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측정가능성 검토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Indicators for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of Urban Park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6 no.4, 2017년, pp.227 - 241  

김은영 (수원시정연구원) ,  김지연 (수원시정연구원) ,  정혜진 (수원시정연구원) ,  송원경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에서의 인간의 삶의 질은 생태계에 의존하고 있으며, 삶의 질에 기여하는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중 도시공원에서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수원시 도시공원에 시범적용하여 지표의 측정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생태계서비스 평가항목 및 지표 목록을 추출하고 전문가 대상 2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지표별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도시공원은 공급, 조절, 지원, 문화서비스 전체 분야에 대해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서비스에서는 식량생산성과 수자원을 제시하였으며, 조절서비스에서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홍수 및 폭풍피해 저감, 소음저감, 열섬저감, 토양질 유지, 지원서비스에서는 생태네트워크와 생물다양성 유지, 문화서비스에서는 운동, 휴식, 교육 및 사회활동의 평가항목을 제시하여 총 12개 평가항목과 14개의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항목과 지표를 토대로 수원시 내 도시공원 두 곳에 시범적용하여 지표의 측정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항목을 통해 도시의 생태계서비스 및 생물다양성 현황을 진단하는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도시에서의 생태계서비스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향후 도시차원에서 생태계서비스 지역평가, 생태계서비스 총량 및 균등분배에 관한 전략 수립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human in urban areas has depended on ecosystem for well-being, so it is important to evaluate urban ecosystem services which contribute significantly to human well-being. In this study we classified ecosystem functions and set indicators used for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of urban park by Del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첫째, 도시공원에서의 생태계 서비스 평가 항목 및 지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여 도시공원이 제공하는 생태계 서비스 유형 및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시공원에서 나타나는 생태계 서비스 평가 항목과 평가지표를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도시공원에 시범 적용하여 도시공원의 생태계 서비스 평가 항목 및 평가지표의 적합성 및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도시공원에 시범 적용하여 도시공원의 생태계 서비스 평가 항목 및 평가지표의 적합성 및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도시공원에서의 생태계 서비스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생물 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 증진을 위한 도시관리 정책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둘째,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시공원에서 나타나는 생태계 서비스 평가 항목과 평가지표를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도시공원에 시범 적용하여 도시공원의 생태계 서비스 평가 항목 및 평가지표의 적합성 및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도시공원에서의 생태계 서비스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생태계의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중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서비스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시범 적용하여 지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공원에서의 생태계 서비스 평가 항목 및 지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여 도시공원이 제공하는 생태계 서비스 유형 및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생태계의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중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서비스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시범 적용하여 지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공원에서의 생태계 서비스 평가 항목 및 지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여 도시공원이 제공하는 생태계 서비스 유형 및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시공원에서 나타나는 생태계 서비스 평가 항목과 평가지표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함에 있어 어떠한 한계가 존재하나? 본 연구에서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함에있어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소음저감 등의 지표는 dB측정과 같이 직접적인 측정방식을 이용해야 하지만 간접지표를 활용하였기에 생태계서비스수준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생태계서비스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시범 적용하였기에 이를 가치 혹은 점수로 전환하는데 한계가 있다.향후 도시 내 모든 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를평가하여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관리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생태계서비스은 어떻게 생긴 개념인가? 1997).생물다양성이 생물의 존재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라면 생태계서비스는 생물다양성이 인간에게 끼치는영향에 관심을 가지면서 생긴 개념이다.
공공관리 수단을 통해 지자체는 무엇을 할 수 있나? TEEB(2010)는 생태계서비스를 공공관리에 포함할 경우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고 제시하였다. 공공관리 수단을 통해 지자체는 관할 지역 내의 생태계서비스 제공을 감소,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생태계서비스의 가치 및 공공관리측면에서의 혜택을측정하여 비효율적 관리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hn SE, Bae DH. 2014. The Economic Value of Freshwater Ecosystem Services Based on the Evidences from the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2(4): 27-54. [Korean Literature] 

  2. Akbari H. 2002. Shade trees reduce building energy use and $CO_2$ emissions from power plants. Environmental Pollution, 116: S119-S126. 

  3. Akbari H., Pomerantz M, Taha H. 2001. Cool surfaces and shade trees to reduce energy use and improve air quality in urban areas. Solar Energy, 70(3): 295-310. 

