a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1):57-68. 

  16. Yoon SS, Bu SH, Park KC, Chang HJ, Kwon Y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trospective NIH Stroke Scale assessment for initial stroke sever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6;24(1):14-20. 

  17. Ahn YM, Sohn M, Lee SM. Evaluation of mental status in high-risk neonates using infants coma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4):561-570. http://dx.doi.org/10.4040/jkan.2010.40.4.561 

  18. Spader HS, Grossberg JA, Haas RA, Soares GM. Fundamentals of the neurologic examination for patients undergoing central nervous system interventional procedures. Seminars in Interventional Radiology. 2013;30(3):240-244. http://dx.doi.org/10.1055/s-0033-1353476 

  19. Colwell CB, Smith J. Determining the use of physical assessment skills in the clinical setting.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85;24(8):333-339. 

  20. Kim SO, Sung MS. A study on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health assessment among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7;19(2):225-236. 

  21. Crimlisk JT, Grande MM. Neurologic assessment skills for the acute medical surgical nurse. Orthopaedic Nursing. 2004;23(1):3-9:quiz 10-1. 

  22. Gocan S. Fisher A. Neurological assessment by nurses using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implementation of best practice guidelines. Canadian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08;30(3):31-42. 

  23. Mattar I, Liaw SY, Chan MF. Nurses' self-confidence and attitudes in using the Glasgow Coma Scale: a primary study. Nursing in Critical Care. 2015;Mar;20(2):98-107. http://dx.doi.org/10.1111/nicc.12077 

  24. Heron R, Davie A, Gillies R, Courtney M.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Glasgow Coma Scale scoring among nurses in sub-specialties of critical care. Australian Critcal Care. 2001;14(3):100-105. 

  25. O'Farrell B, Zou GY. Implementation of the Canadian Neurological Scale on an acute care neuroscience unit: a program evaluation. Th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08;40(4):201-211. 

  26. Mirski MA, Chang CW, Cowan R. Impact of a neuroscience intensive care unit on neurosurgical patient outcomes and cost of care: evidence-based support for an intensivist -directed specialty ICU model of care. Journal of Neurosurgical Anesthesiology. 2001;13(2):83-92. 

  27. West SL. Physical assessment: whose role is it anyway?. Nursing in Critical Care. 2006;11(4):161-167. 

  28. Kim YH, Jung YS, Lee SH, Kim KO, Jeong YN, Jung HR,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learning program for Oncology unit-based core nursing practice-outcomes based cancer patients pain management learning program.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4):231-239. http://dx.doi.org/10.5388/aon.2013.13.4.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