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계층성에 따른 단계적 이동과 과소화 검토 -1995~2014년 도시 순위-규모와 자연적 인구증가율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f Hierarchical Stepwise Migration and Depopulation : focusing on city rank-size and NIR change, 1995~2014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1, 2016년, pp.120 - 134  

이정섭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  은석인 (전북대학교 대학원 사회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표는 도시 순위-규모별 자연적 인구증가율(NIR)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도시 계층성에 따른 단계적 이동이 발생했는지 여부와 그것이 개별 도시들에 파급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지역으로 대표되는 농촌은 196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인구가 유출되어, 1985년 일부 지역에서 처음 음(-)의 NIR이 발생하였고, 1990년대 중반에는 해당 인구현상이 대부분 군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농촌 출신 이동자를 유입했던 시 지역들은 1990년대 중반까지 인구가 증가했지만, 이후부터 인구유출과 감소가 시작되었다. 음의 NIR 발생지역도 1995년 2개, 2005년 14개, 2014년 19개로 증가했고, 해당 지역의 분포는 비수도권에 집중되었다. 셋째, 수도권은 과거에도 농촌 출신 이동자를 유입했고, 현재에는 비수도권 도시 출신 이동자를 유입하는 도착지로 작용하면서,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결국 '이동에 따른 인구유출'${\rightarrow}$'개별 지역 전체 인구감소'${\rightarrow}$'해당 지역에서 음의 NIR 발생'이라는 순차적 인구현상이 농촌에서 비수도권 도시, 도시 순위-규모 하위 계층 지역에서 상위계층지역으로 상향 전이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도시 계층성에 따른 단계적 이동이 진행되어 왔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단계적 이동의 영향력은 과소화 문제가 과거 농촌에서 최근 비수도권 도시들까지 공간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erarchical stepwise migration and its influences on regions (metropolitan areas, cities and counties of Korea administrative district) through analyzing the city rank-size and the changes of natural increase of popul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inter-reg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국 이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순위-규모 체계 속에서 자연적 인구 감소를 중심으로 그 변화와 전개과정을 시계열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단계적 이동이 진행되어 왔는지를 간접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다만 직접적인 인구이동 자료가 아닌 간접적으로 NIR을 활용함으로 인한 한계가 존재함을 미리 밝혀 둔다.
  • 문제는 우리나라 통계에서도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직접적인 자료, 즉 장기간의 인구이동 자료를 획득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2).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인구동태자료에 기초한 자연적 인구성장률(NIR: Natural Increase Rate)을 활용하고자 한다. 즉 인구이동은 출발지에서 일차적으로 사회적 감소를 유발하고 시차를 두고 이차적으로는 잠재적 출산력 저하 및 자연적 감소로 연결 되기에, 우리나라 지역 간 인구이동이 도시 계층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면, 낮은 계층의 지역과 도시에서부터 상위 계층으로 사회적 인구 감소→출산력 저하→자연적 인구 감소 현상이 순차적으로 확대될 것을 가정하였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순위-규모 체계 속에서 자연적 인구 감소를 중심으로 그 발생지역의 분포, 확대 및 계층적 전개의 과정들을 시계열적으로 탐색하여, 단계적 이동이 진행되어 왔는지를 간접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앞의 연구 요약과 같이, 군 지역에서 소규모 시 지역의 순으로, 도시 순위-규모에서 낮은 순위 지역에서 높은 순위 지역으로 전체 인구감소와 음의 NIR 현상 발생이 시계열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특히 비수도권에 입지한 시 지역에서 이러한 현상들이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이처럼 이촌향도 현상이 마무리되어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 현상에 대해 이 연구는 인구이동의 단계적(stepwise) 특성과 결부시켜 논의하고자 한다. 과거 농촌을 출발지(O), 수도권과 도시들을 도착지(D)로 이동했던 양상에서 현재는 비수도권에 입지한 상당수도시지역들이 출발지로 대체되었지만, 수도권은 여전히 인구를 흡인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 때 출발지의 대체 및 변천 과정이 도시 계층성에 따른 단계적 이동(hierarchical stepwise movement)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Hornby & Jones, 1993)이다.
