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의 수자원 공급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InVEST Water Yield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InVEST Water Yield Model for Assessing Forest Water Provisioning Ecosystem Service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1, 2015년, pp.120 - 134  

송철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최현아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전성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김재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환경정보센터) ,  김준순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김정택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Natural Capital Project에서 개발 된 InVEST Water Yield 모형을 통해 국내 산림의 수자원 공급 서비스를 평가하고 적용성을 검토 해 보았다. InVEST Water Yield 모형은 총 8가지의 필수 입력자료를 요구하며, 그 중 6가지는 공간자료로, 2가지는 계수로 설정되었다. 국내에서 쉽게 활용 및 보정 가능한 자료를 이용한 모형 구동 결과, 우리나라 산림생태계의 수자원 공급서비스 총량인 수원함량은 2011년을 기준으로 9,409,622,083톤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해당년도 강우량의 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대상지에서 공간분석을 통해 이뤄진 기존 연구 및 통계적으로 분석된 전국 규모의 연구 결과와 비교 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모형의 기작 특성에 따른 통계적 방식과 공간적 구현 방식에서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InVEST 모형의 활용은 현 시점에도 개발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해야 하며, 정량적인 평가보다는 정성적인 평가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모형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에 맞는 입력자료의 작성 및 멀티모델링을 통한 비교를 통해 정확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VEST Water Yield model developed by Natural Capital Project was applied for South Korea to assess domestic forest ecosystem's water provisioning services. The InVEST Water Yield model required 8 input dataset, including six spatial map data and two derived by coefficients. By running the model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중첩분석을 통해 서남해안연안의 생태 분석과 경제적 상관관계를 파악(Chung, 2012)하는데 적용되 었던 InVEST 모형을 국내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산림수자원 공급서비스 평가를 위한 해외 모형 적용 결과와 기존 국내 연구 결과의 차이 를 확인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모형 적용 과정에 있어서의 유의점을 바탕으로 계량화와 지도화를 통한 활용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nVEST Water Yield 모형의 자료들은, 그 특성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InVEST Water Yield 모형의 필수적인 구동에 필요한 자료는 총 8가지로 표 1과 같다. 이 자료들은 그 특성에 따라 기상자료, 물리적자료, 속성자료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자료(Sub-Watersheds, Results Suffix)는 제외하였다.
InVEST 모형의 개발 목적은 무엇인가? 산림생태계의 수자원공급 서비스 계량화는 InVEST 모형을 이용하였다. InVEST는 미국 National Capital Project에서 오픈소스로 제공하는 모형으로 자연자산(Natural Capital)과 생태계서비스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InVEST모형은 2008년 10월 Version 1.
생태계서비스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새천년생태계평가(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MA, 2005)에 따르면,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s, ES)는 생태계로부터 인간이 얻는 편익(benefits)으로, 크게 생산 (provisioning), 조절(regulating), 지원 (supporting), 문화(cultural) 서비스로 분류 된다. MA 외에도 Daily(1997), Costanz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S.E. 2013.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for decision mak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2(2):3-16 (안소은. 2013.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생태계서비스의 정의와 분류, 환경정책연구 12(2):3-16). 

  2. Burkhard, B., F. Kroll, F. Muller, and W. Windhorst. 2009. Landscapes'capacities to provide ecosystem services-a concept for land-cover based assessment. Landscape Online 15:1-22. 

  3. Canadell, J., R.B. Jackson, J.R. Ehleringer, H.A. Mooney, O.E. Sala and E.D. Schulze. 1996. Maximum rooting depth of vegetation types at the global scale. Oecologia 108(4):583-595. 

  4. Choi, H.A., W.K. Lee, C. Song. J.Y. Lee, S.W. Jeon, and J.S. Kim. 2014. Applicability analysis of water provisioning services quantification models of forest ecosyste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4):1-15 (최현아, 이우균, 송철호, 이종열, 전성우, 김준순. 2014. 산림생태계 수자원 공급서비스 계량화 모형의 국내적용성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7(4):1-15). 

