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환경의 전문도서관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평가
Evaluation of Specialized Library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5 no.1, 2014년, pp.343 - 361  

이명희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백현주 (NICE신용평가(주) 자료실)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평가와 이용자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부출연 연구소 이용자를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로 나누어 '서비스 품질', '공간 품질', '정보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7개의 가설을 가지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 품질'에서 사서의 능력과 자질이, '공간 품질'에서 도서관 홈페이지 공간이, '정보 품질'에서는 정보의 정확성과 유용성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언으로 전문도서관 사서의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전문교육의 필요성, 사서의 헌신성, 자발성, 태도에 대한 소양교육의 필요성,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고품질 정보의 제공, 홈페이지 접근 편리화로 다양한 컨텐츠와 자료검색 지원기능 강화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rs and the service quality of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289 users of 24 government-funded institutes were divided into humanity/social science area and science/technology area for comparison. Using seven hy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에 수행된 전문도서관 대상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는 전통적인 매체에 관한 품질평가 연구가 대부분으로 최근의 디지털 환경을 제대로 반영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기되는 연구문제는 디지털 환경 하에서 전문도서관 이용자들은 전통적인 환경의 전문도서관 서비스와는 다른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지, 그렇다면 어떤 서비스 품질에 만족하는지 등이다. 또한, 전문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만족도가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 이용자들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출연기관 전문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의 변수들이 이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 변수들이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의 이용자 만족도의 차별적인 요인을 파악하여 각 분야의 서비스 품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출연기관 전문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의 변수들이 이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 변수들이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의 이용자 만족도의 차별적인 요인을 파악하여 각 분야의 서비스 품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서의 전문적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첫째, 전문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에 ‘사서에 대한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남에 따라 사서의 전문적 지식, 직무수행 능력, 철저한 서비스 정신 등 전문성 제고를 위해 인적자원에 대한 교육과 투자를 계속해야 한다. 특히 사서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 주제전문사서의 양성과 함께 관종별, 직무별 업무에 대한 이해능력과 전문적 업무에 대한 지속적인 훈련과 재교육이 필요하다.
DigiQUALTM모형이란? DigiQUALTM모형은 국립과학디지털도서관 (National Science Digital Library: NSDL) 의 성과평가를 위해 2003년과 2004년에 걸쳐 ARL과 Texas A&M 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이것은 이용자 인식 관점의 디지털도서관을 대상으로 평가한 서비스 품질 측정도구로서 LibQUAL+TM 모형을 디지털도서관에 맞추어 적용한 것이다. DigiQUALTM은 가장 최근에 개발된 모형으로서, 개인적 중요도 및 성과와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하여 품질을 평가한다(Kyrillidou and Thompson 2007).
SERVQUAL 모형은 누가 개발하였는가? SERVQUAL 모형은 1985년 PZB에 의해 개발된 이후 지금까지 모든 서비스 산업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품질평가 측정모형이다. PZB 는 SERVQUAL의 고안자인 Parasuraman, Zeithaml, Berry 세 사람의 성에 대한 이니셜을 활용하여 명명한 명칭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지혜. 2006. DigiQUAL 모형을 적용한 과학기술분야 디지털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Kang, Ji Hei. 2006.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 Digital Library in the Field of ScienceUsing DigiQUAL. MA. The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2. 강희일, 정용길. 2002. 도서관의 온라인 서비스 품질평가: e-LibQual의 적용. 정보관리학회지, 19(3):237-261.(Kang, Hoe-Il and Yong-Gil Jeong. 2002. "Measuring Library Online Service Quality: An Applicationof E-LibQu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9(3):237-261.) 

  3. 김윤실. 2002.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9(3): 161-188.(Kim, Yun-Sil. 2002. "A Study on Evaluating Service Quality in Special Libraries."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9(3): 161-188.) 

