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무역 네트워크와 주요국 산업의 역할: 부가가치 교역 자료를 이용한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World Trade Network and the Roles of the Industries in the Major Trading Countries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9 no.4, 2016년, pp.677 - 693  

현기순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  이준엽 (인하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부가가치 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계무역 네트워크 내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가가치 무역에 있어서 주요 산업은 다음 세 가지 유형이다. 여기에는 중국 등 개도국의 전자산업, 미국과 영국의 R&D 산업, 독일의 자동차, 화학, 기계 산업 등이 해당된다. 즉, 개도국의 조립형 제조업, 미국 등 선진국의 R&D 산업, 독일과 같은 선진국의 첨단 제조업이 포함된다. 둘째, 주요 산업이 글로벌 허브 산업으로 기능하는 유형은 상이하다. 특히, 미국의 서비스산업인 도소매, 물류, R&D 산업 등은 순회자와 연락자가 매우 강하게 나타나며 그 지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중개자 측면에서 한 중 일 3국 주요 산업을 진단하면 한국의 대부분 산업은 중국과 일본에 압도되고 있다. 그러나 순회자 역할에서 금융산업과 R&D 산업은 중국과 일본보다 각각 우위에 있다. 이러한 점에서 서비스산업의 진일보한 개방정책이 한국 산업의 중개자 역할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rade in Value Added Database(TiVA), this paper examines the world trade network.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three types of industries, which have dominant status in the world value added trade network. Those are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부가가치 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계무역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둘째,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국제 부가가치 무역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한다. 특히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각 노드의 글로벌 허브(hub)를 측정하는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이 중개자 역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이용하여 글로벌 허브 산업을 중개자 역할의 측면에서 분석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하여 부가가치 창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 국가와 산업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전 세계 61개 국가의 34개 산업을 모두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가 특정 산업, 혹은 국가의 측면에서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살펴보았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둘째,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국제 부가가치 무역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두 산업이 갖는 평균적인 최단거리의 감소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에 더하여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두 산업이 갖는 평균적인 최단거리(mean distance)가 감소하였다는 것은 해외 부가가치 무역 네트워크가 좁은 세상 네트워크(small world network)의 속성을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지표 분석 결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국가의 산업들이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내로 통합되면서 부가가치 무역의 네트워크가 더욱 조밀해지고, 복잡하게 연결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평균연결정도란 무엇인가? 1995년 이후 16년 동안 부가가치 무역 네트워크의 밀도(density)와 평균연결정도(average degree), 상호연결성(reciprocity), 클러스터링 계수(cluster-ing coefficient)가 꾸준히 증가하였고 평균적인 최단 거리(mean distance)는 감소하였다(표 1). 평균연결정도는 한 산업이 평균적으로 맺고 있는 교역관계를 보여주는 지표이며 상호연결성은 노드 간 서로 주고 받는 정도를 계산한다. 또한 클러스터링 계수는 네트워크의 평균적인 군집정도를 나타낸다.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하의 생산과 교역 과정을 보다 면밀히 이해하기 위해 부가가치를 위주로한 데이터 수집과 정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세분화된 상품 교역 데이터를 이용하는 현재의 무역 통계는 전통적 비교우위 이론에 입각하여 국제수준의 생산입지 문제를 다루거나 생산과 교역의 지역적 특화 패턴을 파악하는 경험적 연구에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품 교역 위주의 데이터는 역할무역(trade in tasks)을 설명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하의 생산과 교역 과정을 보다 면밀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국 생산에 포함된 부가가치를 위주로 한 데이터의 수집과 정리의 필요성이 부각된다(Daud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심승진, 2010, "한.중.일 산업간 가치사슬 네트워크 및 동북아지역차원의 산업클러스터 분석", 동북아경제연구 22(3), pp.1-37. 

  2. 정준호.조형제, 2016,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를 이용한 자동차산업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3), pp.491-511. 

  3. 현기순.이준엽, 2016, "경제통합과 농식품 교역의 국가간 네트워크 변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83-103. 

  4. Amador, J. and Cabral, S., 2016, "Networks of value added trade", European Central Bank Working Paper, No. 1931. 

  5. Baldwin, R. and Lopez-Gonzalez, J., 2015, "Supply-chain trade: A portrait of global patterns and several testable hypotheses", The World Economy 38(11), pp.1682-1721. 

  6. Cerina, F., Zhu, Z., Chessa, A. and Riccaboni, M., 2015, "World input-output network", PLoS ONE 10(7), e0134025. 

  7. Contreras, M.G.A. and Fagiolo, G., 2014, "Propagation of economic shocks in input-output networks: A cross-country analysis", Phys Rev. E 90, 062812. 

  8. Daudin, G., Rifflart, C. and Schweisguth, D., 2011, "Who produces for whom in the world economy?", Canadian Journal of Ecoomics 44(4), pp. 1409-1538. 

  9. De Benedictis, L. and Tajoli, L., 2011, "The world trade network", The World Economy 34(8), pp.1417-1454. 

  10. Dietzenbacher, E. and van der Linden, J. A., 1997, "Sectoral and spatial linkages in the EC production structure", Journal of Regional Science 37, pp.235-257. 

  11. Fan, Y., Ren, S., Cai, H. and Cui, X., 2014, "The state's role and position in international trade: A complex network perspective", Economic Modelling 39, pp. 71-81. 

  12. Gould, R.V. and Fernandez, R.M., 1989, "Structures of mediation: A formal approach to brokerage in transaction networks", Sociological Methodology 19, pp.89-126. 

  13. Hummels, D., Ishii, J. and Yi. K-M., 2001, "The nature and growth of vertical specialization in world trade,"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54(1), pp.75-96. 

  14. Johnson, R. C. and Noguera, G., 2012, "Accounting for intermediates: Production sharing and trade in value added",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86, pp.224-236. 

  15. Johnson, R.C., 2014, "Five facts about value-added exports and implications for macroeconomics and trade research",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8(2), pp.119-142. 

  16. Los, B., Timmer, M.P. and de Vries, G.J., 2015, "How global are global value chains? A new approach to measure international fragmentatio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55(1), pp.66-92. 

  17. Maluck, J. and Donner, R.V., 2015, "A network of networks perspective on global trade", PLoS ONE 10(7), e0133310. 

  18. McNerney, J., Fath, B.D. and Silverberg, G., 2013. "Network structure of inter-industry flows", Physica A 392, pp.6427-6441. 

  19. Newman, M.E.J., 2002, "Assortative mixing in networks", Physical Review Letters 89, 208701. 

  20. Serrano, M.A., Boguna, M. and Vespignani, A., 2007, "Patterns of dominant flows in the world trade web", Journal of Economic Interactions and Coordination 2, pp.111-124. 

  21. Stehrer, R., 2012, "Trade in value added and the valued added in trade", WIOD Working Paper 8, pp.1-19. 

  22. Sturgeon, T.J, 2013, Global Value Chains and Economic Globalization - Towards a New Measurement Framework, Report to Eurostat. 

  23. Sun, X., An, H., Gao, X., Jia, X. and Liu, X., 2016, "Indirect energy flow between industrial sectors in China: A complex network approach", Energy 94, pp.195-205. 

  24. Timmer, M.P., Dietzenbacher, E., Los, B., Stehrer, R. and de Vries, G.J., 2015, "All illustrated user guide to the world input-output database: the case of global automotive production", Review of International Economics 23(3), pp.575-605. 

  25. Zhou, M., Wu, G. and Xu, H., 2016, "Structure and formation of top networks in international trade, 2001-2010," Social Network 44, pp.9-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