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헬스케어 관련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한미 비교 연구 :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care Autonomous Vehicle Technologi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Based on Social N etwork Analysis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0 no.4, 2017년, pp.1036 - 1056  

김호경 (한림대학교 헬스케어미디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구고령화 및 만성질환 환자의 급증으로 의료비가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다. 교통수단인 자동차에도 운전자의 상태를 인지하고 주행 환경을 반영하여 운전자의 안전과 건강을 도모하는 스마트 자동차 기술이 개발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1-2015년) 한국과 미국의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개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계열 분석, 네트워크 분석, 시각화 및 국가 간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운전자의 안전 및 알고리즘을 활용한 모델링 등 공통연구영역에서 협력연구를 도모하고, 미국의 강점인 부품과 차량 간 연결기술 연구를 벤치마킹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미국은 자율주행 기술 연구에 있어 다양한 연령층의 특성을 고려하고, 센서 등을 통해 탑승자의 건강상태를 인지하고 예측하는 기술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한국은 고령 운전자 측면만이 언급되어 헬스케어와 관련한 기술 연구가 좀 더 다양하게 진행될 필요가 제기된다. 향후 공중보건의 윤리가치와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하며 경쟁력을 갖춘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발전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pid increase of ageing population and chronic disease patients cause high medical expenses, and it led an increased attention to digital healthcare. Smart car technologies for healthcare have been developing to recognize drivers' status and predict diverse driving environments. The present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은 신산업을 이끌 핵심 동력으로 이에 대한 경제적・기술적 측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자동차 기술의 핵심 분야인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과 미국에서 최근 5년 동안(2011-2015년) 진행된 기술개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미비한 연구 영역과 상대적으로 강점 연구영역, 그리고 공통 영역에서의 협력 가능 연구 분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1-2015년)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개발 연구 분야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기술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시계열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시각화 분석 및 국가 간 비교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연구개발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스마트 자동차 기술의 핵심 분야인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과 미국에서 최근 5년 동안(2011-2015년) 진행된 기술개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미비한 연구 영역과 상대적으로 강점 연구영역, 그리고 공통 영역에서의 협력 가능 연구 분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헬스케어와 관련하여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이 어떻게 진행되어왔는지 두 나라를 비교하여 향후 기술 융합 방향성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1-2015년)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개발 연구 분야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기술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시계열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시각화 분석 및 국가 간 비교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분석 절차는 (그림 1)과 같다.
  • 세부적으로는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미비한 연구 영역과 상대적으로 강점 연구영역, 그리고 공통 영역에서의 협력 가능 연구 분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헬스케어와 관련하여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이 어떻게 진행되어왔는지 두 나라를 비교하여 향후 기술 융합 방향성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율주행 자동차의 발전단계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이렇게 새롭게 등장하는 자동차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탑재한 자율주행 기술이 그 중심에 있다. 다양한 수준으로 구현되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발전단계에대해 미국 교통부 도로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은 레벨 0부터 레벨 4까지 5단계로 구분하였다(장승주, 2016). 레벨이 높아질수록 운전자의 안정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 자동차로 통칭되는 자동차와 ICT의 융・복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는 무엇이 있는가? 자동차와 ICT의 융・복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에 대해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무인 자동차(driverless car),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fotainment system) 등으로 명명하거나(김용훈・김현구, 2017), 또는 지능형 자동차(intelligent vehicle)라고도 일컫는다(이준영・이경수, 2015). 일반적으로 이 개념들을 포함하여 스마트 자동차로 통칭한다(이병윤, 2016).
자율주행 자동차는 어떤 기술인가?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산업적 접근은 특히 자율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 or self-driving car) 기술에 집중되어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자의 조작 없이 자동차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위험을 판단하여, 주행 경로를 계획하며 목표지점까지 운행이 가능한 기술로(장승주, 2016), 관련 기술개발에 초점을 맞춘 산업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국토교통부 (2016), 신산업 육성 : 자율주행차, 세종 : 국토교통부. 

  2. 국토교통부 (2017가), 2017년 국토교통부 예산안, 세종 : 국토교통부. 

  3. 국토교통부 (2017나), 자율주행차, 한국이 선도하자, 세종 : 국토교통부. 

  4. 김국세.양상기.안성수.이준 (2008), "거리측정 센서 스캐닝과 퍼지 제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전동 휠체어 자율주행 시스템",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31-339. 

  5. 김선웅.지용구 (2011), "Smart 자동차 환경에서의 운전자 중심 상황인식 서비스 제안", 정보과학회지, 29(9): 27-34. 

  6. 김용훈.김현구 (2017),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동향", 한국통신학회지, 34(5): 10-18. 

  7. 김진우 (2017), "지능형 로봇에 대한 사법적 규율", 법조, 66(3): 5-59. 

  8. 김호경 (2015), 자살예방커뮤니케이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6),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 관련. 서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0. 권기석.이준혁.이주연.채성욱.한동성 (2014), "한의학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7(2): 334-354. 

  11. 권영준.이소은 (2016),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와 민사책임", 민사법학, 75: 449-495. 

  12. 남두희.이상수.김남선 (2016), "Issue-Tree기법과 QFD를 이용한 자율주행자동차 교통안전정책과제 분석", 한국ITS학회논문지, 15(4): 26-32. 

  13. 노문호.이운성.강연식 (2017), "자율주행의 충돌회피 시스템에 대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탑승자 긴장도 판단 알고리즘 개발", 한국자동차공학회 2017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31-731. 

  14. 류창한.서민석 (2015), "스마트카 특허분쟁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특허분쟁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23(3): 315-325. 

