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과나무에서 가지검은마름병 억제를 위한 효율적 가지치기
Controlling by Effective Pruning of Twigs Showing Black Shoot Blight Disease Symptoms in Apple Tree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2 no.4, 2016년, pp.269 - 275  

한규석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유지강 (경희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이한별 (경희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오창식 (경희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예미지 (농림축산검역본부) ,  이종호 (농림축산검역본부) ,  박덕환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응용생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E. pyrifoliae에 의한 과수 가지검은마름병은 국내에서 1995년 최초 발생이래 2016년까지 꾸준히 발생하여 과수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는 세균병해이다. 가지검은마름병 발생 농가의 폐원조치 및 공적방제로 인한 경제적 피해 감소를 위하여, 병징이 관찰되는 이병조직 및 건전조직 내의 병원 세균을 검출하여 효율적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지검은마름병원세균의 검출은 genomic DNA 추출과정을 생략한 순수 균총만을 이용하는 colony-PCR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ERIC 지역에서 제작된 가지검은마름병원세균 특이 프라이머 EpSPF/EpSPR 프라이머쌍을 선발하였다. 특이 프라이머를 활용한 colony-PCR 방법으로 2014-2015년 4-10월까지 사과나무 생육기간 동안 가지검은마름병 발생상황을 모니터링한 결과, $25^{\circ}C$ 일 평균 온도 기간인 5월 중순부터 7월 초순까지 발병이 가장 빈번하였다. 발병가지 내 병원세균의 존재유무 검정 결과 병징 부위와 이로부터 20 cm 내 건전조직에서만 병원세균이 지속적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미 발생한 가지검은마름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병조직과 건전조직 경계 부위로부터 20 cm 이상에서 가지치기를 하는 것이 매우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ack shoot blight disease caused by Erwinia pyrifoliae have damaged economic loss to apple and pear growers until now since it was firstly reported in 1995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duce economic loss by mandatory eradication of all infected trees in case of more 10% disease incide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년간의 정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가지검은마름병의 발생온도 및 시기 규명과 병징이 나타나는 이병조직으로부터 건전조직 내 병원세균의 존재를 확인하여 이병주의 무조건적인 제거가 아닌 병원세균 검출 부위만을 제거하는 효율적 가지치기 방법을 통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지검은마름병의 병원세균은 무엇인가? 이는 사과 및 배 화상병(fire blight)의 병징과 매우 유사하여, 당시에는 국내에서 화상병이 발생한 것으로 오인되어 많은 논란을 야기시켰던 대표적 세균성 과수병해이다. 그러나 병원 세균의 배양적, 혈청학적 및 유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화상병의 병원세균인 Erwinia amylovora와는 특성이 완연히 다른 병원세균으로 확인되었으며(Rhim 등, 1999), 1999년Kim 등(1999)에 의해 새로운 신종인 Erwinia pyrifoliae로 명명 되어 국내에서 발생하는 사과 및 배 가지검은마름병의 원인세균으로 공시되었다.
국내에서 최초로 가지검은마름병이 관찰된 곳은? 과수 가지검은마름병(black shoot blight)은 1995년 강원도 춘천근교의 배(Pyrus pyrifolia cv. ‘Shingo’) 과원에서 최초로 관찰되었다. 병징은 엽면의 흑갈색 반점형성과 괴사증상, 잎의 주맥을 따라 흑갈색 줄무늬가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증상은 줄기전체로 확산되어 개화기와 착과기에는 각각 꽃과 미성숙과에 마름 및 괴사증상이 나타났다.
가지검은마름병의 병징은? ‘Shingo’) 과원에서 최초로 관찰되었다. 병징은 엽면의 흑갈색 반점형성과 괴사증상, 잎의 주맥을 따라 흑갈색 줄무늬가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증상은 줄기전체로 확산되어 개화기와 착과기에는 각각 꽃과 미성숙과에 마름 및 괴사증상이 나타났다. 이는 사과 및 배 화상병(fire blight)의 병징과 매우 유사하여, 당시에는 국내에서 화상병이 발생한 것으로 오인되어 많은 논란을 야기시켰던 대표적 세균성 과수병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yot, R. G. and Ries, S. M. 1986. Role of motility in apple blossom infection by Erwinia amylovora and studies of fire blight control with attractant and repellent compounds. Phytopathology 76: 441-445. 

