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령별 짠맛 역치, 짠맛 미각판정치와 짜게 먹는 식행동과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s Among Threshold and Assessment for Salty Taste and High-salt Dietary Behavior by Ag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1, 2016년, pp.75 - 83  

지앙린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윤영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rrelation thresholds and assessment for salty taste and high-salt dietary behaviors by age. Methods: A total of 524 subjects including 100 eac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elderly as well as 124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서 노인에 이르는 광범위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미각 역치, 짠맛 미각판정, 짜게 먹는 식행동과의 상관성을 조사함으로써 연령대별 나트륨 저감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각 역치, 짠맛 미각판정, 짜게 먹는 식행동을 연령별로 비교하기 위하여 초등학생, 중학생, 대학생, 노인 각 100명, 성인 124명의 총 524명을 대상으로 감지역치, 인지역치, 짠맛 미각판정치, 짜게 먹는 식행동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각의 기능은? 미각은 주로 구강내의 미뢰를 통하여 느끼는 감각으로 생활에 필요한 음식물을 선택하거나 영양물질을 섭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각은 또한 체액 섭취조절에 관여함으로써 체액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체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어하는 기능도 있다[1].
미각의 역할은? 미각은 주로 구강내의 미뢰를 통하여 느끼는 감각으로 생활에 필요한 음식물을 선택하거나 영양물질을 섭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각은 또한 체액 섭취조절에 관여함으로써 체액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체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어하는 기능도 있다[1].
연령과 짠맛에 대한 미각역치 및 민감도의 상관관계는? 화학 미각검사 결과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모든 미각(단맛, 매운맛, 짠맛, 신맛)에서 더 높은 인지역치를 나타내었고[8], 20대와 40~5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역치(단맛, 쓴맛, 짠맛, 신맛) 결과는 40~50대 여성이 20대 여성에 비해 저농도의 염화나트륨 수용액과 저농도의 설탕 수용액에 대한 초역치 미각강도가 감소되었다[9], 또한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연령별로 네 가지 맛 (단맛, 쓴맛, 짠맛, 신맛)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역치가 증가하였다[9].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짠맛의 역치가 증가하고, 짠맛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짐으로 인해 더 많은 염분을 섭취함으로써 고혈압이나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성인병의 발병이나 악화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10]. Kim 등[11]의 연구에 의하면 전체 연령군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감지 및 인지 역치가 높아 여성의 미각이 더 예민하였고, 특히 짠맛의 감지역치 및 쓴맛의 인지역치는 여성이 유의하게 더 낮 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JH, Kim JS. Oral Physiology. 3rd ed. Seoul: Shinkwang; 1989. p. 208-231. 

  2. Heft MW, Robinson ME. Age differences in orofacial sensory thresholds. J Dent Res 2010; 89(10): 1102-1105. 

  3. Fukunaga A, Uematsu H, Sugimoto K. Influences of aging on taste perception and oral somatic sensation.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5; 60(1): 109-113. 

  4. Wardwell L, Chapman NK, Brewer MS. Effects of age, gender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on taste acuity. Int J Food Sci Nutr 2009; 60(Supple 6): 84-97. 

  5. Park SG, Kim SH, Kee WC, Choi JK. Changes in electrical taste threshold with age in Korea. J Oral Med Pain 1998; 23(4): 327-341. 

  6. Lee JW, Son HJ, Shin SH, Rhyu MR, Kim JY, Ye MK. Differences in taste thresholds according to sex and age groups in Korean. Korean J Otorhinoaryngol-Head Neck Surg 2014; 57(10): 692-697. 

  7. Lucas L, Riddell L, Liem G, Whitelock S, Keast R. The influence of sodium on liking and consumption of salty food. J Food Sci 2011; 76(1): S72-S76. 

  8. Kim SH, Jang SY, Choi JK. Taste preference and whole-mouth taste threshold in a Korean population in the age of the 3rd decade. Korean J Oral Med 2003; 28(4): 413-426. 

  9. Yoon SC, Hur YK, Choi JK.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for salt, sucrose, citric acid, and quinine HCl in elderly Korean women. Korean J Oral Med 2007; 32(4): 383-396. 

  10. Lee JW, Shin SH, Rhyu MR, Kim JY, Ye MK. The effect of aging on taste thresholds in Korea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3; 56(5): 286-290. 

  11. Kim SH, Hur YK, Choi JK.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for sucrose, NaCl, citric acid, and quinine HCl in young Koreans and the influence of sex, taste preference, and smoking. Korean J Oral Med 2005; 30(2): 149-162. 

  12. Shin EK, Lee HJ, Ahn MY, Lee YK.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alty taste assessment tool. Korean J Nutr 2008; 41(2): 184-191. 

  13. Yoon JS, Lee YK, Kwon JS, Kim HK, Ahn MS.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model for reducing sodium intake and evaluation II [internet]. Development application of salty taste assessment kit. Report of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cited 2011 Nov 11]. Available from: http://report.ndsl.kr/repDetail.do?cnTRKO201200007080. 

  14. Lee YK, Shin EK, Lee HJ. Salty taste assessment tool. 2010 Patent 10-2007-0116957. 

  15. Lee YK, Jung YY, Jiang L. Development of computer program for salty taste assessment C-2012-010584 [internet]. 2012 [cited 2012 May 31]. Available from: http://www.saltdown.com. 

  16.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for Standardization. Sensory analysis - Methodology - Method of investigating sensitivity of taste. 2nd ed. Geneva: 1991. 

  17. Kim HH, Shin EK, Lee HJ, Chun BY, Ahn MY, Lee YK.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salt reduction program for employees. Korean J Nutr 2009; 42(4): 350-357. 

  18. Jiang L, Jung YY, Kim HS, Nam GS, Yun JS, Kim JW et al. A comparison of salty taste assessment,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among adult and senior women by region and by age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2): 109-119. 

  19. Jiang L, Lee YK. Comparison of salty taste assessment and highsalt dietary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n Daegu, South Korea and university students in Shenyang, China.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6): 555-564. 

  20. Jung YY, Shin EK, Lee HJ, Lee NH, Chun BY, Ann MY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sodium redu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46-755. 

  21. Kim HH, Jung YY, Lee YK. A Comparison of salty taste assessments and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behaviors associated with high-salt diets in four region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38-48. 

  22. Verma P, Mittal S, Ghildiyal A, Chaudhary L, Mahajan KK. Salt preference: age and sex related variability. Indian J Physiol Pharmacol 2007; 51(1): 91-95. 

  23. Frye CA, Demolar GL. Menstrual cycle and sex differences influence salt preference. Physiol Behav 1994; 55(1): 193-197. 

  24. Suliburska J, Duda G, Pupek-Musialik D. Effect of tobacco smoking on taste sensitivity in adults. Przegl Lek 2004; 61(10): 1174-1176. 

  25. Ye MK, Han BD, Lee JW, Rhyu MR, Hyun DS, Shin SH. Relationship between taste genotype and smoking and alcohol intake.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 54(12): 847-852. 

  26. Kim SH, Hur YK, Choi JK.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for sucrose, NaCl, citric acid, and quinine HCl in young Koreans and the influence of sex, taste preference, and smoking. J Korean Acad Oral Med 2005; 30(2): 149-162. 

  27. Kim HH, Jung YY, Lee YK. A Comparison of salty taste assessments and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behaviors associated with high-salt diets in four region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38-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