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젊은 여성에서 짠맛 역치 및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나트륨 섭취 간의 상호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resholds and self-assessed preference for saltiness and sodium intake in young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2, 2016년, pp.88 - 98  

심유진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양윤정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양윤경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대 초반 한국 여성의 짠맛 역치 및 선호도를 측정하여 음식섭취빈도법을 통해 추정한 나트륨 섭취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관련되어 있는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과 나트륨 섭취 기여 음식을 조사하였다.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는 음식섭취빈도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나트륨 섭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나트륨 증가 식행동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나트륨 감소 식행동과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중에는 식탁에서 소금과 양념간장의 사용, 외식과 배달음식의 빈도, 국, 찌개, 국수류의 국물 섭취, 레토르트나 가공 식품의 이용, 생채소의 섭취, 싱거운 맛에 대한 수용태도 등의 항목이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나트륨 섭취 기여음식 중에는 라면, 순두부찌개, 총각김치 및 김치를 이용한 음식 등이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어, 짠맛 선호도가 이들 식행동 및 음식을 통해 높은 나트륨 섭취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상과는 달리 짠맛 검출 및 인식 역치는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 나트륨 섭취량, 나트륨 증가 및 감소 식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식품체계가 아닌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한 짠맛 역치보다는 자기 평가된 짠맛 선호도가 개인의 평상시 나트륨 섭취량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더 좋은 지표로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는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과의 연관성으로 인하여 평상시 나트륨 섭취 정도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나트륨 섭취 수준을 평가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recruited 118 women in their early 20'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dium intake and salty taste thresholds and preference. We also examined the association of salty taste preference with sodium-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major dishe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Methods: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대 초반 한국 여성의 짠맛 역치 및 선호도를 측정하여 음식섭취빈도법을 통해 추정한 나트륨 섭취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상관성이 있는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과 나트륨 섭취 기여 음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4,457.
  • 한국인의 짠맛 선호도와 역치에 대한 결과는 나트륨 섭취 감량을 통한 고혈압 예방 정책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나트륨 섭취량의 간접 지표로서 보고되어 온 짠맛 역치 및 선호도와 실제 나트륨 섭취량과의 관련성을 청년기 한국 여성에서 분석하고 이들 지표와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및 나트륨 섭취 기여도가 높은 음식과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영양학회에서 제시한 나트륨 목표 섭취량은 얼마나 되는가? 2 2014년 한국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은 4,103.8 mg/d (2005년 추계 인구 연령표준화)로3 한국영양학회에서 제시한 목표 섭취량 2,000 mg/d의 두 배를 초과하며 충분섭취량 1,500 mg/d 의 세 배에 가까운 수준이었다.4 나트륨 섭취의 감량은 고혈압 환자의 평균 혈압 저하 효과가 있으므로5 인구집단에서는 고혈압 및 심뇌혈관질환의 유병률을 낮출 수 있다.
나트륨 과잉 섭취는 어떠한 결과를 유발하는가? 나트륨의 과잉 섭취는 과체중, 적은 신체활동, 과도한 알코올의 섭취 등과 더불어 고혈압의 주요한 원인이며1,2 고혈압은 유병률이 높은 질환 중 하나로 뇌졸중, 심근경색, 말초혈관질환 등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이다.2 2014년 한국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은 4,103.
한국인이 섭취하는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음식으로 무엇이 있는가? 식사를 통해서 섭취하는 나트륨은 식품 자체에 함유되어 있거나 가공과정에서 첨가되어 섭취자가 스스로 그 양을 조절할 수 없는 (nondiscretionary) 나트륨과, 조리 과정이나 식탁에서 첨가되므로 양을 조절할 수 있는 (discretionary) 나트륨으로 나눌 수 있는데 미국인의 경우 조리 과정이나 식탁에서 첨가하여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은 전체의 1/3 정도에 불과하지만7 한국인에서는 약 8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8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에 기여도가 높은 음식은 김치와 면 및 만두, 국 및 탕, 찌개 및 전골 등으로 총 섭취량의 50%가 넘는 나트륨을 이들 음식으로부터 섭취하고 있는데, 면 및 만두, 국 및 탕, 찌개 및 전골 등 국물음식의 나트륨은 많은 부분이 국물 부분의 섭취로부터 유래한다.9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한국인에서 나트륨 섭취를 효과적으로 감량하기 위해서는 조리 과정과 식탁에서의 나트륨 사용을 줄이고 국물 섭취를 삼가는 식습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조리 담당자와 각 개인의 저염 식생활 태도가 형성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obanian AV, Hill M.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orkshop on sodium and blood pressure: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evidence. Hypertension 2000; 35(4): 858-863. 

  2.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Jr, Jones DW, Materson BJ, Oparil S, Wright JT Jr, Roccella EJ;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Coordinating Committe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2003; 42(6): 1206-1252.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5. Sacks FM, Svetkey LP, Vollmer WM, Appel LJ, Bray GA, Harsha D, Obarzanek E, Conlin PR, Miller ER 3rd, Simons-Morton DG, Karanja N, Lin PH, Aickin M, Most-Windhauser MM, Moore TJ, Proschan MA, Cutler JA; DASH-Sodium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Effects on blood pressure of reduced dietary sodium and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N Engl J Med 2001; 344(1): 3-10. 

  6. Bibbins-Domingo K, Chertow GM, Coxson PG, Moran A, Lightwood JM, Pletcher MJ, Goldman L. Projected effect of dietary salt reductions on future cardiovascular disease. N Engl J Med 2010; 362(7): 590-599. 

