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hlorella fusca를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 오이탄저병균의 초미세 감염구조 관찰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of Colletotrichum orbiculare on Cucumber Leaves Pre-treated with Chlorella fusc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3 no.1, 2017년, pp.42 - 48  

이윤주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친환경농업연구소) ,  김수정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공학연구센터) ,  전용철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친환경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orella는 광합성을 통해 자가영양하는 미생물이다. 이전 연구를 통해 Chlorella fusca를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 오이 탄저병균의 부착기 형성률이 억제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SEM 및 TEM을 통해 C. fusca를 전처리한 잎에서 오이탄저병균의 초미세 감염구조를 관찰하였다. SEM 이미지에서는 대부분의 병원균 포자와 균사 주위에 많은 수의 C. fusca 세포가 관찰되었다. 또한 포자는 발아되었으나 식물조직에 침입하는 데 필요한 부착기는 형성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병원균 주위에 있는 C. fusca 세포가 병원균 부착기 형성을 억제하는 데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TEM 이미지를 통한 병원균 균사 내부의 초미세 구조에서는 C. fusca를 전처리한 잎과 무처리한 잎 간에 별다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전처리한 식물에서 병원균은 무처리한 잎과 유사하게 성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결과를 통하여 C. fusca에 의한 식물 표면에서의 병원균 부착기 형성 억제가 오이탄저병 감소의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orella is one of the microorganisms which can live autotrophically by their own photosynthesis. It was previously revealed that pre-treatment of Chlorella fusca caused a suppression of appressorium formation on the cucumber leaves after inoculation with Colletothrichum orbiculare. In this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fusca와 오이탄저병균과의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관찰하였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식물조직에 침입한 오이탄저병균의 세포 외 균사 및 세포 내 균사 내부를 관찰함으로써 무처리한 식물조직 내에서의 오이탄저병균 균사와 비교함으로써 C. fusca에 의한 병 억제 원인을 좀 더 자세히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lletotrichum에 속 병원균이 작물에 감염 시 영양을 섭취하는 두 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Colletotrichum에 속하는 병원균은 감염 시 두 가지의 영양섭취 방식을 취하는데(Perfect 등, 1999), 첫째, 볼록한 형태의 제1차 균사는 살아 있는 기주 식물의 표피 세포에서 활물영양단계를 거친다. 그 후 가느다란 제2차 균사는 비교적 빠르게 생장하며 엽육세포를 침입하여 사물영양단계로 접어들면서 기주 세포를 괴사시킨다(Bailey 등, 1996). 이러한 특이적 영양섭취방식을 취함으로 인하여 기주와 병원균과의 상호관계를 밝히는 많은 연구에 모델로 이용되어 왔다(Gan 등, 2013; Kubo 등, 2015; O’Connell 등 2012) 
오이탄저병의 원인균은 무엇인가? 오이탄저병의 원인균인 Colletotrichum orbiculare는 세계적으로 여러 종류의 작물에 감염하여 경제적 피해를 입힌다(Agrios, 2005). 벼 도열병균인 Magnaporthe oryzae와 마찬가지로 오이탄저병균은 식물에 침입하기 위하여 발아관상단이 부풀어져 부착기(Appressorium)라는 특별한 기관을 형성한다.
Chlorella의 이용 가치는 무엇인가? Chlorella는 광합성을 통해 자가영양이 가능한 녹조류로서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 영양 공급원으로 이용되었는데, 최근 농업에서 생산량 증대의 원인이며 비료로 사용 가능성도 제기되었다(Safi등, 2014; Shaaban, 2001). 그 외 식물 병해 감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과채류의 저장성 병해에 대해 방제 효과가 있으며(Kim 등, 2014), 특히 오이 식물 잎에 전처리하였더니 오이탄저병의 발생이 억제되었다고 보고되었다(Lee 등,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grios, G. N. 2005. Plant Pathology. 5th ed.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2. Bailey, J. A., O'Connell, R. J., Pring, R. J. and Nash, C. 1996. Infection strategies of Colletotrichum species. In: Colletotrichum: Biology, Pathology and Control, eds. by J. A. Bailey and M. J. Jeger, pp. 88-120.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3. Bechinger, C., Giebel, K. F., Schnell, M., Leiderer, P., Deising, H. B. and Bastmeyer, M. 1999. Optical measurements of invasive forces exerted by appressoria of a plant pathogenic fungus. Science 285: 1896-1899. 

  4. Chumley, F. G. and Valent, B. 1990. Genetic analysis of melanindeficient, nonpathogenic mutants of Magnaporthe grisea. Mol. Plant-Microbe Interact. 3: 135-143. 

