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Non Face to Face Real Time Education Focused on Firefighter in COVID-19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8 no.1 = no.55, 2022년, pp.91 - 103  

박진찬 (Department of Fire & Social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백민호 (Department of Fire & Emergency Manage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후 교육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났고 소방학교 역시 대면교육을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 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생(소방공무원)의 교육효과는 떨어지고 만족도 역시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현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이에 맞는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등을 개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시스템 환경운영, 컴퓨터의 자기효능감, 콘텐츠(교육내용, 구조, 설계 등), 적절한 상호작용으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수로는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만족도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사이에 조절변수로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추가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가 좋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적 일수록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학습만족도가 높아졌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이 높아지면 컴퓨터 자기효능감도 학습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결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으로 인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만족을 높이기 위해 교육설계자 혹은 교수자는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높일 수 있는 비대면 교육콘텐츠를 제공해야하고 비대면 교육시스템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높여 학습자의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fter COVID-19, changes in the educational ecosystem take place and fire service academy education system have shifted from face-to-face into non fact-to-face. So, the educational effect of fire officials is decreased and the satisfaction level is also decreased. In this study, we want to 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비대면 실시간 소방교육을 받는 소방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현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이에 맞는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등을 개선하고 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비대면 교육은 질적으로 향상 될 것이고, 이는 곧 교육생의 교육효과와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으로 인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을 실시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연구하였다
  • 또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는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변수 설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인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시스템 환경운영,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컴퓨터의 자기효능감,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콘텐츠(교육내용, 구조, 설계 등),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어떻게 종속변수인 비대면 원격수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려 한다.

가설 설정

  • 연구모형에서 같이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시스템 환경운영 요인,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컴퓨터의 자기효능감 요인,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콘텐츠(교육내용, 구조, 설계 등) 요인,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적절한 상호작용요인을 설정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조절변수로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과 관련을 맺으면서 종속변수인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ae, G.M. (2018). Advanced Statistics with SPSS & AMOS (Edition 2), Yangseowon, Paju. 

  2. Compeau, D.R., Higgins, C.A. (1995). "Computer self-efficacy: Development of a measure and initial test." MIS Quarterly, Vol. 19, No. 2, pp. 189-211. 

  3. Jung, K.S., Kim K.J. (2006). "Impacts learning and transfer on e-learning in an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Busan, Vol. 15, No. 12. 

  4. Kaiser, H.F.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Vol. 39, No. 1, pp. 31-36. 

  5. Kang, M.K. (2009).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in University, pp. 103-110. 

  6. Lee, D.J. (2020).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online distance education in COVID-19."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Vol. 23, No. 3, pp. 359-377. 

  7. Lee, Y.J. (2020). Negative for online classes, Cookie News,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004230081. 

  8. Lee, S.C., Kim, J.A. (2018). "Factors that affect student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36-2, pp. 115-138. 

  9. Nunnally, J.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McGraw Hill, New York, US. 

  10. Park, J.C. (2021). "Study on survey of improvement of non face to face education focused on professor of disaster management field in COVID-19."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7, No. 3, pp. 640-654. 

  11. Park, J.C. (2021). "Study on survey of non face to face realtime education focused on firefighter in COVID-19."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7, No. 4, pp. 722-732. 

  12. Wolman, B. (1989).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Academic Press, Cambridge, US, pp. 234-2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