  4. Bastian O, Haase D, Grunewald K. 2012. Ecosystem properties, potentials and services: the EPPS conceptual framework and an urban application example. Ecol. Indic., 21: 7-16. 

  5. Breuste J, Schnellinger J, Qureshi S, Faggi A. 2013. Urban ecosystem services on the local level: urban green spaces as providers. Ekologia, 32(3): 290-304. 

  6. Camps-Calve M, Langemeyer J, Calvet-Mir L, Gomez-Baggethun E. 2016.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urban gardens in Barcelona, Spain: Insights for policy and planning.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62: 14-23. 

  7. Choi HA, Lee WK, Jeon SW, Kim JS, Kwak HB, Kim MI, Kim JU, Kim JT. 2014. Quantifying Climate Change Regulating Service of Forest Ecosystem-Focus on Quantifying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5(1): 21-36. [Korean Literature] 

  8. Choi HJ, Suh CJ. 2011. Study on R&D Manpower Requirements for the Field of Pharmaceutical-An Application of Delphi Metho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3): 1270-1277. [Korean Literature] 

  9. Costanza R, d’Arge R, de Groot R,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oll RV, Paruelo J, Raskin RG, Sutton P, 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10. Dobbs C, Escobedo FJ, Zippere WC. 2011. A framework for developing urban forest ecosystem services and goods indicator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9: 196-206. 

  11. Douglas I. 2012. Urban ecology and urban ecosystems: understanding the links to human health and well-be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4: 385-392. 

  12. Dwyer JF, Schroeder HW, Gobster PH. 1991. The significance of urban trees and forests: toward a deeper understanding of values. Journal of Arboriculture, 17(10): 276-284. 

  13. Escobedo FJ, Kroeger T, Wagner JE. 2011. Urban forests and pollution mitigation: Analyzing ecosystem services and disservices. Environmental Pollution, 159: 2078-2087. 

  14. Escobedo FJ, Varela S, Zhao M, Wagner JE, Zipperer W. 2010. The efficacy of subtropical urban forests in offsetting carbon emissions from citie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13: 362-372. 

  15. Frank S, Waters G, Beer R, May P. 2006. An analysis of the street tree population of greater Melbourne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rboric. Urban For., 32: 155-163. 

  16. Fuller RA, Irvine KN, Devine-Wright P, Warren PH, Gaston KJ 2007. Psychological benefits of green space increase with biodiversity. Biol. Lett., 3: 390-394. 

  17. Gill SE, Handley JF, Ennos AR, Pauleit S. 2007. Adapting cities for climate change: The role of the green infrastructure. Built Environment, 33(1): 115-133. 

  18. Grimmond S. 2007. Urbanization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local effects of urban warming, Cities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83-88. 

  19. Han SH. 2006. Detection of forest genetic resource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in air pollution site. Forest Science Information 181: 10-11. [Korean Literature] 

  20. He J, Yi H, Liu J. 2016. Urban green space recreational service assessment and management: A conceptual model based on the service generation process, Ecological Economics, 124: 59-68. 

  21. Hong S, Seo JH. 2013.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Valuation Analysis Indicators Using the Delphi Method in the Offset Program.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6(1): 252-278. [Korean Literature] 

  22. Im EA, Son KC, Kam JK. 2012. Development of Elements of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Indices (HTEI) through Delphi Method. Kor. J. Hort. Sci. Technol. 30(3): 308-324. [Korean Literature] 

  23. Jim CY, Chen WY. 2009. Ecosystem services and valuation of urban forests in China, Cities, 26: 187-194. 

  24. Joo HS, Kim SC, Choi SS, Bae SY. 2005. Impacts of Green Spaces on Air quality. Korea Environmental Insitute. [Korean Literature] 

  25. Kang, YH, Yoon SJ, Kang GW, Kim CY, Yoo KY, Shin YS. 1998. An Application of Delphi Method to the Assessment of Current Status of Cancer Research. J Prev Med Public Health 31(4) : 844-856. 

  26. Kwon OS, Ra JH, Cho HJ, Ku JN, Kim JH. 2016. Ecosystem Service Analysis of Urban Forests for Flood Preven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 69-79. [Korean Literature] 

  27. Lawshe C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563-575. 

  28. Lee ACK, Maheswaran R. 2010. The health benefit of urban green spaces: a review of the evidence, 33(2): 212-222. 

  29. Maas, J., Verheij, RA., Groenewegen, P.P., Vries, S., Spreeuwenberg, P. 2006. Green space, urbanity, and health: how strong is the relation?,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60: 587-92. 