  2. Bereswill, S., Bugert, P., Bruchmuller, I. and Geider, K. 1995. Identification of the fire blight pathogen, Erwinia amylovora, by PCR assays with chromosomal DNA. Appl. Environ. Microbiol. 61: 2636-2642. 

  3. Hildebrand, M., Dickler, E. and Geider, K. 2000. Occurrence of Erwinia amylovora on insects in a fire blight orchard. J. Phytopathol. 148: 251-256. 

  4. Johnson, K. B. 2000. Fire blight of apple and pear. Plant Health Instr. Online publication. doi: 10.1094/PHI-I-2000-0726-01. 

  5. Kim, W. S., Gardan, L., Rhim, S. L. and Geider, K. 1999. Erwinia pyrifoliae sp. nov., a novel pathogen that affects Asian pear trees (Pyrus pyrifolia Nakai). Int. J. Syst. Bacteriol. 49(Pt 2): 899-905. 

  6. Kim, W. S., Hildebrand, M., Jock, S. and Geider, K. 2001a. Molecular comparison of pathogenic bacteria from pear trees in Japan and the fire blight pathogen Erwinia amylovora. Microbiology 147(Pt 11): 2951-2959. 

  7. Kim, W. S., Jock, S., Paulin, J. P., Rhim, S. L. and Geider, K. 2001b. Molecular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of Erwinia pyrifoliae and host range analysis of the Asian pear pathogen. Plant Dis. 85: 1183-1188. 

  8. Park, D. H., Thapa, S. P., Kim, W. S., Hur, J. H. and Lim, C. K. 2010. Species-specific detection of Erwinia pyrifoliae by PCR assay using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ERIC) primers. Plant Pathol. J. 26: 267-270. 

  9. Rhim, S. L., Volksch, B., Gardan, L., Paulin, J. P., Langlotz, C., Kim, W. S. and Geider, K. 1999. Erwinia pyrifoliae, an Erwinia species different from Erwinia amylovora, causes a necrotic disease of Asian pear trees. Plant Pathol. 48: 514-520. 

  10. Shrestha, R., Koo, J. H., Park, D. H., Hwang, I., Hur, J. H. and Lim, C. K. 2003. Erwinia pyrifoliae, a causal endemic pathogen of shoot blight of Asian pear tree in Korea. Plant Pathol. J. 19: 294-300. 

  11. Shrestha, R., Lee, S. H., Hur, J. H. and Lim, C. K. 2005a. The effects of temperature, pH, and bactericides on the growth of Erwinia pyrifoliae and Erwinia amylovora. Plant Pathol. J. 21: 127-131. 

  12. Shrestha, R., Lee, S. H., Kim, J. E., Wilson, C., Choi, S. G., Park, D. H., Wang, M. H., Hur, J. H. and Lim, C. K. 2007. Diversity and detection of Korean Erwinia pyrifoliae strains as determined by plasmid profiling, phylogenetic analysis and PCR. Plant Pathol. 56: 1023-1031. 

  13. Shrestha, R., Tsuchiya, K., Baek, S. J., Bae, H. N., Hwang, I. G., Hur, J. H. and Lim, C. K. 2005b. Identification of dspEF, hrpW, and hrpN loci and characterization of the $hrpN_{Ep}$ gene in Erwinia pyrifoliae. J. Gen. Plant Pathol. 71: 211-220. 

  14. Sundin, G. W. 2014. Fire blight. In: Compendium of Apple and Pear Diseases and Pests. 2nd ed., eds. by T. B. Sutton, H. S. Aldwinckle, A. M. Agnello and J. F. Walgenbach, pp. 87-89. APS Press, St. Paul, MN, USA. 

  15. Wilcox, W. F. (1994 onwards). Tree Fruit Crops. Disease Identification Sheet No. D3 (Revised). URL http://hdl.handle.net/1813/43095 [31 August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