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컬 가창 훈련을 위한 CAI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CAI Development for Vocal Training in Applied Music 원문보기

한국HCI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v.11 no.3, 2016년, pp.13 - 22  

문원경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뮤직테크놀로지 학과) ,  이승연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뮤직테크놀로지 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용음악의 가창 및 악기에 대한 도제식 교육방식은 국내에 실용음악 교육이 도입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큰 변화 없이 수용되어 왔다. '1대1 개인 레슨'이나 배정된 '전공지도 교수자에 의한 도제식 교육법' 이외의 다른 교수법에 대한 논의나 제안이 제기된 사례가 많지 않다. 1980년대 후반, 실용음악 교육이 국내에 소개된 이후 지금까지 실용음악 교육을 위한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 코스웨어 개발은 실용음악 이외의 분야에서처럼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물론, 실용음악 분야에서도 컴퓨터를 활용한 음악 프로듀싱이나 영상 음악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하지만 발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용음악 교육에 적극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제작 소프트웨어의 발전된 기능들을 활용하여 실용음악 가창 분야에서 전통적인 도제식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학습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음원의 음정 보정을 위해 개발된 피치 쉬프트(Pitch Shift)기술인 오토 튠(auto tune)을 활용한다. 이것을 통해 음정에 관한 실시간 피드백이나 녹음 후 모니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가창 훈련 시 음정 정확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물론 가창력을 판단할 때 음정 정확도만 평가 되는 것은 아니며 음정 정확도 역시 발성, 발음 등의 복잡한 신체 능력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이 연구로 컴퓨터를 활용하는 교육이 실용음악 보컬 학습자들에게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극복하여 더 효율적인 가창 훈련을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cal and instrument apprenticeship in applied music has been accepted without significant changes since the introduction of applied music education to South Korea. Few discussions or suggestions about other types of teaching than 'one-to-one lessons' or 'education of apprentices by assigned spec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기존 도제식 실용음악 보컬 교육보다 학습자의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해 다른 용도로 쓰던 소프트웨어를 보컬 음정 향상 교육에 접목한 교육과정을 연구했다. 기본적으로 교수·학습자에게 청각적 정보에 의존한 기존 교육 보다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교육성과 향상을 제시했다.
  • 본 논문은 기존의 보컬 음정 교육 방식보다 오토 튠을 이용한 시각화 학습 방식이 성취도와 학습 만족도를 더 높이는지 분석하는 것이 핵심이다. 학습 성취도는 통제된 상황에서 오토 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3차례에 걸쳐 학습자가 녹음한 음원을 수치화 시켜 정량화된 데이터로 학습자의 음정 정확도가 얼마나 향상되었는지 분석하여 증명할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1, FFT기술 기반의 오토 튠을 이용한 실용음악 보컬 음정 정확도 학습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향상(보컬 음정 정확도 향상)에 기여한다. 가설2, 기존의 학습방법에 비해 학습자의 만족도가 높다.
  • 가설1, FFT기술 기반의 오토 튠을 이용한 실용음악 보컬 음정 정확도 학습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향상(보컬 음정 정확도 향상)에 기여한다. 가설2, 기존의 학습방법에 비해 학습자의 만족도가 높다. 이 가설에 대한 증명 방법은 3차례에 걸친 보컬 음정 시각화 측정을 통한 음정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용음악 교육의 세부 전공은? 국내 실용음악 교육에 관련해서는 다양한 연구들이 있어왔다. 실용음악 교육에서 세부 전공은 크게 보컬, 기악, 작·편곡, 음향이 기본이며 기관별로 종교음악, 랩뮤직(Rap Music), EDM (Electronic Dance Music)과 같은 장르 전공을 운영하는 곳도 있다. 하지만 다양한 세부 전공에도 불구하고 전공별 교과 교육은 전통적으로 1대 1 개인 레슨 방식을 택하고 있다[1].
보컬 쏠림 현상이란 무엇인가? 다양한 요인 – 미디어를 통한 대중음악 직업 및 관련 내용에 대한 노출 증가 등 – 으로 인해 실용 음악 관련 학과는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했다. 그리고 학습자들의 대부분은 실용음악의 다양한 전공 – 기악, 작곡, 음향, 영상 음악 등 - 중에 특히 보컬에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컬 쏠림 현상’에 비해 보컬 교육에 대한 교육학적인 접근이나 학습 효율성을 신장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공학적인 접근은 미미한 상태이다.
보컬 전공을 개설하고 있는 여러 교육시설들의 한계점은? 하지만 이러한 ‘보컬 쏠림 현상’에 비해 보컬 교육에 대한 교육학적인 접근이나 학습 효율성을 신장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공학적인 접근은 미미한 상태이다. 더욱이 실용음악 분야의 보컬 전공을 개설하고 있는 영리 학원, 평생교육시설, 직업훈련원, 예술 고등학교, 대학, 심지어 대학원뿐만 아니라 대안교육시설까지 보컬 학습의 커리큘럼이나 교육 과정은 거의 유사하며 수준별 차등성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기본적으로 실용음악 보컬 교육은 전통적인 도제식 면대면 교육방식이며 교과과정 역시 교수자의 개인적인 역량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이정선. 대학 실용음악교육의 시작과 학과 개설 형태. 음악교육연구. 38(1). 한국음악교육학회. pp. 119-148. 2010. 

  2. 한정훈, 손정은. 성인 실용음악 교육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예술교육연구. 12(1). 한국예술교육학회. pp. 105-119. 2014. 

  3.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표준교육과정세부교육과정표. https://www.cb.or.kr/creditbank/stdPro/stdPro1_1_1.do. 2016.5.26 

  4. 김도수. 한국의 현대 "실용음악"과 "보컬"의 개념상 문제점 및 고등교육에서 보컬의 학문적 수용 전망. 이화음악논집. 15(1).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pp. 55-93. 2011. 

  5. 오한승. 실용보컬가이드북. 서울: SR MUSIC. 2008. 

  6. Riggs, S., Carratello, J. and Miyake, R. J. Singing for the Stars - A Complete Program for Training Your Voice. California: Alfred Pub Co. 1992. 

  7. 허균. ICT 활용교육에서 교수 학습자료 제작을 위한 시각화 전략 탐색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3(1). 한국교원교육학회. pp. 169-191. 2006. 

  8. Heinich, R., Molenda, M. and Smaldino, S. E. Instructional Media and Technologies for Learning. 11th Ed. New York: Pearson Education. pp. 56-62. 2002. 

  9. 박재록. 뮤직테크놀로지의 이해. 파주: 음악세계. 2015. 

  10. Welch, G. F., Howard, D. M. and Rush, C. Realtime Visual Feedback in the Development of Vocal Pitch Accuracy in Singing. SAGE journal. 17(2). Psychology of Music. pp. 146-157.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