  15. 박기원 (2015), "모바일 로봇의 주행 능력 향상을 위한 이중 룰 평가 구조의 퍼지 기반 자율 주행 알고리즘",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8(3): 387-400. 

  16. 박성근 (2017),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재와 미래", 로봇과 인간, 14(2): 11-17. 

  17. 변순용 (2017), "자율주행자동차의 윤리적 가이드라인에 대한 시론", 윤리연구, 112(112): 199-216. 

  18. 성홍모.차동익.김선웅.박세진.김철중.윤영로 (2003), "HRV 분석을 이용한 운전피로도에 관한 연구", 의공학회지, 24(1): 1-8. 

  19. 신문선 (2017), "PHR 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정보 탐사 알고리즘 설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5(4): 191-198. 

  20. 신의섭.김명국.이창욱.강행봉 (2017), "다중 웨어러블 센서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인식", 정보처리학회논문지, 6(6): 271-280. 

  21. 우지인.양중기.김해나.정혜영.정경용.이영호 (2014), "건강검진결과의 맞춤형 시각화 모델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9): 123-131. 

  22. 윤성현 (2016),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개인정보 보호의 공법적 과제", 법과사회, 53: 1-40. 

  23. 윤진아.김상태 (2017), "독일에서의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논의", 법학논총, 34(1): 59-77. 

  24. 이동우.이성훈 (2012), "스마트 기술 기반의 융복합 응용 동향 및 미래", 디지털정책연구, 10(2): 147-152. 

  25. 이병윤 (2016), "국내외 자율주행자동차 기술개발 동향과 전망", 한국통신학회지, 33(4): 10-16. 

  26. 이세환.조동욱 (2012), "음주제어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 자동차 안전 관리 시스템 개발", 한국통신학회지, 37(7): 565-575. 

  27. 이원상 (2015),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체정보의 형사정책적 활용에 대한 고찰", 비교형사법연구, 17(1): 107-129. 

  28. 이준석.김종찬.이준혁.박상성.장동식 (2016), "특허인용정보 기반의 연구집중도 분석에 관한 연구 : 구글의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중심으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26(4): 327-333. 

  29. 이준영.이경수 (2015), "자율 주행 차량 기술 동향 및 방향",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21(1): 20-30. 

  30. 장승주 (2016), "자울 주행 자동차 관련 SW기술 동향", 한국통신학회지, 33(4): 27-33. 

  31. 정재칠.김승철.조정권.김태진 (2007), "차량운전자의 졸음운전 방지에 관한 의학적 기초 연구", 과학수사학, 1(2): 140-145. 

  32. 주영훈.김진규.나인호 (2008), "지능형 졸음 운전 경고 시스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18(2): 223-229. 

  33. 조순기 (2016), "자율주행을 위한 정부정책 2015", 교육기술과 정책, 13(1): 45-51. 

  34. 최남호.김효창.최종규.지용구 (2015), "미래형 자율주행 자동차의 정책수립을 위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41(1): 50-58. 

  35. 최혁두.박남훈.김종희.박용운.김은태 (2012), "무인 차량의 도로주행을 위한 경유점 생성 방법",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22(2): 161-167. 

  36. 한지용.장재민.한정희 (2014),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실내 보행자 위치 추적 알고리즘",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9(11): 1000-1008. 

  37. 허경무.강수민.주영복 (2017), "운전자의 졸음 감지를 위한 눈 영상 검출에 있어서의 안경 반사광 제거 기법",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23(2): 126-130. 

  38. Brulte, G. (2017), "The Futuristic Health Benefits Of Self-Driving Cars, Thanks toAI", https://www.ge.com/reports/futuristic-health-benefits-self-driving-cars-thanks-ai/ (15 October 2017). 

  39. Bonnefon, J. F., Shariff, A. and Rahwan, I. (2016), "The Social Dilemma of Autonomous Vehicles", Science, 352(6293): 1573-1576. 

  40. Daganzo, C. F. (1994), "The Cell Transmission Model: A Dynamic Representation of Highway Traffic Consistent with the Hydrodynamic Theor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28(4): 269-287. 

  41. Delphi (2017), "Delphi Joins BMW, Intel and Mobileye Self-Driving Vehicle Effort as Systems Integrator and Development Partner", http://www.delphi.com/ (15 October 2017). 

  42. Fagnant, D. J. and Kockelman, K. (2015), "Preparing a N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Opportunities, Barriers and Policy Recommend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77: 167-181. 

  43. Fleetwood, J. (2017), "Public Health, Ethics, and Autonomous Vehicl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7(4): 532-537. 

  44. Google (2017), "Self-driving car project", http://www.waymo.com/ (15 October 2017). 

  45. Lo, H. K. (2001), "A Cell-Based Traffic Control Formulation: Strategies and Benefits of Dynamic Timing Plans", Transportation Science, 35(2): 148-164. 

  46. Naughton, K. (2017), "Ford's Dozing Engineers Side With Google in Full Autonomy Push", Bloomberg Technology. 

  47. NetMiner (2017), http://www.cyram.com/ (15 October 2017). 

  48. Wadhaw, V. (2017), "Self-Driving Cars Should Leave Us All Unsettled. Here's Why", The Washington Post. 

  49. Web of Science (2017), http://www.webofknowledge.com/ (15 October 2017). 

  50. World Bank (2016), World Development Report 2016: Digital Dividends. 

  51. Yang, J. and Coughlin, J. F. (2014), "In-Vehicle Technology for Self-Driving Cars: Advantages and Challenges for Aging Driv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15(2): 333-34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