  4. 김정희. 2009.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를 통한 전문도서관 이용자 만족도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Kim, Junghee. 2009. A Study on Special Library's User Satisfaction with the Library ServiceQuality Evaluation. Ph. 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5. 박정아. 2012.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효율성 및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Park, Jung A. 2012.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Efficiency and Quality in SpecialLibraries.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6. 오동근. 2006. 고객만족도서관경영을 위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Oh, Dong-Geun. 2006. Library Management for Customer Satisfaction. Seoul: National Libraryof Korea.) 

  7. 유사라. 2002.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 이용자 정보요구와 이용 행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36(1): 25-40.(Yoo, Sa-Rah. 2002. "User-oriented Evaluation of NDSL Informatio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1): 25-40.) 

  8. 이응봉, 이주현. 2003.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20(3): 129-154.(Lee, Eung-Bong and Ju-Hyurn Lee.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sability EvaluationCriteria in Digital Library Web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20(3): 129-154.) 

  9. 이제환. 2004. 디지털도서관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143-172.(Lee, Jae-Whoan. 2004.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Digital Libraries."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1): 143-172.) 

  10. 황재영, 이응봉. 2009.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연구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40(2): 1-23.(Hwang, Jae-Young and Eung-bong Lee. 2009. "A Review of Studies on the Service QualityEvaluation of Digital Libraries: On the Basis of Evaluation Models and Measures Methodologies."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40(2): 1-23.) 

  11. 황재영, 이응봉. 2010.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과 지표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41(1): 1-27.(Hwang, Jae-Young and Eung-bong Lee. 2010.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MeasurementModel and Index for Digita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41(1): 1-27.) 

  12. 황재영, 이응봉, 김종환. 2007. 디지털도서관의 e-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41(3): 55-79.(Hwang, Jae-Young, Eung-bong Lee, and Jong-Hwan Kim. 2007. "Assessing E-service Qualityof Digit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41(3): 55-79.) 

  13. Garvin, D. A. 1988. Management Qality: The Strategic and Competitive Edge. The Free Press. 

  14. Heinrichs, J. H., T. Sharisey, and J. Lim. 2005. "Relative Influence of the LibQUAL+ Dimensions on Satisfaction: A Subgroup Analysis." College and Research Library, 66(3): 248-265. 

  15. Hernon, P. and J. R. Whitman. 2001. Delivering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 Customerbased Approach for Librarie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6. Kotler, P. 1983. Principle of Marketing. 2nd ed.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7. Kyrillidou, M. 2009. Item Sampling in Service Quality Assessment Surveys to Improve Response Rates and Reduce Respondent Burden: The LibQUAL+(R) Lite. Randomized Control Trial(RCT). 

  18. Kyrillidou, M. and B. Thompson. 2007. DigiQUAL: A Digital Library Evaluation Service. Presented at 7th Northumbr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formance Measurement in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 South Africa. 

  19. Lincoln, Y. S., C. Cook, and M. Kyrillidou. 2004. Evaluating the NSF National Science Digital Library Collections: Categories and Themes Form MERLOT and DLESE. Presented at 2004 MERLOT International Conference, Costa Mesa, California; 재인용: 강지혜. 2006. DigiQUAL 모형을 적용한 과학기술분야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 Moon, A. 2007. "LibQUAL+TM at Rhodes University Library: An Overview of the First South African Implementation." Performance Meansurement and Metrics, 8(2): 72-87. 

  21. Nitecki, D. A. and B. Franklin. 1999. "Perspectives on: New Measures for Research Librarie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5(6): 484-487. 

  22. Orr, R. H. 1973. "Measuring the Goodness of Library Services: a General Framework for Considering Quantitative Measures." Journal of Documentation, 29(3): 315-332. 

  23. Parasuraman, A., V. A. Zeithaml, and L. L. Berry. 1988. "SERVQUAL: A Multi-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24. Thompson, B., M. Kyrillidou, and C. Cook. 2007. "User Library Service Expections in Health Science vs. Other Settings; A LibQUAL+(K) Study." Health Informaton and Libraries Journal, 24(1): 38-45. 

  25. White, M. D. and E. G. Abels. 1995. "Measuring Service Quality in Special Libraries: Lessons from Service Marketing." Special Libraries, 86(1): 36-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