  5. Gan, P., Ikeda, K., Irieda, H., Narusaka, M., O'Connell, R. J., Narusaka, Y., Takano, Y., Kubo, Y. and Shirasu, K. 2013. Comparative genomic and transcriptomic analyses reveal the hemibiotrophic stage shift of Colletotrichum fungi. New Phytol. 197: 1236-1249. 

  6. Hayat, M. A. 1989.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Electron Microscopy: Biologacal Applications. 3rd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7. Howard, R. J. and Ferrari, M. A. 1989. Role of melanin in appressorium function. Exp. Mycol. 13: 403-418. 

  8. Jeun, Y. C., Kim, K. W., Kim, K. D. and Hyun, J. W. 2007. Comparative ultrastructure of cucumbers pretreated with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DL-3-aminobutyric acid or amino salicylic acid after inoculation with Colletotrichum orbiculare. J. Phytopathol. 155: 416-425. 

  9. Kang, M. S., Sim, S. J. and Chae, H. J. 2004. Chlorella as a functional biomaterial.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 1-11. 

  10. Kim, M. J., Shim, C. K., Kim, Y. K., Park, J. H., Hong, S. J., Ji, H. J., Han, E. J. and Yoon, J. C. 2014.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CHK0008 fertilization on enhancement of storage and freshness in organic strawberry and leaf vegetable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2: 872-878. 

  11. Kim, S. Y., Hyun, J. W. and Jeun, Y. C. 2011. Suppression effect and mechanism of citrus scab in the citrus pre-inocul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Res. Plant Dis. 17: 302-310. (In Korean) 

  12. Kubo, Y., Fujihara, N., Harata, K., Neumann, U., Robin, G. P. and O'Connell, R. 2015. Colletotrichum orbiculare FAM1 encodes a novel Woronin body-associated Pex22 peroxin required for appressorium-mediated plant infection. MBio 6: e01305-15. 

  13. Lee, Y. J., Ko, Y. J. and Jeun, Y. C. 2016. Illustration of disease suppression of anthracnose on cucumber leaves by treatment with Chlorella fusca. Res. Plant Dis. 22: 257-263. (In Korean) 

  14. O'Connell, R. J., Thon, M. R., Hacquard, S., Amyotte, S. G., Kleemann, J., Torres, M. F., Damm, U., Buiate, E. A., Epstein, L., Alkan, N., Altmuller, J., Alvarado-Balderrama, L., Bauser, C. A., Becker, C., Birren, B. W., Chen, Z., Choi, J., Crouch, J. A., Duvick, J. P., Farman, M. A., Gan, P., Heiman, D., Henrissat, B., Howard, R. J., Kabbage, M., Koch, C., Kracher, B., Kubo, Y., Law, A. D., Lebrun, M. H., Lee, Y. H., Miyara, I., Moore, N., Neumann, U., Nordstrom, K., Panaccione, D. G., Panstruga, R., Place, M., Proctor, R. H., Prusky, D., Rech, G., Reinhardt, R., Rollins, J. A., Rounsley, S., Schardl, C. L., Schwartz, D. C., Shenoy, N., Shirasu, K., Sikhakolli, U. R., Stuber, K., Sukno, S. A., Sweigard, J. A., Takano, Y., Takahara, H., Trail, F., van der Does, H. C., Voll, L. M., Will, I., Young, S., Zeng, Q., Zhang, J., Zhou, S., Dickman, M. B., Schulze-Lefert, P., Ver Loren van Themaat, E., Ma, L. J. and Vaillancourt, L. J. 2012. Lifestyle transitions in plant pathogenic Colletotrichum fungi deciphered by genome and transcriptome analyses. Nat. Genet. 44: 1060-1065. 

  15. Pathan, A. K., Bond, J. and Gaskin, R. E. 2008. Sample preparation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plant surfaces--horses for courses. Micron 39: 1049-1061. 

  16. Perfect, S. E., Hughes, H. B., O'Connell, R. J. and Green, J. R. 1999. Colletotrichum: a model genus for studies on pathology and fungal-plant interactions. Fungal Genet. Biol. 27: 186-198. 

  17. Safi, C., Zebib, B., Merah, O., Pontalier, P. Y. and Vaca-Garcia, C. 2014. Morphology, composition, production, processing and applications of Chlorella vulgaris: a review. Renew. Sustain. Energy Rev. 35: 265-278. 

  18. Shaaban, M. M. 2001. Green microalgae water extract as foliar feeding to wheat plants. Pak. J. Biol. Sci. 4: 628-6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