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밀 기능성 소재로서 청밀에 대하여
Immature Wheat as Functional Ingredient of Domestic Wheat 원문보기

식품산업과 영양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v.21 no.2, 2016년, pp.25 - 28  

김미정 (한국식품연구원 감각인지연구단)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산밀의 생산/소비 확대를 위한 노력 중 하나로서 수입밀과 차별화된 우리밀만의 장점이 있는 우리밀 제품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기고에서는 국산밀소비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미성숙밀인 청밀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각 phenolic compositions는 free, bound values의 합.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밀 수확 시기는 언제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밀은 파종 후 5월쯤 출수 개화기를 기준으로 6월 초/중순에 수확한다. 밀은 출수 후 성숙과 정에서 유리당이 전분으로 전환되고 유리 아미노산이 단백질로 합성되면서 녹색에서 황색으로 변화된다(3,4).
국내에서 정책적 국산밀 재배확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급률이 늘지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2%에 머물러있다. 이는 국산밀이 수입밀에 비해 품종 간 품질변이가 다소 크며, 주로 벼농사 후 휴식기에 파종하는 시스템으로 재배환경이 불규칙하기 때문이 다. 따라서 본질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출수 후 성숙과정에서 밀의 색이 녹색에서 황색으로 변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밀은 파종 후 5월쯤 출수 개화기를 기준으로 6월 초/중순에 수확한다. 밀은 출수 후 성숙과 정에서 유리당이 전분으로 전환되고 유리 아미노산이 단백질로 합성되면서 녹색에서 황색으로 변화된다(3,4). 수확 시기별 청밀사진은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장학길, 이영택. 2012. 인류 역사와 함께하는 밀과 밀가루. 사단법인 한국제분협회. 

  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p69-214. 

  3. 김민철, 이가순, 이병진, 권병구, 주정일, 구자형, 오만진. 2007. 성숙과정 중 녹색밀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 1307-1313. 

  4. 김진영, 이기택, 이정희. 2013. 녹색 밀을 첨가한 베이커리제품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9: 137-146. 

  5. 구자형, 조진웅, 허재영, 최규한, 구본정, 이은명, 허윤근, 서정덕, 이기택, 남명수, 성창근. 2013. 녹색 Whole Grain의 대량생산 및 가공유통. 농림수산식품기술평가원 보고서. 

  6. 농촌진흥청. 2011. 2011 표준 식품성분표(제8개정판). 

  7. Papathanasopoulos A, Camilleri M. 2010. Dietary fiber supplements: effects i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nd relationship to gastrointestinal functions. Gastroenterology 138: 65-72. 

  8. Threapleton DE, Greenwood DC, Evans CEL, Cleghorn CL, Nykjaer C, Woodhead C, Cade JE, Gale CP, Burley VJ. 2013. Dietary fibre intak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347: f6879. 

  9. Yang D, Shin JA, Gan LJ, Zhu XM, Hong ST, Sung CK, Cho JW, Ku JH, Lee KT. 2012.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unds in premature green and mature yellow whole wheat in Korea. Cereal Chem 89: 284-289. 

  10. Casiraghi MC, Zanchi R, Canzi E, Pagani MA, Viaro T, Benini L, D'Egidio MG. 2011. Prebiotic potential and gastrointestinal effects of immature wheat grain (IWG) biscuits. Antonie van Leeuwenhoek 99: 795-805. 

  11. Kim MJ, Kim SS. 2016.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in immature and mature wheat kernels. Food Chem 196: 638-645. 

  12. Kim MJ, Yoon WJ, Kim SS. 2016. Phytochemical compositions of immature wheat bran, and its antioxidant capacity, cell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duction through tumor suppressor gene. Molecules 21: 1292. 

  13. Adom KK, Liu RH.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grains. J Agric Food Chem 50: 6182-61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