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Evaluation Criteria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1, 2016년, pp.49 - 69  

이응봉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술도서관 서비스 품질에 대한 국내 외의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지난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실시된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와 '전문대학도서관 시범 평가'를 진단하고, 2015년 3월 27일 공포(법률 제13222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과 2015년 9월 28일 제정(대통령령 제26547호)된 "대학도서관 진흥법시행령"의 시행에 따른 향후 '대학도서관 평가'에 대해 전망하였다. 그리고 국내 외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의 사례 분석을 통해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개발에 있어서 참고하거나 적용해야 할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on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evaluation criteria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First, this study review recent academic research trends on service quality evaluation criteria for academic libraries. Second, This paper diagnosed result of 'the pilot eval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국내·외의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지난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실시된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와 ‘전문대학도서관 시범 평가’를 진단하고, 2015년 3월 27일 공포(법률 제 13222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과 2015년 9월 28일 제정(대통령령 제26547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의 시행에 따른 향후 ‘대학도서관 평가’에 대해 전망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외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의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개발에 있어서 참조하거나 적용해야 할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일선 대학도서관에서의 대학도서관 평가에 대한 요구를 받아들여 2010년 9월 1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약 2개월간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진흥의 방안으로 국내 대학의 투자를 유도하여 도서관의 이용 환경을 개선하고, 이용자의 질적 만족도를 제고하며, 대학도서관 간 선의의 경쟁체제를 구축하고, 대학도서관 서비스 운영의 우수 사례를 발굴 하여 전파하기 위해서이다.
  • 심원식과 이은철(2013)은 경영학/마케팅 분야에서 개발된 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인 SERVQUAL을 도서관의 실정에 맞게 적용한 LibQUAL+ 평가 프로그램에 국내 S대학도서관 이 공식 참여한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ibQUAL+ 시행을 위해 영문으로 된 설문지의 번역, 설문 대상자 표본 선정, 설문 버전의 선택 등을 포함한 절차를 설명하고 있으며, 설문의 시행 결과로 입수되는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명 및 응답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한 검토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설문 데이터를 통해 이용자 집단 간, 타기관과의 다양한 비교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그리고 설문 데이터를 통해 이용자 집단 간, 타기관과의 다양한 비교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ibQUAL+ 프로그램은 단순한 설문 도구가 아닌 총체적인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시스템으로 LibQUAL+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국제화된 평가를 시행할 수 있으며, 설문도구로서 LibQUAL+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LibQUAL+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국내 대학도서관은 새로운 평가 및 서비스 개선 노력을 경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하였다. 이와 함께 LibQUAL+ 프로그램의 도입과 관련해서는 개별적인 참여 대신 다수의 도서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서관을 중심으로 학습공동체를 구성해서 워크숍, 사례발표 등을 통해한 단계 높아진 평가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국내·외의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지난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실시된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와 ‘전문대학도서관 시범 평가’를 진단하고, 2015년 3월 27일 공포(법률 제 13222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과 2015년 9월 28일 제정(대통령령 제26547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의 시행에 따른 향후 ‘대학도서관 평가’에 대해 전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에 관하여 국내․외의 관련 선행 논문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난 2010년에 시행된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와 2011년에 시행된 ‘전문대학도서관 시범 평가’를 전반적으로 진단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본 장에서는 지난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실시된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와 ‘전문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에 관하여 살펴보고, 2015년 3월 27일 공포(법률 제 13222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과 2015년 9월 28일 제정(대통령령 제 26547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의 시행에 따른 향후 ‘대학도서관 평가’에 대해 전망하고자 한다.
  • 미국 연구도서관협회(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이하 ARL)는 1999년 ‘New Measures Initiative’라는 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이 프로그램에는 10개의 연구과제가 포함되었는데 그중의 하나가 바로 SERVQUAL에 기반한 도서관 서비스 품질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21세기의 대학도서관이 당면한 서비스의 개발과 제공이라는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Thompson et al.

