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요 및 공급측면에서 평가한 하천 생태계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Economic Values of Freshwater Ecosystem Services from Demand and Supply Perspective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8 no.10, 2016년, pp.580 - 587  

안소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연구본부) ,  김지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하천 생태계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추정, 특히 수요 및 공급측면에서의 중요성 평가에 목적을 둔다. 지불의 사액(WTP)에 근거한 수요측면의 가치는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으로부터 서비스 항목별 단위가치를 도출하고, 도출된 단위가치를 서비스 영향범위인 5대 대권역으로 합산하여 추정하였다. 단위가치 추정에는 진술선호법을 활용하여 추정한 가구당 지불의사액에 한정하였다. 합산결과, 하천 생태계가 제공하는 주요 조절서비스에 해당하는 물공급, 수질정화, 홍수조절 서비스의 연간 가치는 2010년 전국기준 5,012, 4,104, 2,424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공급측면의 가치는 생태계서비스 공급 및 관리에 직 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공공부문 투자액(2013 세출결산액 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투자액은 8조 8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공급서비스가 12.9%, 조절서비스가 81.3%, 지지서비스가 0.3%, 문화서비스가 5.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values of freshwater ecosystem services from demand and supply perspectives. From demand side, unit-values of ecosystem services are derived from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and aggregated to 5 main watersheds in Korea. The derived unit-values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의의 시작에 앞서 본 논문에서 도출한 수요측면의 생태계서비스 가치와 공급측면의 공공부문 투자액은 비교 가능한 수치가 아님을 밝혀두고자 한다. 제시한 수치는 생태계서비스의 수요자 또는 공급자 관점에서 측정 가능한 다양한 가치유형의 단면들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 마지막으로 지불의사액에 근거한 가치이든, 공급비용에 근거한 가치이든 화폐를 척도로 측정된 가치는 생태적 가치와는 관련이 없음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생태적 가치를 반영되지 않은 인간중심의 가치에만 의존한 의사결정은 바람직하지 않다.
  • 공급측면의 가치는 생태계서비스 공급을 위한 공공부문 투자액, 즉 공급비용을 가치의 대체자료(proxy)로 활용하거나, 특정 서비스가 사라졌을 경우 이를 대체 또는 복원하는데 요구되는 비용을 역으로 해당 가치의 대체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태계서비스 공급 및 관리에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정부부처 지출액(세출결산액) 분석을 중심으로 공급측면의 가치를 도출해 본다.
  • 수요측면의 가치는 생태계서비스 수혜자의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WTP)에 근거한 가치를 의미하며 경제적 가치추정기법 중 현시선호접근법 또는 진술선호접근법을 적용하여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5)으로부터 하천 생태계서비스의 가구당 단위가치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5대 대권역 수준으로 서비스의 가치를 합산해 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경제적 가치추정 관점에서 하천 생태계서비스의 중요성 평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특히 생태계서비스가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공공재임을, 따라서 시장가격이라는 객관적 가치를 관찰할 수 없음을 고려하여, 수요측면의 가치와 공급측면의 가치를 구분하여 도출하고 각각의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앞서 제시한 지불의사액 기준 가치추정이 수요자(수혜자) 측면에서의 가치표현이라 한다면 생태계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용기준의 가치추정은 공급측면에서의 가치표현이라 볼 수 있다. 여기서는 공공부문 투자액 분석을 통하여 생태계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급측면의 가치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범위와 투자액의 범위 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 본 논문은 경제적 가치추정 관점에서 하천 생태계서비스의 중요성 평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특히 생태계서비스가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공공재임을, 따라서 시장가격이라는 객관적 가치를 관찰할 수 없음을 고려하여, 수요측면의 가치와 공급측면의 가치를 구분하여 도출하고 각각의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새천년생태계평가(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MA)1)와 생물다양성경제학(The Economics of Ecosystem and Biodiversity, TEEB)2) 이후 자연환경 분야에서는 생태계가 인간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에 해당하는 ‘생태계 서비스(ecosystem services)’가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고 관련연구도 급증하고 있다.3,4) 생물 다양성․생태계서비스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관련 의사결정에는 생태계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공급현황과 중요성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요측면의 가치는 일반적으로 어떻게 추정하는가? 수요측면의 가치는 생태계서비스 수혜자의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WTP)에 근거한 가치를 의미하며 경제적 가치추정기법 중 현시선호접근법 또는 진술선호접근법을 적용하여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5)으로부터 하천 생태계서비스의 가구당 단위가치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5대 대권역 수준으로 서c비스의 가치를 합산해 보고자 한다.
생태계가 제공하는 대양한 서비스의 중요성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전자는 생태계서비스의 물리적 공급량 측정에 해당하며 정책평가를 위한 기준선 설정 및 추이(trend) 분석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후자 즉, 중요성은 생태계서비스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측정하는 영역에 해당하며 관련정책 간의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예산제약 하에 비용효과성을 담보한 정책대안의 선택이 주요 의사결정 사항임을 감안할 때 생태계서비스의 중요성 평가는 핵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생태계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공급현황은 어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가? 전자는 생태계서비스의 물리적 공급량 측정에 해당하며 정책평가를 위한 기준선 설정 및 추이(trend) 분석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후자 즉, 중요성은 생태계서비스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측정하는 영역에 해당하며 관련정책 간의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A,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synthesis, Island Press, Washington, D. C.(2005). 