  5. Chung, M.G. 2012. Mapping ecosystem services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ecosystem-based management of coastal are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6. Chung, M.G. and H. Kang. 2013. A review of ecosystem service studies: concept, approach and future work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6(1):1-9. 

  7. Costanza, R., R.D. Arge, R.S. de Groot, S. Far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V. O'Neill, J. Paruelo, R.G. Raskin, P. Sutton and M. van den Belt. 1997. The value of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253-260. 

  8. Crossman, N.D., B. Burkhard, S. Nedkov, L. Willenmen, K. Petz, I. Palomo, E.G. Drakou, B. Martin-Lopez, T. McPhearson, K. Boynova, R. Alkemade, B. Egoh, M.B. Dumbar and J. Maes. 2013. A blueprint for mapping and modeling ecosystem services. Ecosystem Services 4:4-14. 

  9. Daily, G.C. 1997. Nature's Services Societal Dependence on Natural Ecosystems. Island Press, Washington D.C. 

  10. De Groot, R.S., M.A. Wilson and R.M. Boumans. 2002. A typology for the classification, description and valuation of ecosystem functions, goods and services. Ecological Economics 41(3): 393-408. 

  11. Jeon, S.W., J. Kim and H. Jung. 2013. A study on the forest classification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focused on forest type map and landcover Map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3):31-39 (전성우, 김재욱, 정휘철. 2013.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산림 유형 분류 방안-임상도와 토지피복지도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6(3):31-39). 

  12. Jung, Y.H., H.T. Choi, J.Y. Yoo and K.H. Kim. 2009. A study on hydrological environment depending on forest practices, research report 09-2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정용호, 최형태, 유재윤, 김경하. 2009. 산림시업에 따른 유역의 물 환경 변화 연구, 연구보고 09-29. 국립산림과학원). 

  13. Kim, H.H., Y.K. Park, H.J. Roh, J.H. Jeon, J.Y. Hwang, H.D. Kang and J.H. Park. 2011. A case study for evaluating forest functions by watershed unit: Gyeongsangnam-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163-173 (김형호, 박영규, 노혜정, 전준현, 황진영, 강현득, 박준영. 2011. 경상남도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지리정보학 회지 14(3):163-173). 

  14. Kim, J.H., J.J. Kim, J.H. Jeon, Y.M. Son, K.H. Kim, H.J. Yoon, C.Y. Park and S.W. Lee. 2007. A study on the estimation and the evaluation methods of public function of forest, research report 07-0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김종호, 김재준, 전준헌, 손영모, 김경하, 윤호중, 박찬열, 이승우. 2007. 산림의 공익기능 계량화 연구, 연구보고 07-05. 국립산림과학원). 

  15. Kim, J.H., K.D. Kim, R.H. Kim, C.Y. Park, H.J. Yoon, S.W. Lee, H.T. Choi and J.J. Kim. 2010. A study on the estimation and the evaluation methods of public function of forest, research report 10-26.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김종호, 김기동, 김래현, 박찬열, 윤호중, 이승우, 최형태, 김재준. 2010. 산림의 공익기능 계량화 연구, 연구보고 10-26. 국립산림과학원). 

  16. Kim, J.H., R.H. Kim, H.J. Yoon, S.W. Lee, J.J. Kim, C.Y. Park and K.D. Kim. 2012. Valuation of nonmarket forest resource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4): 9-18 (김종호, 김래현, 윤호중, 이승우, 최형태, 김재준, 박찬열, 김기동. 2012. 산림공익기능의 경제적 가치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6(4):9-18). 

  17. Kim, S.N., W.K. Lee, K.I. Shin, M. Kafatos, D.J. Seo and H.B. Kwak. 2010. Comparison of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predicting climate factors in Ko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6(2):97-99. 

  18. Kwon, S.D., Y.K. Park and E.H. Kim. 2008. Study on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using GIS-Chungyang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 10-21 (권순덕, 박영규, 김은희. 2008.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10-21). 

