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옥병(蒼玉屛)의 위치 비정(比定) 및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정원유적 연구
Assumptions on the Location of Changokbyeong and Saahm Park Soon's Garden Remain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4, 2016년, pp.37 - 50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박주성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최종희 (배재대학교 원예조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옥병의 지명 오류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지도, 옛시문, 옛그림 등의 문헌자료조사와 암각 및 조망특성에 대한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창옥병의 위치를 비정하고, 이곳의 향유주체인 사암 박순과 그가 경영한 배견와 및 별업 이양정의 공간 구조와 정원적 면모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옥병은 옥병서원과 일체감을 갖는 공간역으로 옛그림과 고지도 그리고 암각문의 존재로 볼 때 옥병서원 바로 앞의 석벽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지역과 현재 창옥병으로 알려진 오가리석벽과는 직선거리로 불과 약 460m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광의의 창옥병 경관영향권으로 볼 수 있다. 시문에 등장하는 "창옥병급산금(蒼玉屛及散襟)"이란 표현에서도 산금대라 암각된 병풍바위가 바로 협의의 창옥병임이 유추된다. 또한 오가리석벽에서는 단 1점의 암각도 확인되지 않는 반면 옥병서원 전면부 암벽 도처에는 사암 박순이 명명하고 주문하여 새긴 11개소의 암각 중 8개의 경물명과 제영시가 필첩(筆帖)처럼 밀집되어 있음은 옥병서원 앞의 강벽(江壁)이 의심할 여지없는 창옥병인 것으로 비정된다. '수월정신송균절조(水月精神松筠節調)'암각은 창옥병의 향유주체였던 사암의 고매한 인격과 덕행을 함축하는 창옥병의 상징언어이자 이곳의 장소 요체(要諦)로, 기존 알려진 것과는 달리 우암 송시열의 필적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한편 사암의 정원유적 창옥병은 왼쪽으로부터 산금대-수경대-청학대-백학대의 4개 대로 구성되어 있다. 산금대 후면에는 본제인 배견와를, 백학대 좌측의 기암석벽 위에는 별업 이양정을 조성하여 멀리 오가리석벽의 장관(壯觀)을 관망하는 조망구도를 갖도록 계획되었다. 사대(四臺)) 좌측 가장 높은 곳에 입지한 이양정은 사암의 별업이자 독서처이자 장구지소(杖屨之所)이며 그 앞 너럭바위에 존재하는 와준(窪樽)은 사암의 술풍류를 반영한 정원시설로 비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ognizing the problem of fallacy in geographical name of Changokbyeong(蒼玉屛), assumption has been made on the location of Changokbyeo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antique maps, ancient paintings, and old prose, through field survey on rock inscriptions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throug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암 박순의 본관은 어디인가? 사암 박순(이후 사암)의 본관은 충주로 자는 화숙(和叔)이다. 우(禑)의 아들이며, 기묘명현인 박상(朴祥)의 조카로 전라도 나주 출신으로,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 1489~1546)에게 학문을 익혔다.
창옥병을 자의로 풀면 어떤 말인가? 창옥병을 자의(字義)로 풀면 ‘푸른색 옥(蒼玉) 병풍’이라는 말로 창옥병과 관련하여 유일무이하게 이곳의 향유주체로 확인되는 인물이 사암이다. 사암은 영평으로 거처를 옮긴 뒤 창옥병 주변의 경치를 유상(遊賞)하며 선조21년(1588) 창옥병 인근의 대표적인 경물을 명명하고 그 위치와 명칭을 후대에 남기고자 하였다.
사암 박순은 관직에 나와 어떤 일을 했나요? 우(禑)의 아들이며, 기묘명현인 박상(朴祥)의 조카로 전라도 나주 출신으로,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 1489~1546)에게 학문을 익혔다. 관직에 나와 훈구(勳舊) 세력에 의한 구체제의 혁신을 주장하는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와 송강(松江) 정철(鄭澈, 1536~1593) 등 신진사류(新進士類)들을 옹호하고 보호하였으며, 1565년에는 대사간으로서 대사헌 이탁(李鐸)과 함께 훈구파의 대표적 인물인 윤원형을 탄핵하여 훈구세력을 제거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이런 연유로 사암은 선조 초년에 사류의 “종주(宗主)”로서 신진사류들과 뜻을 함께하며 개혁과 혁신을 이끌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ong, Soon Seuk. (1997). Inscriptions of Pocheon. Seoul Publisher of Cultural History of Korea: 9-48. 

  2. Hong, Soon Seuk. (1994). The Study on Epigraphy of Fochunkun Okbungdong. Collection of Dissertations of Kangnam University 25(1): 81-100. 

  3. http://db.itkc.or.kr 

  4. http://encykorea.aks.ac.kr 

  5. http://museum.dongduk.ac.kr 

  6. Park Byung Ik. (2006). A Discussion on Saam Park Soon's use of Tang Poetry in a Korean Context. Study on Poems of Korean. Vol.14: 101-133. 

  7. Kim, Jong Seo. (2005).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f Park Sun(Saham)'s Po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Style of "Cheongso(淸邵)" Study on Poems of Korean. Vol.19: 185-223. 

  8. http://tour.pcs21.net 

  9. Daedongjiji(大東地志) 

  10. Genealogy of Ansan Kim's(安山金氏族譜) 

  11.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al Institute(2008). Collection on Origin of Land name of Korea: Central District: p431. 

  12. http://kyujanggak.snu.ac.kr 

  13. MisuGieun(眉?記言) 

  14. Sahamjip(思菴集) 

  15. Nongamjip(農巖集) 

  16. Lee, Jong Mook(2006). Cultural Space of the Joseon Dynasty 2. Humanist: p109-110. 

  17. Bongamjip(鳳巖集) 

  18. Shin, Yong Cheol(2002). On the Cultural Heritage for Tourism of Confucianism: A Study on the Cultural Heritage for Tourism of Po-cheon Area. Journal of Tourism Industry Information. Vol.3: 151-192. 

  19. Songjadaejeon(宋子大典) Vol. 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