  2. TEEB,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ecological and economic foundations, Pushpam Kumar (Ed), Routledge, Abingdon and New York(2010). 

  3. Ahn, S. E, "The economic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what and how to do?," Environ. Forum, Korea Environ. Inst., 19(2), 1-19(2015). 

  4. Ahn, S. E., Kim, G. E., Rho, P. H. and Kwon, Y. 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measurement system to assess freshwater ecosystem services in Korea (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15). 

  5.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http://evis.kei.re.kr 

  6. Daily, G. C. (Ed), Nature's services: societal dependence on natural ecosystems, Island Press, Washington, D.C.(1997). 

  7. Costanza, R., dArge, R., Groot, de R.,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 V., Paruelo, J., Raskin, R. G., Sutton, P. and van den Belt, M.,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1997). 

  8. de Groot, R. S., Wilson, M. A., and Boumans, R. M. J., "A typology for the classification, description and valuation of ecosystem functions, goods and services," Ecol. Economics, 41, 393-408(2002). 

  9. Ahn, S. 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for decision making," J. Environ. Policy, 12(2), 3-16(2013). 

  10. Fisher, B., Turner., R. K. and Morling, P., "Defining and classifying ecosystem services for decision making," Ecol. Economics, 68, 643-653(2009). 

  11. Haines-Young, R. and Potschin, M., Comm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CICES): consultation on version 4(2013). 

  12. Wallace, K. J.,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problems and solutions," Biol. Conservat., 139, 235-246(2007). 

  13. Boyd, J. and Banzhaf, S., "What are ecosystem services? The need for standardized environmental accounting units," Ecol. Economics, 63, 616-626(2007). 

  14. Koo, M. H., Lee, D. K. and Jung, T. Y., "A study on the contexts of ecosystem service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J. Korea Soc. Environ. Restorat. Technol., 15(5), 85-102(2012). 

  15. Ahn, S. E. and Bae, D. H., "The economic value of freshwater ecosystem services based on the evidences from the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J. Environ. Policy, 22(4), 27-54(2014). 

  16. IPBES, Conceptual framework of IPBES. IPBES/2/4(2013). 

  17. Ahn, S. E., Bae, D. H. and Lee, C. H.,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al valuation database and analysis of valuation studies of Korea I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11). 

  18. Statistics Kore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2010). 

  19.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http://www.wamis.go.kr 

  20.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udget proposal(2013). 

  21.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Report in final accounts for fiscal year 2013(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