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도 공암풍벽과 거연정(Geoyeonjeong) 별서원림의 재조명
A Resurrection of Gongampungbyeog Cliff and Geoyeonjeong Byeolseowonlim in Cheongdo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3, 2020년, pp.11 - 24  

김정문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정푸름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원림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소외되어 잊혀져 가는 청도 거연정을 재조사하여 잘못된 내용을 바로잡고 그간 정원의 변화상과 실태를 검토하는 한편 향후 원림내 구성 요소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거연정원림 영향권인 공암풍벽까지 확대하여 재조명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수헌유고』에 배를 타고 노는 선유풍류(仙遊風流)를 읊은 내용으로 볼 때 동창천과 공암풍벽은 거연정과 일체감을 갖는 정원 영역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거연정 경영 내력에 "병암(병풍바위) 아래로 나아가 작은 정자를 짓고 거연정이라 편액했다. 원림을 개간하고 화훼를 북돋아 심었다."고 하는 기록으로 보아 청수헌 윤봉한은 공암풍벽 일대를 거연정의 경관적 영향권인 외원(外園)으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공암과 관련된 다수의 시는 공암이 운문 일대를 대표하는 승경으로 인식되었으며, 이곳에 설정된 청도팔경이나 운문구곡의 양상은 공암풍벽의 전래 승경적 면모에 매우 충실하다는 방증(傍證)이기도 하며 거연정원림 외원으로서의 특성이 함축된 장소성의 결정체이다. 넷째, 거연정원림에서 공암으로 이르는 잔도(棧道) 및 풍벽 일대의 동창천 하상에는 풍호대, 모성암, 부앙대, 곡천대, 사간정, 학가대, 형제암 등 암대(巖臺)로 구성된 명소로 채워져 있으며, 이는 이 지역 승경의 요처(要處)이자 조망처으로서 거연정원림 외원의 성격을 보다 명료하게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청수헌유고』의 "물을 끌어다가 방당으로 흘리고 다시 들판의 시내로 보낸다"라는 표현으로 볼 때 거연정의 지당은 원래 방지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영자 청수헌 또한 주자를 존숭하고 주자와 같은 자연관을 추구하고자 했을 것으로 추론된다. 여섯째, 『청수헌유고』의 『거연정만영(居然亭晩影)』에 샘물에 대한 묘사와 버드나무 등을 심었다는 기록과 『상국설(霜菊說)』에는 자신이 국화를 심고 가꾼 사실을 논한 글로 심한 서릿발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절개를 지킨다는 오상고절(傲霜孤節)을 국화를 빌어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일곱째, 거연정원림 내원에 존재하는 바위글씨는 1844년 원림조성기의 청수헌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판단된다. 거연정 원내의 바위글씨는 수신 및 경물의 명칭을 제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구절은 주자의 무이도가를 비롯한 원전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군자의 덕과 은자의 자연관을 이입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경(敬)'이나 '의당(義堂)'바위글씨는 특별한 숭배대상이나 내면의 성찰을 대신한 것으로 거연정원림의 의미경관적 속성을 더해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xamine the neglected and forgotten Cheongdo Geoyeonjeong, to correct the wrong contents, examine the changes and conditions of the garden, and to establish basic data on the components of the forest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was extended to the Gongampungbye...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27)

  1. Lee J. K.(1992), A Study on the Retreating Villa (Byeol Soe) Garden in Choson Dynasty, A doctoral dissertation at Sungkyunkwan University's Graduate School. 

  2.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Old. Korean Garden Society).(1984). Geoyeonjeong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Proposal 

  3. Lee S. R.(1986). A Study on the Koyonchung of Chung-do Un-m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5(1): 39-51. 

  4. Cheongsuheonyugo(聽水軒遺稿). 3(1). Seokinbon. 

  5. http://db.itkc.or.kr 

  6. Korean Old and Rare Collection Information System(https://www.nl.go.kr/korcis/) 

  7. National Library of Koera(http://www.nl.go.kr/) 

  8. Yeongnam-eupji(嶺南邑誌) 'Hyeongseungjo' 

  9. Cheongdo-gun-eupji(淸道郡邑誌). (1768). 'Hyeongseungjo' 

  10. Amseo-jip(巖棲集). 6(卷六) Poetry(詩). Gongampungbyeog Cliff (孔巖楓壁) 

  11. Huhanseo(後漢書). 82(卷82下) Bangsulyeoljeonha(方術列傳下) Bijangbang(費長房). (http://db.itkc.or.kr) 

  12. Data: https://terms.naver.com 

  13. Cheongdo Cultural Center(2009). Cheongdomunheonbigo(淸道文獻考)(http://cheongdo.grandculture.net) 

  14. http://cafe.daum.net/hwaaksan 

  15. Local Culture Electronics Exhibition(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16. http://www.chdnews.com/ 

  17. http://blog.daum.net/aapyh/7578262 

  18. Ohhan-jip(?漢集). 4(卷之四) Miscellaneous writings(雜著). Yuunmunsanrok(遊雲門山錄) 

  19. Collected Works of Master Zhu(朱子全書). 66(卷66). Collected Works of Wuyi-jeongsa(武夷精舍 雜詠) 

  20. http://www.hanauction.com 

  21. Zhu(朱子). Gwanseoyugam(觀書有感) 

  22. Gyonam-ji(嶠南誌). 15(卷之十五). Cheongdo-gun 

  23. https://hanja.dict.naver.com 

  24. Gomunjinbo(古文眞寶). Hu-jib(後集). 6(卷六)-68- 

  25. Cheongdo-gun, The Institute for Korean Culture Yeungnam University Kyongsan(1992). Unmun Dam Waterfall Area Survey Report. : 774-779. 

  26. Cheongdo Cultural Center(1996). Origin of Village Geographical Names 

  27. Cheongdo-gun(1982). Traditional Culture of My Tow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