  30. Magurran AE. 2004. Measuring Biological Diversity, Published by Blackwell. 

  31. McPherson EG, Scott KI, Simpson JR. 1998. Estimating cost effectiveness of residential yard trees for improving air quality in Sacramento, California using existing models, Atmospheric Environment, 32: 75-84. 

  32. Michelozzi P, D'Ippoliti D, Marino C, de'Denato F, Katsouyanni K, Analitis A, Biggeri A, Baccini M, Perucci CA, Menne B. 2009. Effect of high temperature and heat waves in European cities, Epidemiology, 20: S263-S264. 

  33. Nicholson-Lord D. 2003. Green Cities: And why We Need Them, New Economics Foundation. 

  34. Nowak DJ, Crane DE. 2002.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by urban trees in the USA, Environmental Pollution, 116: 381-389. 

  35. Nowak DJ, Walton JT, Stevens JC, Crane DE, Hoehn RE. 2008. Effect of plot and sample size on timing and precision of urban forest assessments, Arboriculture and Urban Forestry, 34: 386-390. 

  36. Oh CH, Kim DH, Oh CG, Lee YH, Park EH. 2016. Introduction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of Deoksan Provincial Park in Chungcheongnam-do. Literature and Environment 15(2): 97-124. [Korean Literature] 

  37. Pataki DE, Cherrier J, Grulke N, Zipperer WC. 2011. Coupling biogeochemical cycles in urban environments: Ecosystem services, green solutions, and misconceptions,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9(1): 27-36. 

  38. Radford KG, James P. 2012. Changes in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along a ruralurban gradient: a case study of Greater Manchester, UK, Landsc. Urban Plan, 109: 117-127. 

  39. Rocha SM, G Zulian, J Maes, M Thijssen. 2015. Mapping and assessment of urban ecosystems and their services. EUR 27706 EN doi:10.2788/638737. 

  40. Roh YH, Kim CK, Hong HJ. 2016. Time-Series Changes to Ecosystem Regulating Services in Jeju : Focusing on Estimating Carbon Sequestration and Evaluating Economic Feasibi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4(2): 29-44. [Korean Literature] 

  41. Ryu DH, Lee DK. 2013. Evaluation on Economic Value of the Greenbelt’s Ecosystem Servi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3): 279-292. [Korean Literature] 

  42. Simpson JR. 1998. Urban forest impacts on regional cooling and heating energy use: Sacramento County case study, Journal of Arboriculture, 24(4): 201-214. 

  43. Stenlid J, Oliva J, Boberg JB, Hopkins AJM. 2011. Emerging diseases in European forest ecosystems and responses in society, Forests, 2: 486-504. 

  44. Tan S, Zhao W. 2007. Social and psychological benefit of urban green space, Journal-Chongqing Jianzhu University, 29(5): 6. 

  45. TEEB(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2010.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Ecological and Economic Foundation, Kumar P.(Ed), Earthscan, London and Washington. 

  46. Thuiller W, Lavorel S, Araujo MB, Sykes MT, Prentice IC. 2005. Climate change threats to plant diversity in Europe, Proc. Natl. Acad. Sci., 102: 8245-8250. 

  47. Tratalos J, Fuller RA, Warren PH, Davies RG, Gaston KJ. 2007. Urbanform, biodiversity potential and ecosystem services, Landsc. Urban Plan, 8g3: 308-317. 

  48. Tzoulas K, Greening K. 2011. Urban ecology and human health, Urban Ecology, Patterns, Processes and Applic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UK. http://dx.doi.org/10.1093/acprof: oso/9780199563562.003 32: 263-271. 

  49. Vogt P, Ferrari JR, Lookingbill TR, Gardner RH, Riitters KH, Ostapowicz K. 2009. Mapping functional connectivity, Ecol. Indic., 9: 64-71. 

  50. Weng Q. 2001. Modelling urban growth effects on surface runoff with the integration of remote sensing and GIS, Environ. Manage., 28: 737-748. 

  51. Whitford V, Ennos AR, Handley JF. 2001. City form and natural process: indicators for the ecological performance of urban areas and their application to Merseyside, UK, Landsc. Urban Plan, 57: 91-103. 

  52. Yang J, McBride J, Zhou J, Sun Z. 2005. The urban forest in Beijing and its role in air pollution reduction,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3: 65-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