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이 잎에서 Chlorella fusca 처리에 의한 오이탄저병 발생 억제 기작
Illustration of Disease Suppression of Anthracnose on Cucumber Leaves by Treatment with Chlorella fusc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2 no.4, 2016년, pp.257 - 263  

이윤주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물산업학부 식물자원환경전공) ,  고윤정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물산업학부 식물자원환경전공) ,  전용철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물산업학부 식물자원환경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클로렐라는 광합성을 통해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녹조류로서 작물의 생육촉진효과와 더불어 식물병 발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클로렐라에 의한 식물병 억제 기작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클로렐라 일종인 C. fusca의 현탁액을 오이 잎에 전처리하였을 때 오이탄저병 진전이 억제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C. fusca를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 오이탄저병 억제 기작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무처리한 잎에 비해 C. fusca를 전처리한 잎에서 C. orbiculare의 부착기 형성률이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접종 부위에서 발견된 포자수도 무처리한 잎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한편, 살균제 $Benomyl^{(R)}$을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도 C. orbiculare의 부착기 형성률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포자수도 C. fusca를 전처리한 잎과 유사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이들 결과를 통해 C. fusca 전처리에 의해 오이탄저병 발생이 억제되며 이는 C. fusca에 의한 식물잎 표면에서 생화학적 또는 구조적 작용으로 인한 C. orbiculare의 부착기 형성 감소가 그 원인 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orella is known as chlorophyceae which can live autotrophically by photosynthesis, promote the growth of plants and suppress some plant diseases. However, a few researches in inhibition mechanism of plant diseases by chlorella have been carried out. In this study cucumber leaves pre-treated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클로렐라에 의한 식물병 발생 억제 기작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로 렐라를 오이식물에 전처리하였을 때 부착기를 형성하는 식물병원균인 C. orbiculare와 오이식물과의 상호작용을 형광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클로렐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오이탄저병 방제에 시판되는 살균제 Benomyl ® 을 전처리한 오이식물과도 비교하였다.
  • 그러나 클로렐라에 의한 식물병 억제 기작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클로렐라 일종인 C. fusca의 현탁액을 오이 잎에 전처리하였을 때 오이탄저병 진전이 억제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C. fusca를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 오이탄저병 억제 기작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무처리한 잎에 비해 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이탄저병이란 무엇인가? 낭균에 속하는 Colletotrichum orbiculare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탄저병은 오이뿐 아니라 수박과 머스크멜론 등 박과류에서도 피해를 입히는 매우 중요한 식물병이다(Agrios, 2005). 한국에서는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고추탄저 병이 연중 생산량의 10% 이상 발생하는 병해로 고추에 매우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으나(Kim 등, 2008) 오이탄저병에 의한 대발생 피해 사례는 최근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C. fusca 전처리를 하지 않은 오이에 C.orbiculare을 접종했을 때 관찰되는 오이탄저병의 병징은? 무처리한 오이 잎에서의 병반 형성은 병원균 접종 후 3일째부터 작은 반점들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해 5일째부터 병반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병반의 모양은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원형의 겹둥근무늬로 나타났다. 접종 10일 후 병이 진전되면서 작은 병반들의 크기가 증가되고 합쳐지면서 잎의 부정형 원형병반으로 점점 확대되었다(Fig. 1A-a).
우리나라에서 오이탄저병에 대한 방제를 위해 등록된 약제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오이탄저병에 대한 방제는 주로 농약에 의존하며 Benomyl ® , Chlorothalonil ® 과 Kasugamycin ® 이 약제로 등록되어있다. 그러나 최근 안전한 농산물을 찾는 소비 자들의 요구에 따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grios, G. N. 2005. How pathogens attack plants. In: Plant Pathology, ed. by G. N. Agrios, pp. 175-203, Elsevier Academic Press, Burlington, VT, USA. 

  2. Ahn, Y. J., Lee, H. S., Oh, H. S., Kim, H. T. and Lee, Y. H. 2005. Antifungal activity and mode of action of Galla rhois-derived phenolic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Pestic. Biochem. Physiol. 81: 105-112. 

  3. Anderson, R. A. 2005. Algal Culturing Techniques. Elsevier/Academic Press, Burlington, MA, USA. 578 pp. 

  4. Bileva, T. 2013. Influence of green algae Chlorella vulgaris on infested with Xiphinema index grape Seedlings. J. Earth Sci. Climate Change 4: 136. 

  5. Choi, K. C., Ilavenil, S., Arasu, M. V., Park, H. S. and Kim, W. H. 2015. Effect of addition of chlorella and lactic acid bacteria on nutritive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fresh rice straw silage. J. Korean Soc. Grassl. Forage Sci. 35: 159-165. (In Korean) 

  6. Gan, P., Ikeda, K., Irieda, H., Narusaka, M., O'Connell, R. J., Narusaka, Y., Takano, Y., Kubo, Y. and Shirasu, K. 2013. Comparative genomic and transcriptomic analyses reveal the hemibiotrophic stage shift of Colletotrichum fungi. New Phytol. 197: 1236-1249. 

