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술폰화된 비스(4-플루오로페닐) 페닐포스핀옥사이드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합성과 특성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including sulfonated bis (4-fluorophenyl) phenylphosphine oxide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25 no.4, 2016년, pp.176 - 183  

유은실 (전북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교 에너지저장.변환공학과, 연료전지 시스템 전주기 R&D 고급트랙 사업단, 수소연료전지센터) ,  남기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교 에너지저장.변환공학과, 연료전지 시스템 전주기 R&D 고급트랙 사업단, 수소연료전지센터) ,  유동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교 에너지저장.변환공학과, 연료전지 시스템 전주기 R&D 고급트랙 사업단, 수소연료전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성능 향상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전지를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해질 막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Bis(4-fluorophenyl)phenyl phosphine oxide를 발연 황산을 이용하여 양이온($H^+$)을 전도할 수 있는 술폰산기를 치환시켜 주었다. 친수성 올리고머와 소수성 올리고머를 각각 합성하고, 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 올리고머와 소수성 올리고머를 방향족 친핵성 치환반응에 의해 제조하였다. 블록 공중합체의 구조 및 술폰화도(DS)는 $^1H$-NMR,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열적 안정성열중량 분석(TGA)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조한 블록 코폴리머는 $200^{\circ}C$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내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온전도성은 연료전지 전해질 막으로서의 성능을 증명하기 위해 이온전도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제조한 막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달된 이온클러스터의 영향으로 최대 58 mS/cm의 이온전도성을 보였다. 블록 코폴리머의 미세 상 분리의 특성은 AFM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lates to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improved performance fuel cell, were researched with respect to properties required for driving a fuel cell. The bis(4-fluorophenyl)phenyl phosphine oxide was sulfonated using fuming sulfuric acid. Synthetic hydrophilic oligomer and the hydr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술폰화된 bis(4-fluorophenyl)phenyl phosphine oxide(sBFPPO)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합성과 특성 분석에 관한 것으로써, 전해질 막의 구조분석, 열적 안정성 및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고분자 전해질막은 친수성 올리고머와 소수성 올리고머의 몰 비율을 50:50으로 하여 약 50%의 술폰 화도(DS)를 갖는 블록 코폴리머의 형태로 제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술폰화된 bis(4-fluorophenyl) phenyl phosphine oxide(BFPPO)를 포함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여 이의 특성 연구를 실시하였다. 즉, 먼저 친수성 올리고머와 소수성 올리고머를 각각 합성한 후 연결자로 decafluorobiphenyl(DFBP)를 사용하여 블록 코폴리머를 합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료전지란 무엇인가? 연료전지는 공급된 연료의 화학반응에 의해 직접적으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수소와 산소를 사용하여 물과 폐열 및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 내연기관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50% 이상 감량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청정에너지 발생 시스템으로 주목 받고 있다.
연료전지의 연료 관련 장점은 무엇인가? 연료전지는 공급된 연료의 화학반응에 의해 직접적으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수소와 산소를 사용하여 물과 폐열 및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 내연기관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50% 이상 감량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청정에너지 발생 시스템으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메탄올, 알코올, 바이오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서 연료가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해질에 따른 연료전지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연료전지는 전해질 및 작동온도에 따라서 종류를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작동원리는 모두 동일하다. 전해질의 종류 따라서 연료전지는 크게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 알칼리 연료전지(alkaline fuel cell, AFC), 용융 탄산염 연료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인산형 연료전지(phosphoric acid fuel cell, PAFC) 등으로 분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 Winter, R. j. Brodd, What are batteries, fuel cells, and supercapacitors?, J. Am. Chem. Soc., 2004;104;4245-4269 

  2. P. Thounthong., S. Rael., B. Davat., Energy management of fuel cell/battery/supercapacitor hybrid power source for vehicle applications, J. Power Sources., 2009;193;376-385 

  3. J. G. Kim, S. H. Lee., C. H. Ryu., G. J. Hwang., Preparation of cation exchange membrane using poly benzimidazole and its characteristic, J. Memb. Sci., 2012;22;256-271 

  4. J. H. Lee, J. O. Wo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fuel cell,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003;14;418-430 

  5. H. Liao., G Xiao and D Yan., High perfomance proton exchange membranes obtained by adjusting the distribution and content of sulfonic acid side groups, Chem. Commun., 2013;49;3979-3981 

  6. S. Michael., K. K. Dieter., A. . T., M. Joachim., Sulfonated poly(phenylene sulfone) polymers as hydrolytically and thermo oxidatively stable proton conducting ionomers, Macromolecules., 2007;40;598-607 

  7. S. Zhong., X. Cui., H. Cai., T. Fu., C. Zhao., H. Na., Crosslinked 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proton exchang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s, J. Power Sources., 2007;164;65-72 

  8. S. H. de Almeida and Y. Kawano, Thermal behavior of Nafion membrane, J Therm Anal Calorim., 1999;58;569-577 

  9. B. C. Bae., K. Miyatake., M. Watanabe.,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ketone) multiblock copolymers with highly sulfonated block. synthesis and properties, Macromolecules., 2010;43;2684-2691 

  10. J. J. Ahn., Choi. Y. W., Yang. T. H., Kim. C. S., Bae. B. C.,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multiblock copolymer for PEMFC application, Korea Science., 2012;23;416-467 

  11. Y. S. Kim., Hickner., M. A., D. Limin., P. B. S., McGrath, James E.,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copolymer proton exchange membranes: composition and morphology effects on the methanol permeability, J. Membr. Sci., 2004;234;317-326 

  12. K. B. Wiles, F. Wang, J. E. McGrath., Directly copolymerized poly(arylene sulfide sulfone) disulfonated copolymers for PEM-based fuel cell systems. 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J. Polymer. Sci., Part A: Polym. Chem., 2005;43;2964-29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