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GC-MS 기반 대사체학 기법을 이용한 산수유의 산지판별모델
Discrimination model of cultivation area of Corni Fructus using a GC-MS-Based metabolomics approach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9 no.1, 2016년, pp.1 - 9  

임재윤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약의 원산지를 판별하는 논리적인 일련의 기준을 개발한다면, 현재 유통되는 한약을 좀 더 과학적으로 관리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전통적인 한약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산수유의 원산지 판별법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산 산수유와 중국산 산수유를 각각 수증기 증류하고 이 때 얻은 휘발성분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NIST mass spectral library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성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범주화(binning)하여 변수를 얻고, 이에 대하여 PCA, OPLS-DA 등 다변량 통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신속, 정확하게 국산 산수유와 중국산 산수유의 산지를 판별할 수 있는 산지 판별모델을 확립하였다. 산지 판별모델 개발을 위해서 학습집합(n=53)을 분석하여 산지 판별모델을 수립한 후, 검증집합(n=12)을 산지 판별모델에 적용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1-ethylbutyl-hydroperoxide, nonadecane, butylated hydroxytoluene, 5β,7βH,10α-Eudesm-11-en-1α-ol, 7,9-bis (2-methyl-2-propanyl)-1-oxaspiro[4.5]deca-6,9-diene-2,8-dione, 그리고 2-decyldodecyl-benzene 등 6개의 마커성분을 선정할 수 있었다. 최근에 NMR을 활용한 산수유 원산지 판별에 대한 보고는 있었으나, GC/MS를 기반으로 한 대사체학 연구기법을 이용하여 산지판별 모델을 제시하는 것은 최초의 보고로서 그 의미가 크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한약의 원산지 판별모델 확립과 산수유 원산지의 과학적인 관리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believed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s can be managed more scientifical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gical criteria to verify their region of cultivation, and that this coul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dustry.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su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약을 재배하는 지역의 환경적 요인은 대사물질의 다양성을 유도하여 그 치료효과를 나타내는데 결정적 역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원산지를 정확히 구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1, 2연구의 목적은 한약의 원산지를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판별법의 개발을 통해서 보다 과학적인 원산지관리로 한의약산업 발전에 기여하는데 있다. 한편, 대사체학(metabolomics)은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GC/ 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LC/MS), near infrared spectroscopy (NIR) 등 다양한 분석기기를 사용하여 생체 내에 존재하는 저분자 대사체를 광범위하게 분석하고, 다변량 통계 분석(multivariate data analysis)을 통하여 내인성 대사체의 변화를 연구하는 분야로, 신약 개발 및 평가, 질병의 조기진단 뿐만 아니라 농산물이나 생약 등의 원산지 판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 최근에 NMR을 활용한 산수유 원산지 판별에 관한 보고는 있었으나, GC/MS 를 기반으로 한 대사체학 연구기법을 이용하여 산지판별 모델을 제시하는 것은 최초의 보고로서 그 의미가 크다.16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한약의 원산지판별모델 확립과 산수유 원산지의 과학적인 관리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W. Lee, J. H. Choi, S. Y. Park, B. K. Choo, J. M. Chun, A. Y. Lee and H. K. Kim, Korean J. Med. Crop Sci., 16, 168-172 (2008). 

  2. A. Zhang, H. Sun, Z. Wang, W. Sun, P. Wang and X. Wang, Planta Med.., 76, 2026-2035 (2010). 

  3. O. Fiehn, Plant Mol. Biol., 48, 155-171 (2002). 

  4. J. C. Lindon, E. Holmes and J. K. Nicholson, FEBS J., 274, 1140-51 (2007). 

  5. V. Arbona, D. J. Iglesias, M. Talon and A. Gomez-Cadenas, J. Agric. Food Chem.., 57, 7338-7347 (2009). 

  6. W. M. Claudino, P. H. Goncalves, A. di Leo, P. A. Philip and F. Sarkar, Crit. Rev. Oncol. Hematol., 84, 1-7 (2012). 

  7. S. O. Yang, S. W. Lee, Y. O. Kim, S. W. Lee, N. H. Kim, H. K. Choi, J. Y. Jung, D. H. Lee and Y. S. Shin, Korean J. Med. Crop Sci., 22, 17-22 (2014). 

  8. R. C. H. De Vos, S. Moco, A. Lommen, J. J. B. Keurentjes, R. J. Bino and R. D. Hall, Nat. Protoc., 2, 778-791 (2007). 

  9. H. Kanani, J. Chromatogr. B., 871, 191-201 (2008). 

  10. A. Kende, D. Portwood, A. Senior, M. Earll, E. Bolygo and M. Seymour, J. Chromatogr. A, 1217, 6718-6723 (2010). 

  11. E. Fukusaki and A. Kobayashi, J. Biosci. Bioeng., 100, 347-354 (2005). 

  12. G. Özek, F. Demirci, T. Özek, N. Tabanca, D. E. Wedge, S. I. Khan, K. Hüsnü, C. Baser, A. Duran and E. Hamzaoglu, J. Chromatogr. A, 1217, 741-748 (2010). 

  13. M. Bylesjo, M. Rantalainen, O. Cloarec, J. K. Nicholson, E. Holmes and J. Trygg, J. Chemom., 20, 341-351 (2006). 

  14. J. A. Westerhuis, E. J. J. van Velzen, H. C. J. Hoefsloot and A. K. Smilde, Metabolomics, 6, 119-128 (2010). 

  15. Y. S. Ho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79-186 (2014). 

  16. Y. A. Jung, Y. S. Jung and G. S. Hwang, J. Korean Magn. Reson. Soc., 15, 90-103 (2011). 

  17. S. Wiklund, E. Johansson, L. Sjöström, E. J. Mellerowicz, U. Edlund, J. P. Shockcor, J. Gottfries, T. Moritz and J. Trygg, Anal. Chem., 80, 115-12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