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책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Information Privacy Risks and Policy Model in the Big data Era 원문보기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21 no.1, 2016년, pp.131 - 145  

박천웅 (Dept. of Data Distribution & Business, Korea Database Agency) ,  김준우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권혁준 (Dept. of IT-Finance Management, Soonchunhyang University)

초록

최근 빅데이터와 같은 디지털 환경으로 다양한 정보 매체를 통해 정보와 지식을 생산되고 있는 반면 이렇게 생산된 정보가 법적인 테두리를 벗어나 무분별하게 확대되고 재생산 되는등 정보의 역기능 역시 커지고 있다. 특히, 개인정보의 경우 기존의 목적 외에 사용되거나 잘못된 형태로 사용이 되면 피해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개인 스스로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공유하고 있는 이유는 기업이나 조직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지켜줄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위험과 이를 억제하는 정책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책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빅데이터 시대에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을 낮추고 정책을 명확하게 제시한다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낮아지고 기업에 대한 신뢰가 높아져 개인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는 것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built the theoretical frameworks for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ncepts of risk of information privacy, the policy of information privacy via the provision studies. Also,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such as the conc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은 빅데이터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책이 개인정보를 제공할 것인가의 연구 주제를 설정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된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빅데이터 시대에 대비한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책에 따른 개인정보 제공 의도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빅데이터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책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내용으로 설문 항목을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한 변수의 조작화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급증하고 있는 데이터 유통과 활용에 따른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의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책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주관적으로 느끼게 되는 인지적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알아보고자 하며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Figure 1]과 같이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급증하고 있는 데이터 유통과 활용에 따른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의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책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주관적으로 느끼게 되는 인지적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알아보고자 하며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Figure 1]과 같이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H1: 빅데이터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빅데이터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은 신뢰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빅데이터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정책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빅데이터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정책은 신뢰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빅데이터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신뢰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빅데이터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빅데이터 시대의 신뢰는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용자가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개인 스스로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공유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개인정보의 경우 기존의 목적 외에 사용되거나 잘못된 형태로 사용이 되면 피해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개인 스스로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공유하고 있는 이유는 기업이나 조직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지켜줄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위험과 이를 억제하는 정책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정보 프라이버시 침해사고 및 위험이 더욱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기반의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법과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 개발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정보 프라이버시 침해사고 및 위험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확산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정보 프라이버시 관련 법․제도와 기술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정보 프라이버시 연구들이 가지고 있던 한계에서도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기존의 연구는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의 비식별화를 위한 기술적 방법 및 도구적 관점에서 사용자의 태도와 의도를 설명하였으나, 법․제도적 측면에서는 단순히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된 연구에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변화하는 IT환경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려웠다.
빅데이터란 무엇인가? 빅데이터는 거대한 데이터의 양과 속도, 여러 가지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생성, 유통 및 소비가 빠르게 일어나 기존의 방식으로는 관리와 분석이 어려운 데이터 집합이며, 이를 관리․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과 조직 및 관련 기술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8]. 다시 말해서 처리,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가치를 만들어 내는 프로세스 및 기술을 통칭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k, S. I. and Choi, D. S., "Exploring User Attitude to Information Privacy,"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20, No. 1, pp. 45-59, 2015. 

  2. Buchanan, T., Paine, C., Joinson, A. N., and Reips, U. D., "Development of measures of online privacy concern and protection for use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s and Technology, Vol. 58, pp. 157-165, 2007. 

  3. Choi, K., "Big Data and Personal Information," Sungkyunkwan Law Review, Vol. 25, No. 2, pp. 197-218, 2013. 

  4. Dinev, T. and Hart, P.,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7, No. 1, pp. 61-80, 2006. 

  5. Dinev, T. and Hart, P., "Internet Privacy Concerns and Their Antecedents Measurement Validity and A Regression Model," Behavior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 23, No. 6, pp. 413-422, 2004. 

  6. Featherman, M. S. and Pavlou, P. A., "Predicting E-Services Adoption: A Perceived Risk Face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Vol. 59, No. 4, pp. 451-474, 2003. 

  7. Godin, S., Permission Marketing: Turning Strangers into Friends and Friend into Customers, NY: Simon and Schuster Publishing, 1999. 

  8. Ham, Y.-K. and Chae, S.-B., Big Data management change,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Seoul, 2012. 

  9. Hann, I., Hui, K., Lee, T., and Ping, I. P. L., "Online Information Privacy: Measuring the Cost-Benefit Trade-off," Twenty-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Barcelona, Spain, Vol. 15, No. 18, pp. 1-8, 2002. 

  10. Hui, K. L., Teo, H., and Lee, S. Y. T., "The Value of Privacy Assurance: An Exploratory Fiend Experiment," MIS Quarterly, Vol. 31, No. 1, pp. 19-33, 2007. 

