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임도붕괴 위험도 평가
Assessment of Slope Failures Potential in Forest Roads using a Logistic Regression Model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4, 2016년, pp.429 - 434  

백승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조구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황진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정도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박진우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최병구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차두송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도 사면의 붕괴는 환경적 피해 뿐 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2013년 집중호우로 임도 붕괴가 발생한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지역을 대상으로 GIS의 속성정보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임도 붕괴지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토성이 사토인 지역의 회귀계수는 6.616으로 임도붕괴에 가장 위험성이 높았으며, 경급이 중경목인 지역의 경우 회귀계수가 -3.282로 임도사면의 안정성이 높았다. 임도 붕괴지의 정오분류결과는 74.6%의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모델식을 이용하여 전 구간을 대상으로 적용해 본 결과, 임도붕괴지의 경우 0.5의 기준점 보다 높은 0.7이상의 구간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여 붕괴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도 위험도 평가의 판별적중률로 볼 때 임도의 산림환경 및 입지인자의 분석을 통해서도 충분한 붕괴위험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lope failures in forest roads often result in social and economic loss as well as environmental damag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susceptibility of slope failures of forest roads in Hongcheon-gun, Gangwon-do where many slope failures occurred after heavy rainfall in 2013 using GIS and 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 집중호우에 의하여 임도 붕괴가 발생된 강원 홍천군 화촌면을 대상으로 GIS를 이용하여 임상, 입지토양, 지형인자의 DB를 구축하고 확률적으로 예측 가능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개발하여 임도 붕괴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율적인 목재수확을 위해 필요한 것은? 현재 효율적인 목재수확을 위해서는 임업노동력 확보 적정 작업시스템 구축 등을 포함한 임업기계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와 같은 임업기계화를 위하여 임도는 산림생산의 필수적인 기반시설이며, 목재수확, 임산물 운반, 임업기계화의 활성화, 인력 및 장비 운송 등의 집약적인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산림구조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산림면적은 전 국토 면적의 64%이며, 1970년대부터 수행된 치산녹화사업의 성과로 인하여 현재 산림구조는 대부분 III~IV영급의 중경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산림청은 2040년까지 국내 생산을 약 10,000,000 m3를 목표로 삼고 있어 국내 목재 생산량 달성을 위한 자원 관리 및 이를 위한 생산기반 시설의 확대가 시급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임도의 사전 및 사후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2014). 또한 우리나라의 산림지역은 경사가 급하고 토질의 형태가 다양하며, 지형적·지질적·인위적 원인으로 해마다 임도 붕괴에 의한 토사유출 등의 재해가 발생하여 산림훼손이 심각한 실정이다(Yang et al., 2007; Ch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ng, H.S., Kweon, H.K., Lee, J.W., and Kim, M.J. 2014.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Disaster Risk Rating for Forest Road Using AHP 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2): 258-263. 

  2. Cha, D.S. and Ji, B.Y. 1998. The Prediction of Cutting Slope Failure of Forest Road. Journal of Forest Science 14: 145-156. 

  3. Cha, D.S. and Ji, B.Y. 2002. The Evaluation of Failure Factors on Cutting Slopes of Forest Road by Quantification Theory(I). Journal of Forest Science 18: 7-14. 

  4. Cha, D.S., Ji, B.Y., and Chun, K.W. 2009. Relation analysis of Landslide and forest road by severe rain stor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2009: 343-344. 

  5. Cha, D.S., Ji, B.Y., and Oh, J.H. 2000. Evaluation of Slope Failure Possibility on Forest Road Using Fuzzy Theory(I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1): 33-40. 

  6. Chae, B.G., Kim, W.Y., Cho, Y.C., Kim, K.S., Lee, C.O., and Choi, Y.S. 2004. Development of a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Probabilistic Prediction of Debris Flow.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4(2): 211-222. 

  7. Choi, J.W., Lee, S.R., Min, K.D., and Woo, I. 2004.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and Verification Using the GIS and Bayesian Probability Model in Bou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7(2): 207-223. 

  8. Hong, S.H. 2005. Binomial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Kyoyoobook. pp. 141. 

  9. Ji, B.Y., Oh, J.H., and Cha, D.S. 2000. Soil Mechan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Analysis on Fill Slope of Forest Roa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2): 275-284. 

  10. Jung, D.H. 1995. Studies on Erosion Amount of the Newly Constructed Forest Roa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4(3): 319-332. 

  11. Kim, H.J., Im, O.B., and Yoo, N.J. 2010. A Case Study on Occurrence of Landslide by Heavy Rainfall in Hongcheon Area in 2006.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010: 877-882. 

  12. Korea Forest Service.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Forest Road Density Status. pp. 229-248. 

  13. Lee, H.G., and Kim, G.H. 2012. Landslide Risk Assessment in Inje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0(3): 313-321. 

  14. Lee, J.H. 2005. Management system for landslide hazard area using G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Engineering 3(3): 245-255. 

  15. Lee, S.R., Lee, M.J., and Won, J.S. 2005.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and Vertifica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the Kangneung A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8(1): 33-43. 

  16. Lee, S.W., Kim, G.H., Yune, C.Y., Ryu, H.J., and Hong, S.J. 2012. Development of Landslide-Risk Prediction Model thorough Database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8(4): 23-39. 

  17. Lee, Y.J., Park, G.A., and Kim, S.J. 2006.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Ar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pproach.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of Civil Engineers 26(5): 861-867. 

  18. Quan, H.C., Lee, B.G., Lee, C.S., and Ko, J.W. 2011. The Landslide Probability Analysi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in Jeju.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9(3): 33-40. 

  19. Woo, C.S., Kwon, H.J., Lee, C.W., and Kim, K.H. 2014. Landslide Hazard Prediction Map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Applying in the Whole Country of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6): 117-123. 

  20. Yang, I.T., Chun, K.S., Park, J.K., and Lee, S.Y. 2007. An estimation to landslide vulnerable area of rainfall condition using GIS.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5(1): 39-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