  • 과거 경제개발과 산업화・공업화 과정에서 농촌이 지역 간 인구이동의 출발지, 수도권과 시 지역이 도착지였던 것에서, 2000년을 전후로 비수도권 시 지역들이 출발지로 대체되었지만, 수도권은 현재까지 인구를 흡인하는 도착지로 여전히 작용하고 있다. 즉 이촌향도 현상은 종료되었지만, 농촌에서 비수도권 도시지역으로 출발지가 단계적으로 전이된 수도권 인구 집중은 계속되고 있음이 이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즉 인구이동은 출발지에서 일차적으로 사회적 감소를 유발하고 시차를 두고 이차적으로는 잠재적 출산력 저하 및 자연적 감소로 연결 되기에, 우리나라 지역 간 인구이동이 도시 계층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면, 낮은 계층의 지역과 도시에서부터 상위 계층으로 사회적 인구 감소→출산력 저하→자연적 인구 감소 현상이 순차적으로 확대될 것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촌향도(離村向都)와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은 어떤 현상인가? 이촌향도(離村向都)와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은 경제개발과 산업화・공업화 과정에서 우리나라 지역 간 인구이동을 특징짓고, 대표하는 현상들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들이 종료되었을까? 먼저 이촌향도 현상은 1990년대 중반을 전후하여 서서히 잦아들고 있음을 일정 정도 확인할 수 있다.
1990년대 중반을 전후하여, 이촌향도 현상이 서서히 잦아들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통계자료는? 그런데 이러한 현상들이 종료되었을까? 먼저 이촌향도 현상은 1990년대 중반을 전후하여 서서히 잦아들고 있음을 일정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여러 차례 인구센서스의 ‘현재 거주지-5년 전 거주지’를 분석하였을 때, 전체 지역 간 이동 중에서 이촌향도에 해당하는 군부에서 시부로의 이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1966년 37.6%를 거쳐 1970년에는 50.7%로 정점에 이르렀고, 이후 점차 감소하면서 1980년 44.9%, 1990년 33.4%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1995년 이후에는, ‘군부→동부’ 그리고 ‘군부→읍부’ 이동이 전체 지역 간 인구이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5년 12.5%였던 것에서 계속 축소되면서 2010년에는 7.2%에 불과하였고, 이것은 2010년 ‘시부→면부’ 이동 비중 7.1%와 유사한 수준에 해당된다.
농촌에서 도시로 향하는 인구 이동의 비중을, 시계열적 변화 양상에서 보면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이상과 같은 농촌을 떠나 도시로 향하는 인구 이동이 차지하는 비중의 시계열적 변화 양상은 Zelinsky(1971)의 인구이동 변천 가설(hypothesis of mobility transition)과 같이 농촌에서 도시로의 대규모 이동이 일어나는 초기 변천 사회(the early transitional society), 농촌에서 도시로의 대규모 이동이 있지만 감소가 시작되는 후기 변천 사회(the late transitional society)를 지나서, 도시 간 이동이 주를 이루는 선진 사회(the advanced society)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김정환(역), 2015, 지방소멸, 와이즈베리, 서울(?田?也, 2014, 地方消滅, 中公新書, 東京). 

  2. 이정섭, 2014, 비수도권 중소도시의 인구성장과 단계적 이동: 전라북도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9(4), 525-545. 

  3. 이희연, 2003, 인구학: 인구의 지리학적 이해, 법문사. 

  4. Conway, D., 1980, Step-Wise Migration: Toward a Clarification of the Mechanism,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14(1), 3-14. 

  5. Hornby, W. F. and Jones, M., 1993, An introduction to population ge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Ravenstein, E. G., 1876, Census of the British Isles, 1871: Birthplaces and migration, The Geographical Magazine, 3, 173-177(july), 201-206(august), 229-233(september). 

  7. Ravenstein, E. G., 1885, The laws of migration, Journal of the Statistical Society, 48, 167-227. 

  8. Weeks, J., 2014, Population: An introduction to concepts and issues, Cengage Learning. 

  9. Zelinksy, W., 1971, The hypothesis of mobility transition, Geographical Review, 61(2), 219-2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