가설 설정

  • 1998년에 제정된 ISO 11620 초판(ISO 11620:1998)에서는 유효성(effectiveness)과 효율(efficiency), 적절성(relevance)이 결합되어 성과를 창출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대부분 자동화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평가를 위해 인력과 자원 투입이 쉽지 않은 도서관의 현실을 고려하여 자동화 시스템에서 산출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선정하고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제시하였다(O’Farrell 1998).
  •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모델의 특징은 제시된 평가 항목은 1차로 기존의 국내·외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설정된 평가지표와 2차로 심층 면담을 통해 실시한 전문가 의견을 참고하여 수정·보완된 것으로, 최종적으로 전국의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정 요소에 치우쳤던 기존 평가와는 달리 투입된 자원과 산출된 결과에 큰 비중을 두었고 특히, 투입된 자원을 도서관에 주어진 것이 아니라 도서관이 획득한 것이라고 가정하고 평가에 반영하였다. 과정 분야는 도서관의 내부 관점을 반영하나 자원과 결과 분야는 외부로 보이는 것으로 도서관의 대내․외적인 관점을 모두 반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비스의 품질 기준에 대하여 가장 먼저 정립되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서비스의 품질 기준에 대하여 가장 먼저 정립되어야 할 문제는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개념적인 정의와 특성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의는 각 학문의 영역에 따라 다소 관점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식정보의 지식강국화는 우수한 연구인력, 최적의 연구기반 그리고 품질이 보증된 학술연구정보의 3가지 부문이 상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때 가능한데, 이 중 무엇이 가장 중요한 동력인가? 지식정보의 지식강국화는 우수한 연구인력, 최적의 연구기반 그리고 품질이 보증된 학술연구정보의 3가지 부문이 상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때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학술연구 정보는 연구개발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가장 중요한 동력이라 할 수 있다.
서비스는 제품과 구분되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서비스의 품질을 논의하기 전에, 우선 서비스는 제품과 어떠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비스는 제품과 구분되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서비스는 본질적으로 경험이기 때문이다. 서비스는 구매행동과 소비행동이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의 구매는 서비스의 소비와 동시에 이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곽동철, 윤정옥. 2011a.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279-294.(Kwack, Dong-Chul and Yoon, Cheong-Ok. 2011a. "A Research on the Pilot Evaluation of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22(2): 279-294.) 

  2. 곽동철, 윤정옥. 2011b. 대학도서관 평가 지표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309-324.(Kwack, Dong-Chul and Yoon, Cheong-Ok. 2011b.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Indicators for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45(2): 309-324.) 

  3. 김기영 외. 2014a. 대학도서관평가 표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3): 303-334.(Kim, Giyeong et al. 2014a.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Indicators for College& University Libraries'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48(3): 303-334.) 

  4. 김기영 외. 2014b. 대학도서관 통계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성과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3): 191-214.(Kim, Giyeong et al. 2014b. "A Study on Performance and Prediction Factors in College andUniversity Libraries using Statistical Analys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3): 191-214.) 

  5. 김윤실. 2002.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9(3): 161-188.(Kim, Yun-Sil. 2002. "A Study on Evaluating Service Quality in Special Libraries." Journal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245-268.) 

  6. 류주현, 이상복. 2012.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시 소재 민간위탁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271-294.(Ryu, Ju-Hyun and Lee, Sang-Bok. 2012.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Public Libraries by the Use of LibQUAL+: The Case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thatContracting Out to Private Sector."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23(2): 271-294.) 

  7. 심원식, 이은철. 2013. LibQUAL+를 활용한 국내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측정 사례 조사. 정보관리학회지, 30(2): 245-268.(Shim, Wonsik and Lee, Eun-Chul. 2013. "Service Quality Assessment of University Librariesin Korea using LibQUAL+: A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Management, 30(2): 245-268.) 