  7. Fregly MJ. Estimates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nn Intern Med 1983; 98(5 Pt 2): 792-799. 

  8. Kim KS, Paik HY. A comparative study on optimum gustation of salt and sodium intake in young and middle-aged Korean women. Korean J Nutr 1992; 25(1): 32-41. 

  9.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10. Manley KJ, Haryono RY, Keast RS. Taste changes and saliva composi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Ren Soc Australas J 2012; 8(2): 56-60. 

  11. Kusaba T, Mori Y, Masami O, Hiroko N, Adachi T, Sugishita C, Sonomura K, Kimura T, Kishimoto N, Nakagawa H, Okigaki M, Hatta T, Matsubara H. Sodium restriction improves the gustatory threshold for salty tast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Kidney Int 2009; 76(6): 638-643. 

  12. Michikawa T, Nishiwaki Y, Okamura T, Asakura K, Nakano M, Takebayashi T. The taste of salt measured by a simple test and blood pressure in Japanese women and men. Hypertens Res 2009; 32(5): 399-403. 

  13. McMahon EJ, Campbell KL, Bauer JD. Taste perception in kidney disease and relationship to dietary sodium intake. Appetite 2014; 83: 236-241. 

  14. Takachi R, Ishihara J, Iwasaki M, Ishii Y, Tsugane S. Self-reported taste preference can be a proxy for daily sodium intake in middleaged Japanese adults. J Acad Nutr Diet 2014; 114(5): 781-787. 

  15. Lee H, Cho HJ, Bae E, Kim YC, Kim S, Chin HJ. Not salt taste perception but self-reported salt eating habit predicts actual salt intake. J Korean Med Sci 2014; 29 Suppl 2: S91-S96. 

  16. Pangborn RM, Pecore SD. Taste perception of sodium chloride in relation to dietary intake of salt. Am J Clin Nutr 1982; 35(3): 510-520. 

  17. Teow BH, Di Nicolantonio R, Morgan TO. Sodium chloride preference and recognition threshold in normotensive subjects on high and low salt diet. Clin Exp Hypertens A 1985-1986; 7(12): 1681-1695. 

  18. Drewnowski A, Henderson SA, Driscoll A, Rolls BJ. Salt taste perceptions and preferences are unrelated to sodium consumption in healthy older adults. J Am Diet Assoc 1996; 96(5): 471-474. 

  19.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Jr, Jones DW, Materson BJ, Oparil S, Wright JT Jr, Roccella EJ;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Coordinating Committee.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JAMA 2003; 289(19): 2560-2571. 

  20. Ahn EJ, Noh HY, Chung J, Paik HY. The effect of zinc status on salty taste acuity, salty taste preference,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in Korean young adults. Korean J Nutr 2010; 43(2): 132-140. 

  21. Kim SH, Jang SY, Choi JK. Taste preference and whole-mouth taste threshold in a Korean population in the age of the 3rd decade. J Korean Acad Oral Med 2003; 28(4): 413-426. 

  22. Shin EK, Lee HJ, Ahn MY, Lee YK.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alty taste assessment tool. Korean J Nutr 2008; 41(2): 184-191. 

  23. Chung EJ, Ryu HJ, Shim E. Major dishes contributing absolute and between-person sodium intake variations in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6; 45(3): 409-419. 

  24. Son SM, Park YS, Lim WJ, Kim SB, Jeong Y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hort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6): 838-853. 

  25.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1-12. 

  26. He J, Ogden LG, Vupputuri S, Bazzano LA, Loria C, Whelton PK. Dietary sodium intake and subsequen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overweight adults. JAMA 1999; 282(21): 2027-2034. 

  27. Shim E, Ryu HJ, Hwang J, Kim SY, Chung EJ. Dietary sodium intake in young Korean adults and its relationship with eating frequency and taste preference. Nutr Res Pract 2013; 7(3): 192-198. 

  28. Anderson CA, Appel LJ, Okuda N, Brown IJ, Chan Q, Zhao L, Ueshima H, Kesteloot H, Miura K, Curb JD, Yoshita K, Elliott P, Yamamoto ME, Stamler J. Dietary sources of sodium in China,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women and men aged 40 to 59 years: the INTERMAP study. J Am Diet Assoc 2010; 110(5): 736-745. 

  29. Kim GH, Lee HM. Frequent consumption of certain fast foods may be associated with an enhanced preference for salt taste. J Hum Nutr Diet 2009; 22(5): 475-480. 

  30. Kim HJ, Paik HY, Lee SY, Shim JE, Kim YS. Salt usage behaviors are related to urinary sodium excretion in normotensive Korean adults. Asia Pac J Clin Nutr 2007; 16(1): 122-128. 

  31. Kim MH, Kim H, Lee WK, Kim SJ, Yeon JY.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using processed food among 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and self-boarding in G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4): 372-385. 

  32. Kim MK, Hur YK, Choi JK. Interrater and intrater reliability of 'sip-and swallow'method for measurement of whole-mouth taste threshold. J Korean Acad Oral Med 2004; 29(2): 143-151. 

  33. Leshem M. Biobehavior of the human love of salt. Neurosci Biobehav Rev 2009; 33(1): 1-17. 

  34. Warren RP, Pfaffmann C. Early experience and taste aversion. J Comp Physiol Psychol 1959; 52(3): 263-271. 

  35. Li Q. A novel Likert scale based on fuzzy sets theory. Expert Syst Appl 2013; 40(5): 1609-1618. 

  36. Cho YY. Practice guidelines for reducing salt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3): 394-400. 

  37. Carstens E, Carstens MI, Dessirier JM, O’Mahony M, Simons CT, Sudo M, Sudo S. It hurts so good: oral irritation by spices and carbonated drinks and the underlying neural mechanisms. Food Qual Prefer 2002; 13(7-8): 431-4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