  11. Joo, D. and Kim, J. K., "Creative fusion activation scheme of hyper-connectivity era internet of things,"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Issue Paper, 2014-342, 2014. 

  12. Kim, J., "A Study on Initial Characteristics of the Acceptance of Innovative Big Data Technology in Korea," Ehwa Womans University, Ph.D, 2014. 

  13. Knijnenburg, B. P., Kobsa, A., and Jin, H., "Dimensionality of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 71, No. 12, pp. 1144-1162, 2013. 

  14.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Convergence of Philosophical and Industrial Approaches to Online Privacy," Seoul, 2013.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Present and Future of Big Data industry," KISTI MARKET REPORT, 2013. 

  16.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Developing Privacy Survey Instrument," Seoul, 2009. 

  17. Lee, H., Lim, D., and Zo, H., "Personal Information Overload and User Resistance in the Big Data Age,"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ol. 19, No. 1, pp. 125-139, 2013. 

  18. Lee, M.-N. and Shim, J.-W., "The Moderating Effect by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nline Privacy and Use of Privacy Protection Strategy," Media, Gender and Culture, 12, 2009. 

  19. Lee, Y. and Kwon, O., "Model Based Approach to Estimating Privacy Concerns for Context-Aware Service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ol. 15, No. 2, pp. 97-111, 2009. 

  20. Lee, Z.-K., Choi, H.-J., and Choi, S.-A., "Study on How Service Usefulness and Privacy Concern Influence on Service Acceptance,"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12, No. 4, pp. 37-51, 2007. 

  21. Li, Y., "The Impact of Disposition to Privacy, Website Reputation and Website Familiarity 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 57, pp. 343-354, 2014. 

  22. Liao, C., Liu, C.-C., and Chen, K., "Examining the Impact of Privacy, Trust and Risk Perceptions Beyond Monetary Transactions: An Integrated Model,"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10, No. 6, pp. 702-715, 2011. 

  23. Malhotra, N. K., Kim, S. S., and Agarwal, J.,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The Construct, the Scale, and Causal Model," Information System Research, Vol. 15, No. 4, pp. 336-355, 2004. 

  24. Mayer-Schonberger, V., Emergency Communications: The Quest for Interoperability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n A. M. Howitt, and R. L. Pangi (Eds.), Countering Terrorism-Imensions of preparedness: 299-42, Cambridge, MA: MIT Press, 2003. 

  25. Milne, G. R. and Culnan, M. J., "Strategies for Reducing Online Privacy Risks: Why Consumers Read(or Don't Read) Online Privacy Notice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 18, No. 3, pp. 15-29, 2004. 

  26.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era of big data that opens a new era, Seoul, 2013. 

  27. Noh, D.-I. and Choung, W., "Changing Concept of Privacy in Cyberspace and the Legal Response Thereto," Kyung Hee Law Journal, Vol. 45, No. 4, pp. 181-218, 2010. 

  28. Park, C.-W. and Kim, J.-W., "An Empirical Research on Information Privacy and Trust Model in the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4, pp. 219-225, 2015. 

  29. Park, C.-W., "The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 and Trust on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Ph.D, 2015. 

  30. Pavlou, P. A. and Gefen, D., "Building Effective Online Marketplaces with Institution-Based Trus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5, No. 1, pp. 37-59, 2004. 

  31. Pavlou, P. A., Liang, H., and Xue, Y., "Understanding and Mitigating Uncertainty in Online Exchange Relationships: A Principal-Agent Perspective," MIS Quarterly, Vol. 31, No. 1, pp. 105-136, 2007. 

  32.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Research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asures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smart devices," Seoul, 2014. 

  33. Shin, J.-M., "A policy study for strengthening the privacy under the sprea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convert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M.S, 2013. 

  34. Sim, S.-H., "The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 on the Interaction among SNS User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h.D, 2013. 

  35. Smith, H. J., Dinev, T., and Xu, H., "Information Privacy Research: An Inter disciplinary Review," MIS Quarterly, Vol. 35, No. 4, pp. 989-1016, 2011. 

  36. Smith, H. J., Milberg, S. J., and Burke, S. J., "Information Privacy: Measuring Individuals Concerns about Organizational Practices," MIS Quarterly, Vol. 20, No. 6, pp. 167-196, 1996. 

  37. Stewart, K. A. and Segars, A. H.,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concern for information privacy instru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3, pp. 36-49, 2002. 

  38. Wu, K. W., Huang, S. Y., Yen, D. C., and Popova, I., "The Effect of Online Privacy Policy on Consumer Privacy Concern and Trust," Computer in Human Behavior, Vol. 28, No. 3, pp. 889-897,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