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소바니쉬에 의한 탈회 유전치 법랑질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s on the Demineralized Enamel of Primary Teeth by Fluoride Varnish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3 no.1, 2016년, pp.44 - 50  

조성은 (진주보건대학교) ,  김종빈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김종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탈회 유전치에 3가지 불소바니쉬를 이용하여 인공우식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인공우식용액에 40개의 건전한 유전치 시편을 침적시킨 후, $37^{\circ}C$ 항온기에 7일 동안 보관하여 유전치에 탈회를 형성하였다. Cavity shield$^{TM}$, V varnish$^{TM}$, MI varnish$^{TM}$를 1주일에 한 번씩 3주 동안 탈회된 유전치에 도포 후 불소바니쉬 종류에 따른 미세경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1주차에서는 MI varnish$^{TM}$군이 가장 높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고 다음으로 V varnish$^{TM}$군이 높았으며, Cavity shield$^{TM}$군이 낮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으며, 세 군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2주차에서는 V varnish$^{TM}$군이 가장 높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MI varnish$^{TM}$군 높았지만 V varnish$^{TM}$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Cavity shield$^{TM}$군은 V varnish$^{TM}$군과 MI varnish$^{TM}$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다(p < 0.05). 3주차에서는 V varnish$^{TM}$군이 나머지 두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고(p < 0.05), 다음으로 MI varnish$^{TM}$군이 높았으며 Cavity shield$^{TM}$군이 가장 낮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지만, MI varnish$^{TM}$군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총 미세경도 증가량은 Cavity shield$^{TM}$군에 비해 V varnish$^{TM}$군과 MI varnish$^{TM}$군이 높았으며(p < 0.05), V varnish$^{TM}$군과 MI varnish$^{TM}$군 사이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remineralization effect of three types of fluoride varnishes on demineralized enamel of primary teeth. 40 primary teeth were decalcified by soaking them in artificial acidic solution and stored at $37^{\circ}C$ for 7 days. Then 3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avity shieldTM(3M ESPE,. US), V varnishTM(Vericom, Korea), MI varnishTM(GC Korea CO,. LTD)를 탈회된 유전치 법랑질에 도포하여 불소바니쉬 종류에 따른 재광화 효과를 비교 평가 하고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 치아우식증이란? 초기 치아우식증은 법랑질의 국한된 탈회 현상으로 백색병소로 보이며 와동이 형성되는 전단계이다2).
불소도포법 중 용액, 겔, 폼 형태의 불소 이용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한 것은? 전문가 불소도포법 중 용액, 겔, 폼 형태의 불소 이용은 아동에게 적용 시 쉽게 삼킬 수 있어 불소 부작용에 노출 될 수 있으며, 최 등7)은 APF 겔이 글라스 아이오노머나 복합 레진같은 수복재의 표면구조를 변화시켜 수복재의 수명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불소바니쉬는 5% 불화나트륨과 합성수지를 포함한 국소적 불소제제로 1960년대부터 개발되어 유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8).
백색병소에 비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 불소를 이용하면 나타나는 현상은? 백색병소에 비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 불소를 이용하면 산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불화인회석을 형성하여 법랑질 탈회 현상을 억제하고, 백색병소에 재광화를 촉진시키며 법랑질의 미세경도를 증가 시킨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Feathersthone JDB : The Science and practice of caries prevention. J Am Dent Assoc, 131:887-899, 2000. 

  2. Gorelick L, Geiger AM, Gwinnett AJ : Incidence of white spot formation after bonding and banding. Am J Orthod, 81:323-332, 1982. 

  3. Seppa L : Fluoride content of enamel during treatment and 2 years after discontinuation of treatment with fluoride varnishes. Caries Res, 18:278-271, 1984. 

  4. Ra SJ, Shin HJ, KIM GB, et al. : Correlation between caries prevalence in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 J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8:211-228, 2004. 

  5. ten Cate JM : In vitro studies on the effects of fluoride on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J Dent Res, 69:614-619, 1990. 

  6. Park SJ, Kim HD, Kim CC : A study on the change of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 with time after various topical fluoride treatm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26:262-274, 1999. 

  7. Choi WH, KIm EJ, Nam SH et al. : The effect of 1.23% APF gel on the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3:281-289, 2006. 

  8. Cho JW :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for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Dental Association, 48:454-458, 2010. 

  9. Autio-Gold JT, Courts F : Assessing the effect of fluoride varnish on early enamel carious lesions in the primary dentition. J Am Dent Assoc, 132:1247-1253, 2001. 

  10. Lee EH, Kim JS, Yoo SH : Remineralization effect of sodium fluoride varnish on white lesion by application interval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403-411, 2010. 

  11. Yoo YS, Kim JS : Monitoring of remineralization of decalcified enamel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 J Korean Acad Pediatr Dent, 39:257-266, 2012. 

  12. Retief DH, Sorvas PG, Bradley EL, et al. : In vitro fluoride uptake, distribution and retention by human enamel after 1 and 24 hour application of various topical fluoride agents. J Dent Res, 59:573-582, 1980. 

  13. Pertersson LG : Fluoride mouthrinses and fluoridevarnishes. Caries Res, 27:35-42, 1993. 

  14. White DJ : Use of synthetic polymer gels for artificial carious lesion preparation. Caries Res, 21:228-242, 1987. 

  15. Paik DI, Kim HD, Kim DK, et al. :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5th ed. Komoonsa, Seoul. 70-75, 2011. 

  16. Domoto P, Weinstrin P, Leroux B, et al. : White spots caries in Mexican-American toddlers and parental preference of various strategies. J of Dent for Children, 61:342-346, 1994. 

  17. Samir E, Bishara, Adam WO : White spot lesions : Forma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Seminars in Orthod, 14:174-182, 2008. 

  18. Ogaard B, Seppa L, Rolla G : Professional topical fluoride applications clinical efficacy and mechanism of action. Advances in Dental Research, 8:190-201, 1994. 

  19. Pertersson LG : Fluoride mouthrinses and fluoride varnishes. Caries Res, 27:35-42, 1993. 

  20. Frostell G, Birkhed D, Edwardsson S, et al. : Effect of partial substitution of invert sugar for sucrose in combination with Duraphat treatment on caries development in preschool children: the Malmo Study. Caries Res, 25:304-310, 1991. 

  21. Peyron M, Matsson L, Birkhed D : Progression of approximal caries in primary molars and the effect of Duraphat treatment. Scand J Dent Res, 100:314-318, 1992. 

  22. ten Cate JM : Remineralization of caries lesions extending into dentin. J Dent Res, 80:1407-1411, 2001. 

  23. Lee KH : Effect of fluoride and calcium on enamel remineralization in vitro. J Korean Acad Pediatr Dent, 31:624-629, 2004. 

  24. Ahn HY, Lee KH, Kim DE : Erosion of tooth enamel by acidic drinks and remineralization by artificial saliva. J Korean Acad Pediatr Dent, 29:84-91, 2002. 

  25. Kim HN, Jung MS, Jeong SH, et al. : Evaluation of release of fluoride from dental varnishes marketed in Korea. J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8:131-137, 2014. 

  26. Cochrane NJ, Shen P, Yuan Y, Reynolds EC. Ion release from calcium and fluoride containing dental varnishes. Aust Dent J, 59:100-105, 2014. 

  27. Hicks J, Garcia-Godoy F, Flaitz C : Biological factors in dental caries: role of remineralization and fluoride in the dynamic process of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part 3). J Clin Pediatr Dent, 28:203-14,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