  7. Ha, J. S. 2015. Field investigation of major apple diseases and pests in Geochang, and evaluation of Chlorella and reflective film treatment for apple quality improvement. Master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52 pp. 

  8. Han, J. H., Park, G. C., Kim, J. O. and Kim, K. S. 2015.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stalk rot of maize using Bacillus spp. Res. Plant Dis. 21: 280-289. (In Korean) 

  9. Howard, R. J. and Ferrari, M. A. 1989. Role of melanin in appressorium function. Exp. Mycol. 13: 403-418. 

  10. Jeong, H. K., Kim, C. G. and Moon, D. H. 2012. Analysis of contribu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o health promotion. Korean J. Org. Agric. 20: 125-142. 

  11. Jeun, Y. C., Siegrist, J. and Buchenauer, H. 2000. Biochemical and cytological studies on mechanisms of systemically induced resistance to Phytophthora infestans in tomato plants. J. Phytopathol. 148: 129-140. 

  12. Kim, J. T., Park, S. Y., Choi, W. B., Lee, Y. H. and Kim, H. T. 2008.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isolates causing anthracnose of pepper in Korea. Plant Pathol. J. 24: 17-23. 

  13. Kim, M. J., Shim, C. K., Kim, Y. K., Hong, S. J., Park, J. H., Han, E. J., Jee, H. J., Lee, S. B. and Kim, S. C. 2015. Effect of Chlorella sp. on improving antioxidant activities and growth promotion in organic soybean sprout cultivation. Korean J. Org. Agric. 23: 939-950. 

  14. Kim, M. J., Shim, C. K., Kim, Y. K., Hong, S. J., Park, J. H., Han, E. J., Jee, H. J., Yun, J. C. and Kim, S. C. 2014a. Isolation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fresh water green algae from organic farming habitats in Korea. Korean J. Org. Agric. 22: 743-760. (In Korean) 

  15. Kim, M. J., Shim, C. K., Kim, Y. K., Park, J. H., Hong, S. J., Ji, H. J., Han, E. J. and Yoon, J. C. 2014b.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CHK0008 fertilization on enhancement of storage and freshness in organic strawberry and leaf vegetable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2: 872-878. (In Korean) 

  16. Kim, S. Y., Hyun, J. W. and Jeun, Y. C. 2011. Suppression effect and mechanism of citrus scab in the citrus pre-inocul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Res. Plant Dis. 17: 302-310. (In Korean) 

  17. Kulik, M. M. 1995. The potential for using cyanobacteria (bluegreen algae) and algae in the biological control of plant 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Eur. J. Plant Pathol. 101: 585-599. 

  18. Kwak, Y. K., Kim, I. S., Cho, M. C., Lee, S. C. and Kim, S. 2012.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farm materials in Colletotrichum acutatum in vitro. J. Bio-Environ. Control 21: 127-133. (In Korean) 

  19. Lee, S. M. and Ryu, C. M. 2016. Chlorella fusca elicitsj induced resistance against 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in Arabidopsis. In: The 2016 KSPP Fall Meeting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ed. by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pp. 120.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Pyeongchang, Korea. 

  20. Mata, T. M., Martins, A. A. and Caetano, N. S. 2010. Microalgae for biodiesel production and other applications: a review. Renew. Sustain. Energy Rev. 14: 217-232. 

  21. McCarroll, N. E., Protzel, A., Ioannou, Y., Frank Stack, H., Jackson, M. A., Waters, M. D. and Dearfield, K. L. 2002. A survey of EPA/OPP and open literature on selected pesticide chemicals. III. Mutagenicity and carcinogenicity of benomyl and carbendazim. Mutat. Res./Rev. Mutat. Res. 512: 1-35. 

  22. McCracken, M. D., Middaugh, R. E. and Middaugh, R. S. 1980. A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n algal inhibitor obtained from Chlamydomonas. Hydrobiologia 70: 271-276. 

  23. Safi, C., Zebib, B., Merah, O., Pontalier, P. Y. and Vaca-Garcia, C. 2014. Morphology, composition, production, processing and applications of Chlorella vulgaris: a review. Renew. Sustain. Energy Rev. 35: 265-278. 

  24. Shaaban, M. M. 2001. Green microalgae water extract as foliar feeding to wheat plants. Pak. J. Biol. Sci. 4: 628-632. 

  25. Stanier, R. Y., Kunisawa, R., Mandel, M. and Cohen-Bazire, G. 1971.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unicellular blue-green algae (order Chroococcales). Bacteriol. Rev. 35: 171-205. 

  26. Than, P. P., Prihastuti, H., Phoulivong, S., Taylor, P. W. and Hyde, K. D. 2008. Chilli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ecies. J. Zhejiang Univ. Sci. B 9: 764-778. 

  27. Thompson, A. S., Rhodes, J. C. and Pettman, I. 1988. Culture and Collection of Algae and Protozoa. Culture Collection of Algae and Protozoa Freshwater Biological Association, Cumbria, UK. pp. 13-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