  19. Larson, D. 2014. Quantifying and mapping changes in hydrologic ecosystem services from a large magnitude wildfire in Shasra and Tehama Counties, California. Master's Thesis, California State University, Chico. 

  20. Lee, K.H. and H. Cho. 2011. Estimation of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sing daily sunshine hour.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5):627-640 (이길하, 조홍연. 2011. 일조시간을 이용한 기준 증발산량 추정. 환경영향평가 20(5):627-640). 

  21. Lee, M.K. 2007. Opportunity cost for increasing watershed conservation function of forest-a case study of Sueo Dam catchment area in Mt. Baekun Jeollanamdo-.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이민경, 2007. 산림유역의 수원함양 유지.증진을 위한 기회비용-전남 광양 진상면 수어지 유역의 사례 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MA(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Island Press. Washington D C. 

  23. Oh, D.H. and U.S. Yeo. 2011. Improvement of forest public functions in Busan: application of monetary valuation. Busan Development Institute (오동하, 여운상. 2011. 산림의 가치평가를 통한 공익기능 향상 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4. Park, J.C. and M.K. Kim. 2013. Comparison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s in precipitation data sets representing 1 km spatial resolution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PRISM, IDW, and Cokrig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 147-163 (박종철, 김만규. 2013. PRISM, 역거리가중법, 공동크리깅으로 작성한 1km 공간해상도의 남한 강수 자료에서 강수 분포의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3):147-163). 

  25. Ruckelshaus, M., E. Mckenzie, H. Tallis, A. Guerry, G. Daily, P. Kareiva, S. Polasky, T. Ricketts, N. Bhagabati, S.A. Wood, and J. Bernhardt. 2013. Notes from the field: lessons learned from using ecosystem services approaches to inform real-world decisions. Ecological Economics. 

  26. Ryu, D.H. and D.K. Lee. 2013. Evaluation on economic value of the Greenbelt's ecosystem servi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3):279-292 (류대호, 이동근. 2013. 수도권 그린벨트 지역의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 연구. 국토계획 48(3):279-292). 

  27. Sharp, R., H.T. Tallis, T. Ricketts, A.D. Guerry, S.A. Wood, R. Chaplin-Kramer, E. Nelson, D. Ennaanay, S. Wolny, N. Olwero, K. Vigerstol, D. Pennington, G. Mendoza, J. Aukema, J. Foster, J. Forrest, D. Cameron, K. Arkema, E. Lonsdorf, C. Kennedy, G. Verutes, C.K. Kim, G. Guannel, M. Papenfus, J. Toft, M. Marsik, J. Bernhardt, R. Griffin, K. Glowinski, N. Chaumont, A. Perelman, M. Lacayo, L. Mandle, R. Griffin and P. Hamel. 2014. InVEST tip user's guide. The Natural Capital Project, Stanford. 

  28. Shepard, D. 1986. A two-dimensional interpolation function for irregularlyspaced Data. Proceedings of the 1968 23rd ACM National Conference 517-524. 

  29. TEEB(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2010.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Ecological and Economic Foundations, London and Washington, 68pp. 

  30. UK NEA(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2011. The UK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technical report. UNEPWCMC, Cambridge, 1464pp. 

  31. Vigerstol, K.L. and J.E. Aukema. 2011. A comparison of tools for modeling freshwater ecosystem servic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2(10): 2403-2409. 

  32. Yoon, T.H. 2003. Eco-environmental hydraulics. Cheong Moon Gak. Seoul. 207-233pp (윤태훈. 2003. 생태환경수리학. 청문각. 서울. 207-233쪽). 

  33. Zhang, C., W. Li, B. Zhang and M. Liu. 2012. Water yield of Xitiaoxi river basin based on InVEST modeling. Journal of Resources and Ecology 3(1): 50-54. 

  34. Zhang, L., W.R. Dawes and G.R. Walker. 2001. Response of mean annual evapotranspiration to vegetation changes at catchment scale. Water Resources Research 37(3):701-708. 

  35. NTSG(Numerical Terradynamic Simulation Group). http://www.ntsg.umt.edu/.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