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주 시민 소양 증진을 위한 과학 교실?: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논의
Science Classroom for Promotion of Democratic Civic Literacy?: Exploratory Discussions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1, 2016년, pp.135 - 145  

정용재 (공주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민주적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과학 수업을 통해 민주 시민 소양을 기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 교실 혹은 과학 수업에서 민주 시민 소양을 기르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탐색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하였다. 총 96명의 초등 교사 응답을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들은 민주적 과학 탐구의 특징으로 '의사소통과 협력에 바탕을 둔 과학 탐구', '자율성과 공정성에 바탕을 둔 과학 탐구', '인류와 사회의 이익에 기여하는 과학 탐구'를 들었다. 또, '의사소통과 협력에 바탕을 둔 활동/탐구'를 과학 수업을 통해 민주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끝으로 이를 바탕으로 민주적 탐구와 민주 시민 소양 증진과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teachers' views on the democratic scientific inquiry and the methods for promo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in science classroom, and to conduct exploratory discussions about science classroom for promo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based on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기존의 교육과정의 비해 어떤 변화를 포함하고 있는가? 2015년 9월,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1) MOE, 2015a).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핵심역량 함양의 강조, 문⋅이과 통합형 교과 신설, Big Idea 중심의 통합형 단원 제시,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포함하는 내용체계표의 체계적 제시 등 기존의 교육과정에 비해 적지 않은 변화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적지 않은 변화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의 목표에서도 나타난다.
초등 교사들은 민주적 과학 탐구가 어떤 과학 탐구의 형태로 존재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가?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결론적으로, 초등 교사들은 민주적 과학 탐구가 의사소통과 협력에 바탕을 둔 과학 탐구, 자율성과 공정성에 바탕을 둔 과학 탐구, 인류와 사회의 이익에 기여하는 과학 탐구의 형태로 존재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과학 수업을 통해 민주시민으로서의 소양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의사소통과 협력에 바탕을 둔 활동/탐구를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과학'의 목표는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가? 자연 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과학의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 능력의 함양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기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a).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7), 665-701. 

  2. Callon, M. (1986). Some elements of translation: Domestication of the scallops and the fisherman of St. Brieuc's Bay. J. Law (ed.) Power, action and belief: A new sociology of knowledge? Sociological Review Monography 32. London: Routledge. 

  3. Cheong, H. (2015). The confu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ocial studies: Focused on after 2000th yea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2), 389-408. 

  4. Cho, H. -H. (1995). The meaning of STS and the features of ST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5(3), 310-315. 

  5. Cho, H. -H., & Chung, Y. -L. (1995). Effects of STS program on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5(3), 371-378. 

  6. Choi, K. -H., Cho, H. -H., Kim, D. -S., & Kim, S. W. (2000). The effects an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the discussion in science classes of the secondary school: Focussing on the concepts of force and mo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4), 510-518. 

  7. Crawford, B. A., Krajcik, J. S., & Marx, R. W. (1999). Elements of a community of learners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3(6), 701-723. 

  8. Driver, R. (1983). The pupils as scientist?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9. Hogben, L. (1942). Biological instruction and training for citizenship, The School Science Review, 23, 263-281. 

  10. Hong, J. -L. (2001). The effects of decision-making centered-STS(Science-Technology-Society) classes on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s science perception about S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1(2), 422-432. 

  11. Jang, H. -R., & Chung, Y. -L. (2009). An analysi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ma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2), 253-266. 

  12. Joung, Y. J., & Song, J. (2002). Investigation students' and teachers' views on ‘the necessity of learning science' by the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806-819. 

  13. Joung, Y. J. (2014).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implications of ‘Community of Inquiry' for science education: Toward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3), 303-319. 

  14. Kang, S. M., Kwak, K. H., & Nam, J. H. (2006). The effects of argumentation-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on cognitive development,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science-related attitude, and argument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3), 450-461. 

  15. Kim, H. -S. (2011). Technoscience and democracy from the perspective of ANT. Journal of Korean Social Trend and Perspective, 83, 11-46. 

  16. Lee, W. -B. (2005). The meaning and suggestion of citizenship as a goal of social studies according to a period of curriculum revision. Social Studies Education, 44(4), 83-105. 

  17. McComas, W. F., Clough, M. P., & Almazroa, H. (1998).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 3-39).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8. Ministry of Education (1955). The 1s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19. Ministry of Education (1987). The 5th Middle School Curriculum. 

  20. Ministry of Education (1992). The 6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21. Ministry of Education (1997). The 7th Science Curriculum. 

  22.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23. Ministry of Education (2011).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24. Ministry of Education (2015a).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25. Ministry of Education (2015b).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26. Moss, D. M., Abrams, M. D., & Kull, J. A. (1998). Can we be scientists, too?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fic research from a project-bas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7(2), 149-161. 

  27. Peterson, D. (1992). Life in a crowded place: Making a learning community. Heinmann: Portsmouth. 

  28. Shin, Y. (2015). The change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Proceeding of the 2015 General Conference of Science Educators (pp. 23-45).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Education Societies. 

  29. Song, J. (2001). British movement of ‘Science and Citizenship' during the 1930-50s and L. Hogben's Science for the Citize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2), 385-399. 

  30.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