  8. 유현숙. 2013. 대학도서관 평가지표에 대한 통계적 고찰: 계량지표 평가항목의 상관관계 분석을 사례로. 사대도협회지, 14: 1-26.(Yu, Hyeon-sook. 2013. "Statistical Reviews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Academic Libraries."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14: 1-26.) 

  9. 이명희, 백현주. 2014. 디지털 환경의 전문도서관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평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343-360.(Lee, Myeong-Hee and Baek, Hyun-Ju. 2014. "Evaluation of Specialized Library Service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BIBLIA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1): 343-360.) 

  10. 이유정 외. 2012. 대학도서관 시범평가 분석 및 평가방안 제안. 사대도협회지, 13: 167-193.(Lee, You-jeong et al. "Analysis and Proposal on the Pilot Evaluation of Academic Libraries."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13: 167-193.) 

  11. 이응봉. 2015.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1): 89-111.(Lee, Eung-bong.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ies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of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49(1): 89-111.) 

  12. 이제환. 2004. 디지털도서관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143-172.(Lee, Jae-Whoan. 2004.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Digital Libraries." Journal of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1): 143-172.) 

  13. 최재황, 곽승진, 김정택. 2007. 디지털도서관 서비스의 성과 지표 측정 및 적용: ISO/DIS 11620: 2007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81-102.(Choi, Jae-Hwang, Kwak, Seung-Jin and Kim, Jeong-Taek. 2007. "Application of PerformanceIndicators for Digital Library Service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SO/DIS 11620: 2007."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3): 81-102.) 

  14. 황재영, 이응봉. 2009.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에 관한 고찰: 평가모형 및 측정방법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243-265.(Hwang, Jae-Young and Lee, Eung-bong. 2009. "A Review of Studies on the Service QualityEvaluation of Digital Libraries: On the Basis of Evaluation Models and Measures Methodologies."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2): 243-265.) 

  15. 황재영, 이응봉. 2010a.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과 지표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121-147.(Hwang, Jae-Young and Lee, Eung-bong. 2010a.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MeasurementModel and Index for Digit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ociety, 40(2): 121-147.) 

  16. 황재영, 이응봉. 2010b. DL-SQI 모형을 이용한 디지털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측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1(3): 45-66.(Hwang, Jae-Young and Lee, Eung-Bong. 2010b. "A Study on Service Quality Measurementof Digital Libraries with DL-SQI Mode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1(3): 45-66.) 

  17. 황재영, 이응봉, 김종환. 2007. 디지털도서관의 e-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55-79.(Hwang, Jae-Young, Lee, Eung-Bong and Kim, Jong-Hwan. 2007. "Assessing E-serviceQuality of Digit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41(3): 55-79.) 

  18. Brophy, P. 2001.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Library Services: The Equinox Project." New Review of Academic librarianship, 7(1): 3-17. 

  19. Clarke, Z. 2000. "EQUINOX: Library Performance Measurement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Learning Resources Journal, 16(2): 28-32. 

  20. Crawford, J. 2000. Evalu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2nd ed. London, UK: Asilb. 

  21. Hernon, P. and Whiteman, J. R. 2001. Delivering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 Customer- Based Approach for Libraries. Chicago: ALA. 

  22. ISO. 2014. ISO 11620: 2014,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Library Performance Indicators. 3rd ed. Geneva: ISO. 

  23. O'Farrell, J. 1998. "The ISO 11620 Standard and Library Automated Systems." New Library World, 99(6): 254-259. 

  24. Orr, R. H. 1973. "Measuring the Goodness of Library Services: A General Framework for Considering Quantitative Measures." Journal of Documentation, 29(3): 315-332. 

  25.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 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4): 41-50. 

  26.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 L. 1988. "SERVQUAL: A Multi-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27. Thompson, R. L. et al. 2001. "The Search for New Measures: The ARL LibQUAL+ Project: A Preliminary Report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1(1): 103-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